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저소득층 여성의 스트레스와 월경의 실태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struation among Low-income Women

  • 김현정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김윤상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임은미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Kim, Hyun-Jung (Dept. of Oriental Obstetrics&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Kim, Yoon-Sang (Dept. of Oriental Obstetrics&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Lim, Eun-Mee (Dept. of Oriental Obstetrics&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발행 : 2009.11.27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strual pattern among low-income women. Methods: From 5th October to 24th October 2009 we researched 14 low-income mothers by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ir stress and menstrual patterns. Results: The mean level of their stress was $6.71{\pm}2.92$. The less the income was, the higher the stress was. Among the women, the stress of those who do not had husbands was also high. Most of the women's menarche came late and their menstrual cycle was long. The menstrual color was a little dark and they had blood clots and pain during menstruation. Their mental states also often changed over the period and they had pattern of blood stasis. The study observed that the higher the stress was, the worse the menstrual pain was. Conclusion: Low-income women are under stress by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menstrual patterns often change. Stress has correlation with menstru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유원섭. 저소득층 의료보장제도의 현황과 과제. 월간 복지동향. 2003;61:12-6.
  2. 안순덕 등. 영세지역 아동보육 및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988;12:1-247.
  3. 정현희, 최경순. 저소득층 취업모 아동의 방과 후 생활조사 : 중류층 취업모 아동과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1996;34(2):379-90.
  4. 조희금. 생산직 기혼 여성의 생활시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1993;31(3):101-12.
  5. 허정무. 부모교육 이론 및 프로그램 모형 분석 : 맞벌이 부모 대상 부모 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1995;32:389-428.
  6. 노미혜 등. 여성의 취업 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992;20:1-270.
  7. 정문자, 이미리, 어주경.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제특성과 주부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가정의학회. 1998;36(6):13-26.
  8. 김문정 등. 서울지역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양상과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2007;41:99-118.
  9. Fredman D, Jaffe A. Influence of life style on the premenstrual syndrome ;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J Reprod Med. 1985;30(9):715-9.
  10. Woods N, Mitchell E, Lentz M. Social pathways to premenstrual symptoms. Res Nurs Health. 1995;18(3):225-37. https://doi.org/10.1002/nur.4770180306
  11. 김진숙, 원호택. 월경전기 증후군, 월경에 대한 태도, 신경증적 성격특성 및 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논문집. 1998;135-52.
  12. 정문희. 월경곤란시 여자중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및 그 대응에 관한 소고.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1;5(2):45-51.
  13. 유조안. 저소득층 편모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 김진이.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만성적 스트레스 경험이 유아기 자녀를 둔 저소득층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09;25:25-56.
  15. 서지영 등. 북한 여성들의 초경 및 월경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4):186-95.
  16. 육상숙, 김윤상, 임은미. 탈북여성들의 월경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관련 인자들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4):174-85.
  17. 박해웅, 김동일. 여고생의 사상체질에 따른 월경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169-85.
  18. 김계현. 상담심리학1. 서울:學志社. 1995:193-95.
  19. 김현제. 東洋醫學槪要. 서울:동양의학연구원. 1977:7.
  20.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서울:도서출판 고려의학. 2008:227-58.
  21. 김상효. 東醫神經精神科學. 서울:행림출판사. 1980:42, 57-61, 277-8.
  22. 황의완. 心身症. 서울:행림출판사. 1985;24-9, 33, 43-50.
  23.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I).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122-32, 155-61, 196-201.
  24. 송은희, 이경섭, 송병기. 설문조사에 의한 10대 여학생이 월경에 관한 실태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1):1-13.
  25. 오승희 등. 20-30대 여성 461례의 월경에 관한 실태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63-74.
  26. 조순남. 實用婦人科學1판. 서울:성보사. 1996:77-8, 141-55.
  27. 정병천, 김동철, 백승희. 고3수험생의 월경실태분석을 통한 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조사(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대한한의학회지. 2000;21(4):93-103.
  28. 한선영. 도시 저소득층 여성의 생활실태 및 여성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9.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009:158, 473.
  30. 은기수, 권태환. 한국 유배우 여성의 인공임신중절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인구학. 2002;25(1):5-32.
  31. 질병관리본부. 2007 국민건강통계. 2008;213.
  32. Lepore SJ. Social Conflict,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Evidence of Cross-Domain Buffering Effects. J Pers Soc Psychol. 1992;63(5):857-67. https://doi.org/10.1037/0022-3514.63.5.857
  33. Dare FO, Ogunniyi SO, Makinde OO. Biosocial factors affecting menarche in a mixed Nigerlan population. Cent Afr J Med. 1992;38(2):77-81.
  34. 전국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한방병리학. 서울:일중사. 2004:95.
  35. 이태균 편역. 부인규. 서울:법인문화사. 1991:72, 251-64.
  36. Bajaj P et al. Endometriosis is associated with central sensitization: a psychophysical controlled study. J Pain. 2003;4(7):372-80. https://doi.org/10.1016/S1526-5900(03)00720-X
  37. 임은미, 이동녕. 痛經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35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