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according to Digestive Power, BMI in the High School Female

여고생의 소화기능 및 BMI에 따른 월경통 차이 연구

  • Yang, Na-Rae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Cho, Jung-Hoon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Jin-Moo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Chang-Hoon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Jang, Jun-Bock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Kyung-Sub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양나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Published : 2009.11.27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body mass index (BMI), dysmenorrhea and digestion function.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07 high school girls about their menstruation and digestion function from one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from Mar. 23 to Mar. 28 in 2009. And the we measured their height and weight to calculate their BMI. Using one way ANOVA, chi-squar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by SPSS 12.0. We significance level p-value was determined as 0.05.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MI and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MI and digestion power. 3. There was statistically mild correlation between dyspepsia and the severity of menstrual pains. Conclusion: From above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dyspepsia had mild relation to menstrual pains.

Keywords

References

  1. 이인선 등. 여고생의 월경이상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4):124-35.
  2. 허준. 대역 동의보감. 서울:동의보감출판사. 2005:121, 250, 74.
  3. 이현정 등. 여고생의 체형에 따른 식습관 및 식품기호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3;9(2):116-22.
  4. 한명주 등.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0;16(1):84-90.
  5.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행림출판사. 1990:165, 167, 169.
  6. 이승재, 정승현, 이원철. 칠정과 소화기질환에 관한 비교고찰.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1996;7(1):121-35.
  7. 장영운. 비만과 관계된 소화관질환. 2003년 춘계소화기연관학회 합동세미나. 2003;68-72.
  8. 이혜경.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이 시험기간 중 여고생의 월경양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8;14(4):314-22.
  9. 정원석 등. 한국성인 비만여성의 체지방 분포와 월경장애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4;4(1):23-31.
  10. 전승희, 최경미, 박영배. 여성 비만의 유발유형별 일반 증상과 검사 특성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4;25(1):172-87.
  11. 임은미 등. 통경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355-64.
  12. 전승희, 최경미, 박영배. 여성 비만의 유발유형 분류 방법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3;24(1):122-32.
  13. 금종국, 오민석, 송태원. 비만의 약물 치료에 관한 동서의학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02;11(1):194.
  14. 정재혁 등. 일부 월경통 환자의 체성분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55-63.
  15. 송정오 등. 여고생의 월경양상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64-82.
  16. 조수현 등. 사춘기 여학생의 월경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9;42(9):2043-7.
  17. 신재철 등. 한국 10대 여성의 초경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6;39(5):866-76.
  18. 최영은 등. 서울 지역 청소년 연령층의 주요 건강관련 문제. 가정의학회지. 2000;21(2):175-85.
  19. 하명주 등. 서울 지역 일부 중학생의 성장발육 및 영양상태. 한국영양학회지. 1997;30(3):326-35.
  20. 하상우.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칼로리 소비량, 섭취량, 월경주기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