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early 20th century

한국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 교과과정 연구

  • Lee, Sang-Gu (Department of Mathematics, Sungkyunkwan University) ;
  • Ham, Yoon-Mee (Department of Mathematics, Kyonggi University)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We would like to give an introduction about 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the early 20th centuryan Ttails like, when tertiary mathematics was introduced in Korea, who adiated it, and how it appeared in curriculum for college education were present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e royal circle of the dynasty, officers, socd. Felites, intellectu. sculum in tand many foreatn my mionaries, who entered Korea, began to establish educational ulstitutions begulnearlfrom the nt80s. Kearl GoJongtannounced thescript for general education icentur. Most of the new schoo scadiated western mathematics as tcompulsory course in their curriculumiese introduced tertiary mathematics in most of the curriculumurse end curriculum in, lfrom nt85 to 1960. Since then, tertiary mathematics was tautit at most of the new private and public schools of each level and in colleges. We have investigated the history of Korean tertiary mathematics with its curriculum from 1895 to 1960.

초등(elementary), 중등(secondary)교육에 이어지는 대학 및 직업 교육을 총칭하여 고등(tertiary) 교육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정과 정규대학 교과과정으로의 정착 과정을 확인한다. 우리의 고등 수학교육은 산학자의 전통수학, 육영공원, 원산학사, 1895년 교육과정에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한 성균관, (교동)소학교, (교동)한성사범학교, (한성)중학교, 민족 사립학교, 종교학교, 배재학당 및 이화학당의 대학부, 숭실대학, 사범학교, 관 공립전문학교, 사립전문학교, 경성제국대학, 경성대학, 국립서울대, 김일성대를 시작으로 해방과 함께 전국의 주요대학을 통하여 전수, 발전 확산되며 오늘에 이르렀다. 1900년 근대 수학교과서의 발간을 시작으로 1909년까지 한글로 쓰인 근대 수학책이 봇물 터지듯 발간되었다. 그러나 오랜 수학적 연구의 전통과 1880년대에 시작된 고등교육에서의 서구식개혁노력은 1905년 이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간섭부터 시작하여 1910년 한일합방을 계기로, 특히 중등교육이상의 수학교육과 수학적 연구의 전통은 천천히 붕괴되었다. 최소한 1910-1945년 사이에는 한반도에 중등교육이나 교양수학의 수준을 넘어서는 진정한 고등 수학교육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반도가 일제로부터 해방이 되었을 때 한국은 모든 전문 직종에서 심각한 인력난을 겪었다. 특히 수학과가 단 하나도 없어 수학분야 이학사가 10여 명도 못되는 수학분야의 교수인력의 부족은 심각하였다. 단 한명의 교수도 연구경험을 가지지 못한 수학분야의 상황은 한국이 21세기 현대수학의 주류에 진입하는 과정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설된 다양한 국 공립 및 사립학교들에서 대학수학이 교수되었고 교육과정이 국제기준으로 정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근대 고등수학이 누구에 의하여 어떻게 도입되었으며, 어떤 교재로 누구에 의하여 지도 되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정규 대학과정의 교육과정으로 정착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개화기편, 1-5권, 인물과 사상사, 2007.
  2.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개화기편, 2권, 66-73, 인물과 사상사, 2007.
  3.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개화기편, 4권, 인물과 사상사, 2007.
  4.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개화기편, 5권, 16, 인물과 사상사, 2007.
  5. 교육부 교육개발원, 1944년 인구조사, 1999.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의 전개, 한국사론 42권, 2005, 77-114. (이성규, 이공학부를 중심으로 본 경성제국대학의 식민사적 의미)
  7. 김병기, 신정일, 이덕일, 한국사의 천재들, 163-187, 생각의 나무, 2006.
  8. 나일성 편저, 서양과학의 도입과 연희전문학교, 112-119,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9. 대한수학회, 대한수학회사 제 1권, 대한수학회, 1998.
  10. 문교40년사 편찬위원회, 문교 40년사, 961쪽, 문교부, 1988.
  11. 문만용, 김영식, 한국 근대과학 형성과정 자료, 서울대학교 한국학 연구총서 2,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12. 문정창, 군국일본조선강점삼십육년사(상). 195-215, 서울 박문당, 1996.
  13. 민경배, 알렌의 선교와 근대한미외교.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48-153, 1991.
  14. 박성래, 독립운동가 이상설 한국 근대 수학교육의 아버지, 주간동아 447호, 71, 2004.
  15. 박한식, 한국수학의 변천고찰, 수학교육, 6호, 1권(1967), 6-19.
  16. 박한식. 한국수학교육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17. 배항섭, 고종高宗과 보성전문학교의 창립 및 초기운영, 역사학연구회 (구 고대사학회), 사총 , 59권(2004), 215-248.
  18. 서홍관, 우리나라 근대의학 초창기의 교과서들, 한국수학사학회지, 3(1994), 49-56.
  19.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육백년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20.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3.
  21.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 편, 연세대학교 백년사 제 1권, 연세대학교출판부, 177쪽, 1985.
  22. 이상구, 양정모, 함윤미, 근대 계몽기 일제강점기 수학교육과 해방이후 한국수학계, 한국수학사학회지, 19권, 3호(2006), 71-84.
  23. 정선이, 경성제국대학연구, 문음사, 2002.
  24. 정인경, 일제하 경성고등공업학교의 설립과 운영, 한국과학사학회지, 16권, 1호 (1994), 31-65.
  25. 정인경, 청소년을 위한 한국과학사, 두리미디어, 335쪽, 2007.
  26. 정지호, 심희보, 개화기의 한국수학교육, 한국수학사학회지, 4권 1호(1987), 9-23.
  27. 조선민족문화사대계 편찬위원회, 중국조선민족문화사대계 4권, 18-24(2006), 교육사. 북경대학 조선문화연구소.
  28. 학교법인 중동학원, 중동백년사 동문사, 18-20쪽, 도서출판 지코사이언스, 2007.
  29. Dong, W., Assimilation and social mobilization in Korea. In: Nahm. A.C. (Ed.),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Center for Korean Studies, Western Michigan Univ. Press, Kalamazoo, 1973.
  30. Hirotani, T. and Hirokawa, T., A comparative study of the policy of colonial education in Formosa and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 Bulletin of the Faculty of Education, Hokkaido University 22(1973), 19-92.
  31. Lee, J.-K., Korean Higher Education under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1945-1948. Radical Pedagogy (ISSN: 1524-6345), 2006.
  32. Lee, S.-G., Noh, J. and Song, S.-Y., A Study on obstacl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mathematic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2008 submitted.
  33. Rim, H.-Y.,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EdD diss., Columbia University, 1952.
  34. Tsurumi, P., Japanese Colonial Education in Taiwan 1895-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1997.
  35. Watanabe, T. and Abe, F., Collection of Educational Policy for Japan's Colonies (Korea). 39 vols. Cheonggae 龍溪書舍press, Tokyo, 1986.
  36. Yanaihara, T., Problems of Japanese Administration in Korea, Pacific Affairs, 11, No. 2(1938), 198-207. https://doi.org/10.2307/2750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