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eatures Related to Authentic Science Inquiry Appear in Open-ended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참과학탐구의 특정 분석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open-ended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in terms of how similar they are to authentic science inquiry and suggest desirable ways to make more effective programs for the gifted. For this study, we selected a small group with five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open inquiry program of summer camp held in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collected data through recording and video-taping their discussion and performance from planning to coordinating inquiry results. The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epistemological features and cognitive process in authentic science inquiry. The results is as follows. In terms of epistemology, students' inquiry methods were theory laden and they constructed knowledge in collaborative groups. For example, the students often discussed about performing the thought experiment and scientific concept related to inquiry task or their opinion. A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heir designing inquiry was similar to authentic science inquiry especially selecting variables, planning procedures, controlling variables, planning measures.

이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참과학탐구의 특징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주교대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여름집중교육에서 실시하는 탐구토론대회에 참가한 초등과학 영재학생 5명으로 이루어진 한 소집단을 선정하였고, 계획단계에서부터 탐구결과 정리 단계까지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수행 과정을 녹음 녹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참과학탐구의 인식론적 측면과 인지과정 측면의 특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학생들의 개방적 탐구 활동에서는 참과학탐구의 인식론적 특징인 이론 의존성과 지식의 사회적 구성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탐구 과제의 이해 및 실험 설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때 사고 실험이나 과학적 개념에 대해서 자주 언급했다. 또한 인지과정 측면에서는 연구 설계 부분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주로 변수선택, 과정 계획, 변수 통제, 측정 계획 등에서 참과학탐구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2).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1.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김미경, 김희백 (2007). 학생들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 분석을 통한 개방적 참탐구 활 동의 인지적 추론 측면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30-943
  3. 김미경, 김희백 (2008).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에 영향올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65-578
  4.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판별 및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5.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8). 과학교육학 개론. 서울: 북스힐
  6. 김희경 (2003). 중학생의 동료간 논변활동올 강조한 개방적 물리탐구: 조건, 특정, 역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박승재 (1997). 과학교육의 지향과 한 가지 접근 모형 - 열린교육과 수준별 교육을 반추하며- 열린교육과 수준별 교육과정 정책 세미나 발표 논문집. 열린교육학회
  8. 송경애 (2002). 중학교 과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9.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0. 이용숙, 김영천 (1999).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1. 정병훈 (2002) 초등과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논문집, 제22집, 57-88
  12.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과학영재교육기관 지원사업 안내. http://www.kofac.or.kr(검색일 2009.11.07)
  13. Anderson, T., Howe, E., Soden, R., Halliday, J . & Low, J. (2001). Pe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furthe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al Science, 29, 1-32 https://doi.org/10.1023/A:1026471702353
  14. Chinn, C. A., & Brewer, W. F. (1993).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knowledge acquisition: Atheoretic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science inst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 1-49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1001
  15. Chinn, C. A., & Malhort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2(2), 175-218
  16. Hackling, M. W., & Fairbrother, R. W. (1996). Helping students to do open investigation in scienc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2(4), 26-33
  17. Lo, J., & Wheatley, G. H. (1994). Learning opportunities and negotiation social norrns in mathematics class discuss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2), 145-164 https://doi.org/10.1007/BF01278919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 Richmond, G. & Stril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0)33:8<839::AID-TEA2>3.0.CO;2-X
  20. Roth, W. M. (1995). Authetic school science: Knowing and learning in open-inquiry science laboratories. Dordrecht: Kluwer
  21. Roychyoudhury, A. & Roth, W. (1996). Interactions in an open-inquiry physics labora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4), 423-445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403
  22. Zion, M., Slezak, M. Shapira, D., Link, E., Bashan, N., Brumer. M., Orian, T., Nussinowitz, R., Court, D., Agrest, B., Mendelovici, R. & Valanides, N. (2004). Dynamic, open inquiry in biology learning. Science Education, 88(5), 728-753 https://doi.org/10.1002/sce.10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