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racters of DITI, HRV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in Amenorrhea

무월경 환자의 DITI와 HRV, 체성분 분석을 통한 특성 연구

  • Jeong, Jae-Hyuk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 Lee, Jin-Moo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 Lee, Chang-Hoo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 Cho, Jung-Hoo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 Jang, Jun-Bock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 Lee, Kyung-Sub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정재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11.27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characters of DITI, HRV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in Amenorrhea. Methods: We studied 47 patients visiting ○○ hospital from 1st October 2007 to 19st September 2009.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amenorrhea group(26) and normal group(21). We studied the difference of DITI, HRV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between two groups by Mann-whitney test using SPSS for windows(version 12.0). Results: ther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ITI, HRV and BMI between amenorrhea group and normal group. Bu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nt body fat and waist-hip ratio between amenorrhea group and normal group. Conclusion: Percent body fat and Waist-Hip ratio of amenorrhea groups is lower than normal groups. Percent body fat and Waist-Hip ratio can be diagnosis index.

Keywords

References

  1. 채희동 등. 무월경 여성에서의 원인적 분류에 따른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1999;42(5):975-80.
  2.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서울:고려의학. 2007:325.
  3. Speroff L, Glass RH, Kase NG.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Baltimore:Lippincott. 2000:421-85.
  4. Wallach EE, Zacur HA. Reproductive medicine & surgery. St Louis:Mosby. 1995:169-82.
  5.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상).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2:119-20.
  6. 김시영, 이인선. 육미지황원과 부익지황환이 난소적출백서의 성호르몬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1):184.
  7. 牛建昭 主編. 中西醫婦科學. 北京;中國科學技術出版社. 1996:129-36.
  8.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행림출판. 1994:114.
  9. 김로사 등. DITI를 이용한 갱년기 환자의 체열분포 양상.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58-69.
  10. 김혜원 등. DITI를 통한 불임여성의 체열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33-9.
  11. 박경선 등. 월경전 증후군(PMS) 환자의 Heart Rate Variability(HRV)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99-110.
  12. 정재혁 등. 일부 월경통 환자의 체성분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55-63.
  13. 송호림. 무월경 환자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173-81.
  14. 김지양 등. 호르몬 검사를 이용하여 관찰한 속발성무월경 및 과소월경 치험 4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3):267-76.
  15. F. Pettersson, H. Fries, S.J. Nilllius. Epidermiology of escondary amenorrhea. I. incidence and prevalence rates. Am J Obstet Gynecol 1973;117:80-6. https://doi.org/10.1016/0002-9378(73)90732-1
  16. G. Bachmann, E. Kemmann. Prevalence of oligomenorrhea and amenorrhea in a colleage population. Am J Obstet Gynecol 1982;144:98-102. https://doi.org/10.1016/0002-9378(82)90402-1
  17. 홍원식. 정교황제내경소문. 동양의학 연구원출판국. 1981:31, 124.
  18. 葉桂. 葉天士女科. 서울:종합의원사. 1974:26-34.
  19. 이진무 등. 經閉(無月經)에 關한 臨床的 考察. 대한한의학회지. 1996;17(2):405-17.
  20. 이혜경.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이 시험기간 중 여고생의 월경양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8;14(4):314-22.
  21. 이인선, 김규곤. 월경이상을 가진 여고 1학년 학생의 병기산출빈도에 대한 연구. 한의학연구소 동의한의연 제9집. 2005:5-17.
  22. 송미선. 비만치료 후 발생한 무월경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2006;14(1):192-200.
  23. 이인선, 배경미. 한방진단시스템 DSOM을 이용한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변증진단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2):189-208.
  24. 김혜원, 김용석, 이경섭. 적외선 체열 진단기기를 이용한 20대 월경통 환자의 복부온도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311-8.
  25. 허자경 등. HRV(Heart Rate Variability) 측정을 통한 희발월경 환자의 자율 신경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101-10.
  26. 이진용. 생식 내분비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2:103-4.
  27. 박기현 등. 젊은 무월경 환자에서 생화학적 골 대사 지표를 이용한 골 교체에 관한 연구. 대한폐경회지. 199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