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the Output Dose of Linear Accelerator Photon Beams by Blind Test with Dose Characteristics of LiF:Mg,Cu,P TLD

LiF:Mg,Cu,P 열형광선량계의 선량특성을 이용한 눈가림법에 의한 출력선량 평가

  • Choi, Tae-Jin (Bio-Physics Medical Engineering,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Lee, Ho-Joon (Radiation Oncolog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
  • Yie, Ji-Won (Radiation Oncology, School of Medicine, Doonggook University) ;
  • Oh, Young-Gi (Radiation Oncolog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Kim, Jin-Hee (Radiation Oncolog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Kim, Ok-Bae (Radiation Oncolog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최태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이호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예지원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오영기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김진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김옥배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o achieve the accurate evaluation of given absorbed dose from output dose of linear accelerator photon beam through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iF:Mg,Cu,P TLD powder. This experimental TL phosphor is performed with a commercial LiF:Mg,Cu,P powder (Supplied by PTW) and TL reader (LTM, France). The TLD was exposed to 6 MV X rays of linear accelerator photon beam with range 15 to 800 cGy in blind dose at two hospitals. The dose evaluation of TLD was through the experimental algorithms which were dose dependency, dose rate dependency, fading and powder weight dependency. The glow curve has shown the three peaks which are 110, 183 and 232 degrees of heating temperature and the main dosimetric peak showed highest TL response at 232 high temperature. In this experiments, the LiF:Mg,Cu,P phosphor has shown the 2.5 eV of electron trap energy with a second order. This experiments guided the dose evaluation accuracy is within 1% +2.58% of discrepancy. The TLD powder of LiF:Mg,Cu,P was analyzed to dosimetric characterists of electron captured energy and order by glow shape, and dose-TL response curve guided the accuracy within 1.0+2.58% of output dose discrepancy.

조사면의 크기와 한계 측정부위의 선량평가에는 형체가 자유로운 열형광분말체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함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LiF:Mg,Cu,P TLD 분말체의 선량특성을 조사하고, 작성된 평가 알고리즘에 따라 선형가속기의 출력선량을 눈가림법으로 조사한 TLD에 적용했을 때 평가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열형광분말소자는 PTW 사의 LiF:Mg,Cu,P (200 Mesh)이며, 판독기는 LTM (LTM Co, France)이다. 물의 흡수선량은 전리함과 전위계를 표준선량평가기관에서 교정한 흡수선량계수를 사용하여 구하였으며, TLD 조사는 자체 제작한 미니 프라스틱 수조의 중앙에 삽입하여 조사면 $10{\times}10\;cm^2$로 시행 하였다. 방사선조사는 두 대학병원에 설치된 선형가속기(Oncor, Siemens와 Clinac Ix, Varian)의 6 MV 광자선으로 하였으며, TLD의 눈가림법 선량평가는 glow 곡선의 특성과 분말질량에 의한 감도변화, 선량률의존성, 선량-TL 강도의 비례성과 퇴행성 조사를 통해 시행되었다. LiF:Mg,Cu,P TLD는 3개의 glow peak를 보였고 232도에 나타나는 peak는 선량과 비례성이 높고 감도가 높으며 퇴행현상이 적어 선량계로써 좋은 조건을 보이고 있다. 열형광선량분말체는 1,000 cGy까지 대략적인 선형관계를 유지하였으나, 정밀 측정평가를 위해 비선형 함수를 통해 평균 1% 오차범위에서 평가할 수 있었다. LiF:Mg,Cu,P TLD는 선량률 22.2 cGy/min에서 600 cGy/min까지 TL 감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가열판(Planchette)의 분말체의 량에 따라서는 TL 감도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눈가림법으로 두 기관의 선형가속기에서 15회와 10회 조사하였고, 선량범위는 15~800 cGy였다. 눈가림법에 의한 양 기관의 TL 선량은 평균 1% 이하의 오차범위에서 일치하고 편차는 각각 ${\pm}1.9%$${\pm}2.58$ 이내에 있었다. 열형광분말소자를 사용하여 눈가림법으로 출력선량을 평가한 결과 실험오차범위에서 표준전리함의 선량과 잘 일치하였으며, 전리함으로 접근할 수 없는 작은 조사면이나 경계성 조사면에 대한 선량평가에 신뢰성 있는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lber M, Nusslin F: Optimization of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under constraints for static and dynamic MLC delivery. Phys Med Biol 46:3229-3239 (2001) https://doi.org/10.1088/0031-9155/46/12/311
  2. Boyer AL, Geis P, Grant W, Carol M: Modulated beam conformal therapy for head and neck tumor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9:227-236 (1997)
  3. Li Y, Yao J, Yao D: Genetic algorithm based deliverable segments optimization for static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Phys Med Biol 48:3353-3374 (2003) https://doi.org/10.1088/0031-9155/48/20/007
  4. AAPM Report 82: Guidence document on delivery, treatment planning and clinical implementation of IMRT: Report of the IMRT subcommittee of the AAPM radiation therapy committee. Med Phys 30:2089-2115 (2003) https://doi.org/10.1118/1.1591194
  5. Cameron JR, Suntharalingam N, Kenny GN: Thermoluminescent Dosimetry. Madison, Milwaukee, and London (1968). pp. 30-44
  6. 강영호, 라병욱, 최태진, 김도성, 도시홍: CaSO4:Mn 열방광선량 계의 물리적 특성. New Physics 25:479-485 (1985)
  7. 최태진, 김도성, 도시홍, 라병욱, 강영호: CaSO4:Dy 열방광선량계의 제작과 물리적 특성. New Physics 26:506-512 (1986)
  8. Randall JT, Wilkins MHT: Phosphorescence and electron traps. Porc Roy Soc (A) 184:366-389 (1945)
  9. Chen R: On the Calculation of Activation Energies and Frequency Factors from Glow Curves. J Appl Phys 40:570-585 (1969) https://doi.org/10.1063/1.1657437
  10. Halperin A, Braner AA: Evaluation of Thermal Activation Energies from Glow Curves. Phys Rev 117:408-415 (1960) https://doi.org/10.1103/PhysRev.117.408
  11. Almond PR, Biggs PJ, Coursey BM, et al: AAPM's TG-51 protocol for clinical reference dosimetry of high- energy photon and electron beams. Med Phys 26:1847-1870 (1999) https://doi.org/10.1118/1.598691
  12. 임영화, 김도성, 강희동: LiF:Mg,Cu,P-PTEE 열형광선량계의 제작과 특성. New Phys 33:523-529 (1993)
  13. Cameron JR, Suntharalingam N, Kenny GN: Thermoluminescent Dosimetry. Madison, Milwaukee, and London (1968), pp. 150-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