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ng Science-contents Problems through Correlation with Tests of Creative Thinking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과학 탐구력 검사와 창의성 검사와의 관계를 통한 과학영재 선발문항 유형 분석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We studied what kind of science-contents problems can also give information on one's creativity for use in the selec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383 7th and 8th graders as subjects, we first analyzed the co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creative thinking, scientific attitude, science inquiry, logical thinking and the scientific creativity problem solving skill test. The co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cience inquiry test could represent other tests except TTCT. We then tested 532 6th graders with TTCT and science inquiry tests concomitantly with the contents- related problems made in such types as naming 20 scientists, writing about a scientist, imagination to overcome a problem, understanding of theory and application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laws and appli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riting and imagination were most efficient in assessing both the contents and the crea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내용을 묻는 문제가 어떤 형태로 제시되면 자학영재 선발을 위해 대상자의 수학능력 외에도 창의성까지 볼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1단계에서는 과학적 재능 검사에 자주 사용되는 토랜스 도형 창의력, 과학적 태도, 과학 탐구력, 논리적 사고력,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7, 8학년 38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학력이 상위 5% 안에 드는 6학년 학생 583명을 대상으로, 과학 내용을 소재로 한 5가지 다른 유형의 문제를 풀게 하는 동시에 트랜스 도형 창의력과 과학 탐구력 검사를 실시하여 어떤 형태의 내용 문제가 창의력, 탐구력 검사 점수와 상관관계가 높은지 알아보았다. 과학자 이름 나열하기, 과학자 업적에 대한 글쓰기, 상상력, 이론의 이해와 적용, 법칙의 이해와 응용으로 나눌 수 있는 5가지 유형의 문제는 모두 탐구력 검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트랜스 도형 창의력 검사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글쓰기로 나타내는 문제와 상관 관계가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억, 안미숙, 김홍원, 이순주, 박성익, 조석희 (2003). 동서양 주요국가들의 영재교 육. 서울: 문음사
  2. 김병관 (1997). 과학교사의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탐구능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청구논문
  3. 김은진, 박현주, 강호감, 노석구 (2003). 과학 수행 펑가 문항의 선정 및 제작을 위한 평가 준거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75-85
  4. 김태선, 배덕진, 김범기 (2002).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 구 능력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25-739
  5. 김희수, 김종헌, 육근철, 이희권, 김정민, 이봉재 (2002). 과학 창의성 검사지 개발 영재교육연구, 12(4)
  6.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7. 남명호, 백남진, 백지연, 김지영, 김경희 (2007).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수행평가의 적용질태와 개선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박경희 (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 기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민정, 전동렬 (2007). 선행학습과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및 도형 창의력 검사의 상관관계. 새물리, 55(6), 386-396
  10. 성태제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11. 소금현 (2000).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 (2000).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0(1), 166-173
  13. 신지은 (2002).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창의성 비교 연구-확산적 사고와 과학 창의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청구논문
  14.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 -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5. 심재영, 김종득, 오진호 (2005). 과학영재의 창의성 인성 및 과제 집착력 연구. 한국과학영재연구원
  16. 안계원, 정영란 (1996). 중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과학성적, 과학탐구능력, 과학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10-416
  17. 이기영, 동효관, 홍준의, 김형경, 조봉제 (2008). 과학 영재 선발 도구로서 지필 검사 의 적합성 탐색을 위한 질적 및 양적 문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32-46
  18.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5), 567-581
  19. 임청환, 정진우 (1991), 고교생의 논리적사고력과 과학탐구 기능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11(2), 23-30
  20. 전동렬, 김성호, 남경운, 박민정, 손유미 (2007). 과학영재 판별과 선행학습. 교육연구정보원
  21. 조석희, 김명숙 (1993). 고등학교 과학영재 판별도구 개발(창의적 과학문제 해결력검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RR. 93-20
  22. 조석희, 시기자 (1997).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 검사 제작 편.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97-51
  23. 조석희, 김홍원 (1999). 과학영재교육올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99-15
  24. Brandwein, P. F., Passow, A. H. (1988). Gifted Young in Science-Potential Through Performance,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5. Bragget, E., Moltzen, R. I. (2000). Programs and practices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giftedness and talen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London: Elsevier science Ltd
  26. Bruns, J. C., Okey, J. R., & Wise, K. C. (1985).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cess skill test: TIPS II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20), 169-177 https://doi.org/10.1002/tea.3660220208
  27. Cramond, B., Matthews-Morgan, J., Bandalos, D., Zuo, L. (2005). A Report on the 40-Year Follow-Up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Alive and Well in the New Millennium. Gifted Child Quarterly, 49(4), 283-291 https://doi.org/10.1177/001698620504900402
  28. Dunn, L. W., Corn, A. L., & Morelock, M. J.(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s on the ICMIC and Selected Talent Domains: An Investigation with Gif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48(2), 133-142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206
  29.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Macquarie University
  30. McCann, M. (2002). Identification on the gifted: A specific focus on students gifted in science and mathmatic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Busan
  31. Rakow, S. J. (1993). Examining Identification and Instruction Practices for Gifted and Talented Limited English Proficient Stude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Bilingual Education Conferences. 99-114
  32.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Phi Delta Kappan, 60, 180-184. 261
  33. Rodran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2).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olas, Texas
  34.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New York: Macmillan
  35. Torrance, E. P. (1970).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Personal press, Inc
  36. Torrance, E. P. (1984). The Role of Creativity in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28(4), 153-156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