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ery Exit Model under Individual Transferable Quota System : An Inquiry into the Economic Efficiency Achievement in Fishery

수산자원 ITQ 하에서의 어업퇴출모형

  • Park, Hojeong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Korea University) ;
  • Jang, Heesun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Korea University)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ITQ (individually transferable quota) is to reduce the overcapitalization problem in the open-access fisher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least cost-efficient vessels under ITQ may exit first from the fishing by selling their quotas, thereby also reducing the excess capit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ase when ITQ may prompt the exit of less cost-inefficient vessels in the presence of irreversible exit cost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cost-inefficiency. Real option model i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ource of hysteresis associated with fishery exit decision. By linking the interaction between vessels' adjustment costs, cost-efficiency of harvest and uncertainty of fishery return, we show that cost-inefficient vessels will not exit always first from the fishery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wisdom.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is discussed.

ITQ 제도의 목적은 어업에 투자된 과도한 자본을 줄여 어자원의 남획을 막는데 있다. 그 동안 ITQ 제도는 가장 비용 효율적이지 못한 어선들부터 자신들의 쿼터를 처분함으로써 스스로 시장에서 퇴출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믿어져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실물옵션 기법을 도입, 퇴출 비용에 비가역성이 존재할 경우 덜 비용 비효율적인 어선들이 먼저 퇴출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퇴출에 따르는 비용이 비용 비효율적인 정도에 비례하고 비가역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할 때, 퇴출에 지연 동기가 발생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오히려 자본이 과도하게 투자된 어선 보다 그렇지 않은 어선이 먼저 퇴출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현실적으로 제공하는 정책적인 함의 또한 기술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