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 So, Hyun-Su (Institute of Korean Cultural Landscape Studies)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ology of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s through both life-oriented philosophy and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which are similar to ecology. Also, useful tools for discovering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ased on the ecological thoughts in ancestors' life are shown. Ecological key words as interpretative tools on the traditional landscape replaced ecological concepts in Korean culture and landscape. There are 'Bonsung(本性; the original nature)', 'Chungjeol(中絶; moderation)', 'Hyoyul(效率; efficiency)', 'Sangsaeng(相生; symbiosis)', 'Jasaeng(自生; self-generation)', 'Chunghwa(中和; neutralization)', 'Bangtong(旁通; communication)', and 'Byuntong(變通; variableness)'. For the case study, the concepts of 'spatial structure', 'constructive elements in the traditional gardens', and 'structural elements in the dwelling houses' were extracted from $\ulcorner$Imwonkyeongjeji$\lrcorner$ as an interpretative subject. As a result, Jeongon house, Jongtaek of Choi's family(the first incoming resident) showed us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y interpretation on the composing elements. Namely, they are natural dwelling houses in harmony with natural conditions and delicate relational styles. Five kind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posed. They are: 1. land use method following natural features('本性' '相生' '中和'), 2. physical and spatial elements in a body with nature('中絶' '相生' '中和'), 3. sustainable circulation system by recycling limited resources('效率' '自生' '旁通'), 4. use of natural materials based on the regional climate ('中絶' '效率' '自生') and 5. plane and structural decision by microclimate('效率' '自生' '變通'). Consequently, the dwelling houses and their traditional gardens aimed at the consuming space of the efficient resources by utilizing and circulating natural energy more than different types of the traditional spaces.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경(2001) 한국 전통주택건축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병주(2005) 풍수로 본 한국 전통마을의 생태적 환경 친화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삼능, 강병근(1991) 생태적 접근방법에 의한 한국 전통주택분석과 그 현대적 수용. 대한건축학회지 11(2): 115-122
  4. 김치국, 윤종호, 최율(2002) 우리나라 전통마을의 생태건축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2(2): 91-99
  5. 박희영(2001) 거주자 생활 중심으로 본 거창 정온 종택의 전통공간 현장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소현수(2008a) 전통경관의 조영 원리에 대한 생태학적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소현수(2008b)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도구 추출-생명사상과 전통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9-17
  8. 안대회 역(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서유구, 임원경제지. 파주: 돌베개
  9. 이도원 편(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주)사이언스북스
  10. 이영미, 천득염(2005) 한국 전통건축과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나타난 생태학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14(4): 101-114
  11. 이은희(1998) 생태 건축적 측면에서 고찰한 한국 전통건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6: 115-126
  12. 전영옥, 이상문(2004) 한국 전통도시의 생태적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23(2): 7-20
  13. 정병석(1993) 천인합일의 생명관.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50: 25-42
  14. 최율(2002) 방촌마을의 생태주거단지 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2(1): 33-40
  15. 홍종숙, 강병근(2001) 양택론의 현대적 해석과 그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 505-508
  16. Steiner, Frederick R.(2000) The Living Landscape:An Ecological Approach to Landscape Planning. New York: McGraw Hi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