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jor Issues of Post-Kyoto Negotiation and Their Implications : An Economic Analysis by Using a CGE Model

Post-Kyoto 협상의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 : 연산일반균형(CGE)모형을 활용한 경제적 분석

  • Received : 2009.02.11
  • Accepted : 2009.08.28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paper evaluates major issues of Post-Kyoto negotiation of UNFCCC and conducted economic analysis by utilizing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model(GTEM-KOR). It points three major agendas of the negotiation to be settled : (1) return of the US to GHG abatement commitment; (2)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in GHG abatement commitment; and (3)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approach for post-Kyoto period. It also emphasizes the differenti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type and strength of commitment as the negotiation issues for settlement of those agendas. The analysis by using GTEM-KOR shows the differentiation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per capita GDP and/or per capita emissions is inefficient in terms of global GHG emission reduction and it will exposure Korea to strong pressure of commitment relative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It also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environmental effectiveness of the Post-Kyoto regime. It emphasizes that the relative strength of commitment and the scope of country participation rather than type of commitment are major components determining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iveness of the Post-Kyoto regime.

본 연구는 기후변화 관련 Post-Kyoto 협상의 주요 쟁점사항들을 정리하고, 연산일반균형모형인 GTEM-KOR를 활용하여 경제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협상에서 해결해야 될 쟁점사항으로서 미국의 감축의무 참여, 개도국의 감축의무 참여, 광범위한 감축의무 참여 유도를 위한 감축의무 방식 개발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도국간 차별화와 감축의무의 형태 및 강도 등이 중요한 협상 이슈가 될 것임을 지적하였다. GTEM-KOR를 활용한 분석에서는 일인당 GDP, 일인당 배출량 등 일인당 지수에 기초한 개도국간 차별화는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효과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한국을 타 개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감축의무 참여 압력에 노출시킬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등 주요 개도국의 감축의무 참여가 Post-Kyoto 체제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감축의무 참여범위가 확대될수록 감축효과는 커지고 한계저감비용은 절감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감축의무의 형태보다는 감축의무의 상대적 강도와 국가들의 참여범위가 Post-Kyoto 체제의 경제 및 환경적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