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External Quality of Polished Barley

시판 소포장 보리쌀의 품위 평가

  • Bae, Sook-Hyu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ong-Sig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ong, Seung-Keun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배숙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홍식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 정승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Demand for the high quality barley with fibroid material and functional substances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although the amount of barley consumption decreased drasticall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ut the limited information on quality of barley makes consumers hard when they purchase barley for their own consumption. Therefore, 51 brand barley, .i.e., 28 naked barley and 23 waxy barley from supermarkets and 10 polished barley from local markets were collected, and their external quality were analyz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brand barley. Among 51 brand barley, 56% were 1kg package and 25% were 800 g pack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1{\pm}3.62\;g$) between printed and actual weighs. The weight of 1,000 grains of naked barley and waxy barley ranged $18.6{\sim}26.7\;g$ and $14.6{\sim}24.7\;g$, respectively. Thousand grain weight of 38% of naked barley ranged $20{\sim}22\;g$, while that of 43% of waxy barley ranged $18{\sim}20\;g$. The ratio of normal grains was 88% and 94% for naked barley and waxy barley, respectively, when separated with 1.7 mm sieve. Although 82% of brand barley products were free from foreign substances, in 18% of brand barley products, sands, pieces of cloth and wood, other kinds of grain and insect larvae were found, Average test weight of brand barleys was $843g{\cdot}L^{-1}$ with range of $805{\sim}917g{\cdot}L^{-1}$. Water content was less than 14% in 7.8% of barley products, while it was $14{\sim}15%$ in 62.7% of them. Average whiteness of brand barley was 31.06, while waxy barley had higher whiteness with 27.28 than naked barley with 34.16. Heated water uptake rate of milled naked barley and milled waxy barley were 215.4% and 231.7%, respectively, while expansion rate of milled naked barley and milled waxy barley were 379.7% and 401.6%, respectively. Barley from local markets were as good as brand barley products in 1,000 grain weight, ratio of normal grains, inclusion of foreign substances, test weight, water content, whiteness, water uptake rate, and expansion rate, but they showed higher ratio of foreign substances included.

시중에서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의 외관과 품위를 평가하여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브랜드 보리쌀의 품질 등급 기준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전국의 중대형 슈퍼마켓에서 2007년 6월$\sim$7월에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 61점(쌀보리쌀 28점, 찰보리쌀 23점, 재래시장 보리쌀 10점)을 식물자원학과 유전육종학실험실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브랜드 보리쌀의 포장단위는 $200{\sim}1,000\;g$이었는데, 1,000 g 포장된 것이 56.8%였으며, 800 g 포장이 25.4%였는데, 찰보리쌀은 800 g 포장이 많았고, 쌀보리쌀은 $200{\sim}300\;g$의 작은 단위로 포장된 것도 있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한 되 평균 중량은 1,159 g이었는데, $762{\sim}1,732\;g$의 범위로 차이가 컸다. 2. 보리쌀의 1,000립중은 평균 $20.1{\pm}2.51\;g$이었는데, 쌀보리쌀은 $18{\sim}28\;g$였고, 찰보리쌀은 $14{\sim}26\;g$이었으며, 쌀보리쌀은 $20{\sim}22\;g$이 39.2%이고, 찰보리쌀은 $18{\sim}20\;g$이 43.47%로 가장 많았다. 3. 보리쌀의 정립율은 쌀보리쌀이 평균 88.0%였고, 찰보리쌀은 평균 94.3%로 찰보리쌀의 정립율이 더 높았는데, 쌀보리쌀의 정립율이 현저히 낮은 것은 싸라기율이 높기 때문이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정립율은 평균 69.7%로 브랜드 보리쌀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4. 브랜드 보리쌀의 용적중은 평균 $843\;g{\cdot}L^{-1}$였고, $805{\sim}917g{\cdot}L^{-1}$의 범위였는데, 가장 높은 것은 쌀보리쌀의 $917g{\cdot}L^{-1}$였고, 가장 낮은 것은 쌀보리쌀의 $805g{\cdot}L^{-1}$였으며, 변이계수로 보아 찰보리쌀의 용적중 변이가 더 컸다. 5. 브랜드 보리쌀의 수분함량은 평균 14.75%였는데, 찰보리쌀은 평균 16.2%로 수분함량이 높았고, 쌀보리쌀은 평균 13.75%로 찰보리쌀에 비하여 낮았다. 6. 쌀보리쌀의 길이는 평균 4.61 mm였고, 폭은 평균 3.05 mm였으며, 두께는 평균 2.12 mm였고, 찰보리쌀은 길이가 평균 4.44 mm였고, 폭은 평균 2.89 mm, 두께는 평균 2.06 mm로 쌀보리쌀이 찰보리쌀에 비하여 모두 컸다. 7. 보리쌀의 장폭비는 대부분이 $1.4{\sim}1.9$의 범위였으며, 장폭비는 쌀보리쌀이 $1.51{\pm}0.10$, 찰보리쌀이 $1.74{\pm}0.13$으로 찰보리쌀이 약간 길었으나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1.31{\sim}1.70$$1.33{\sim}1.74$로 차이가 없었다. 보리쌀의 입장과 입폭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입후와는 상관이 없었다. 8. 백도는 쌀보리쌀이 $34.2{\pm}7.34$였고, 찰보리쌀은 $27.3{\pm}10.21$였으며,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보리쌀은 $40{\pm}6.12$로 찰보리쌀이 가장 낮고 재래시장의 보리쌀이 가장 높았다. 9. 쌀보리쌀의 가열흡수성은 평균 215.41%였으며, 대부분이 $200{\sim}220%$였고, 퍼짐성은 평균 379.68%였으며, 주로 $350{\sim}400%$였다. 찰보리쌀의 가열흡수성 평균은 231%였고, 주로 $240{\sim}260%$였으며, 퍼짐성은 평균 401%였고, 주로 $400{\sim}450%$가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중현, 1989. 보리의 찰,메 및 皮,과성 因子가 品質, 收量 및 收量關聯形質에 미치는 影響. 서울대 대학원
  2. 農林水産技術協會事務局. 2002. 麥高品質化に向けた技術開發. 財團法人農林統計協會
  3. 농산물검사기준. 2002. 농림부고시 제2002-22호(http://www.naqs.go.kr)
  4. 농산물표준규격. 2006.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2006-30호(http://www.naqs.go. kr)
  5.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2006.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품종육성 및 재배, 수확 후 관리 기술
  6.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2001. 친환경농업 실천을 위한 맥류과학영농 참고자료
  7. 농촌진흥청. 2001. 보리재배. 표준영농교본-118(개정판)
  8. 농촌진흥청. 2003. 고품질 쌀 생산과 관리. 표준영농교본-136
  9. 문헌팔, 박순직, 고희종. 1994. 미질특성의 유전과 육종. 박래경(대표저자). 작물 품질개량 육종. 농촌진흥청. pp. 113-131
  10. 박래경. 1994. 작물 품질개량 육종. 농촌진흥청. 수원. 수원
  11. 손영구, 박정화, 이춘기, 이용호, 양진수. 2005. 찰보리 가공제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조사연구. 작물과학논총 6 : 591-596
  12. 손종록, 김재현, 이정일, 윤영환, 김제규, 황흥구, 문헌팔. 2002. 쌀의 품질평가 현황과 금후 연구방향. 한국작물학회지 47(S) : 33-54
  13. 송진, 천아름, 김선림, 김덕수, 손종록. 2006. 외관 기호도에 의한 쌀의 색택 및 형태관련 특성. 한국작물학회지 51(7) : 618-623
  14. 전라남도농업기술원. 2002. 쌀품질 고급화를 위한 수확 전후관리기술 확립
  15. 정승근, 우선희, 김홍식, 2007. 콩 시판 브랜드 제품의 외관품질평가. 한국작물학회지 52(3) : 539-548
  16. 조장환, 한옥규, 이동진, 박문웅. 2004. 맥류생산과학. 한림원. 수원. 585p
  17. 최근진. 2002. 식물 품종 및 종자의 품질평가 기준에 대한 규정현황. 한국작물학회지 47(S) : 200-215
  18. 최윤희, 정진일, 박홍규, 김재현, 김기영, 신문식, 고재권, 김정곤. 2005. 국내산 유통 브랜드쌀의 지역별 품질특성. 한국작물학회지 별책(1) : 242-243
  19. 하용웅. 2000. 보리.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수원. 58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