DOI QR코드

DOI QR Code

UCC 특성이 플로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Impact of UCC Characteristics on Flow and Intention to Use

  • 김수연 (대구대학교 컴퓨터IT공학부) ;
  • 신무종 (대구대학교 컴퓨터IT공학부) ;
  • 이상훈 (대구대학교 컴퓨터IT공학부) ;
  • 황현석 (한림대학교 경영학부)
  • 발행 : 2009.12.30

초록

오늘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웹 2.0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제작하는 콘텐츠, 즉 UCC(user created contents)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직접 참여를 기반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UCC 이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UCC의 특성과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 플로우, 이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UCC 특성의 하위 차원으로서 시스템, 콘텐츠, 사용자 특성으로 구분하고 제시된 특성들을 이용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자들의 UCC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UCC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 플로우,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용의도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 방법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UCC의 운영을 위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oday, various on-line services based on the Internet have been provided, and recently UCC(user created contents) have become more popular based on web 2.0. However researches on UCC prevailing among internet users have not been performed much yet. Therefore, we hav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CC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flow and intention to use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the related works we have derived three latent variables - system, contents, and user characteristics - as UCC character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istics of UCC, perceived usefulness, flow and intention to us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suggested for managing the UCC services in conclu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Agarwal, R., Karahanna, E., "Time fil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24(4), pp. 665-694. 2000. https://doi.org/10.2307/3250951
  2. Agarwal, R., Prasad, J., "AreIndividual Differences Germane to theAcceptanc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30(2), pp. 361-391, 1999. https://doi.org/10.1111/j.1540-5915.1999.tb01614.x
  3. Browne, M. W., Cudeck, R.,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1(2), pp. 230-258, 1992.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4. Chau, P. Y. K., "Re-examining a Model for Evaluating Information Center Succes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Decision Sciences, 28(2), pp. 309-334, 1997. https://doi.org/10.1111/j.1540-5915.1997.tb01313.x
  5. Chen, Lei-da, Mark L. Gillensonb, Daniel L. Sherrellb, "Enticing online consumers: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39(8), pp. 705-719, 2002. https://doi.org/10.1016/S0378-7206(01)00127-6
  6. Csikszenti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Second Print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977.
  7.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pp. 340-391, 1989.
  8. Davis, F. D., R. P. Bagozzi,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 Management Science", 35(8), pp, 982-1003, 1989. https://doi.org/10.1287/mnsc.35.8.982
  9. DeLone, William H., Ephraim 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pp. 60-95, 1992. https://doi.org/10.1287/isre.3.1.60
  10. Jones, E., Sundaram, Chin, W., "Factors leading to sales force automation use: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22(3), pp. 145-156, 2002.
  11. Joreskog, K. G., Sorbom, D., LISREL 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Scientific Software: Chicago, IL, 1993.
  12. Liu, Chang, Kirk P. Arnett, "Explor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b site success in the context of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 Management, 43(5), pp 627-639, 2000. https://doi.org/10.1016/j.im.2006.03.004
  13. Mathieson, K., "Predicting user intentions: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pp. 173-191. 1991. https://doi.org/10.1287/isre.2.3.173
  14. Moon, J. W., Kim, Y. G., "Extending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and Management, 38(4), pp. 217-230, 2001. https://doi.org/10.1016/S0378-7206(00)00061-6
  15. Mulaik, S. A., James, L. R., Alstine, J. V., Brett, J. M., Lind, S., Stilwell, X. D.,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sychological Bulletin, 105(3), pp. 430-445, 19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5.3.430
  16. van der Heijden, Hans,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of websites: the case of a generic portal in The Netherlands", Information & Management, 40(6), pp. 541-549, 2003. https://doi.org/10.1016/S0378-7206(02)00079-4
  17. Venkatesh, V., Davis, F. 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5(2), pp. 186-204, 2000.
  18. 강소라, 전방지, 김유정, 김연정, UCC 서비스 이용 연구: 기술수용모형과 감정차원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6(3), pp. 1-26, 2007.
  19. 공다영, 한필구, "모바일 동영상 UCC 서비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7(1), pp. 89-101, 2008.
  20. 권오병, 문예성, 김민용, "블로그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확장된 기술수용모델과 인지된 격려를 이용한 실증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2(4), pp. 165-184, 2007.
  21. 김근형, 김시연, 이봉규, "모바일콘텐츠 서비스의 성공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10), pp. 89-98, 2006.
  22. 김명소, "인터넷 사용시의 flow 경험과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의도와의 관계모형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2(1), pp. 197-225, 1999.
  23. 김보연, 강민철, 이상근, "인지적 몰입이 개인의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MP3 플레이어에 대한 실증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16(1), pp. 45-68, 2006.
  24. 김성완, "전자교육공동체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11,(6), pp. 87-97, 2006.
  25. 김준우, 문형도, "이질적인 정보기술 사용 환경 하에서의 기술수용모델 (TAM)에 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4(4), pp.175-198, 2007.
  26. 김창수, 오은해, "모바일 게임의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연구, 21(1), pp. 227-255, 2006.
  27. 김혜경, 이승희, 김종호, 이웅희, "조직구성원의 신제품 수용의도에 마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4(2), pp.1-16, 2009.
  28. 문현필, 옥석재, "모바일 서비스 사용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14(2), pp. 133-154, 2005.
  29. 박현정, 박정희, 이상환, "WiBro(휴대인터넷) 서비스 특성이 이용동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23(4), pp. 77-105, 2008.
  30. 심상민, "UCC 활성화 및 사용자 참여 유도를 위한 핵심 성공 요소", UCC 컨퍼런스, COEX, 2006.6.15.
  31. 안범진, 권광현, "ERP시스템의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국제회계연구, 13, pp. 139-163, 2005.
  32. 우병현, "UCC 동영상 콘텐츠 활용 전략 및 수익 모델", UCC 컨퍼런스, COEX, 2006.6.15.
  33. 이기동, 김학희, 박정희, "모바일 콘텐츠 특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e-비즈니스연구, 7(4) , pp.35-57, 2006.
  34. 이재신, 김한나,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동영상 UCC 제작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5), pp.399-419, 2008.
  35. 전방지, "콘텐츠 창조와 플로우: 동영상 UCC 이용 동기", 한국콘텐츠학회지, 8(12), pp. 222-235, 2008.
  36. 최민재, 동영상 UCC와 저널리즘, 한국언론재단, 2007.
  37. 최학현, 손지성, "동영상 UCC(Dser Created Contents) 서비스 전략: 포털 네이버 '플레이' 와 다음 'TV 팟'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2), pp. 41-54, 2007.
  38. 추순진, 김상현, "인터넷 쇼핑환경에서의 다차원적 관계몰입이 고객의 미래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제연구, 21(4), pp. 253-278, 2003.
  39. 한국인터넷진흥원, UCC 이용실태조사 보고서, http://www.kisa.or.kr.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