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BL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 발행 : 2009.01.30

초록

본 연구는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적성, 흥미, 성격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다양한 직업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PBL(문제중심학습)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BL 기반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은 먼저 아동들의 발달 특성 및 요구분석을 거쳐 과제 분석을 실시하고 수행목표를 진술한 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요소인 PBL 문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각 영역별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발표에 대한 평가계획 및 평가도구를 제작하고 온라인 학습공간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 회기 40분 단위의 총 21개 회기로 구성되어 초등학교 5학년에 8주 동안 실시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진로태도와 진로태도의 하위요인(계획성, 성향, 타협성), 진로능력과 진로능력의 하위요인(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의사결정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각 영역별로 제시되는 PBL 문제를 팀을 이루어 해결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일과 직업세계에 관한 다양하고 질이 있는 지식을 쌓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의사결정능력의 향상,모둠원간의 활발한 상고작용과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진로능력 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초등학생의 진로교육에 있어 자율적인 학습태도와 주체의식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하고 개발하고 개척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BL-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on school children's career maturity. It's specifically meant to prepare a career education program to assist students to get an accurate grip on their aptitude, interest and personality and explore various sorts of occupations in the course of solving authentic and contextual career-related problems. After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were analyzed, task analysis was implemented, and the objectives were defined. And then the core of the program, PBL problem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 problems were verified Evaluation plans and tools were prepared to assess children's problem-solving process and presentation, and an online learning space was designed. The program that consisted of 10-minute 21 sessions was provided to fifth-grade elementary schoolers for eight week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BL-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in career attitude and three career attitude subfactors involving planness, disposition and compromise. And the former made a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latter in career ability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vocational comprehension, self-understanding and decision-making skills as well. As a result of making a content analysis to make up for the survey,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able to get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acquire diverse and profound knowledge on work and the business world in the middle of solving the given PBL problems related to different areas in group and giving a presentation. In conclusion, a PBL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encouraged the students to have an objective self-understanding, to have a dynamic interactive discussion with their group members. Therefore the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boosting the career attitude and career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er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in the field of elementary career education, autonomous learning attitude and subjecthood are the crucial factors to stimulate school children to explore and create their own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