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Condition to Dental Caries in Korean Adults

우리나라 성인들의 치아우식증 인지실태

  • Published : 2009.04.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recognition of dental caries(ACRDC), presenting a scheme to improve the recognition, and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to prevent oral diseases, Dental caries (DC) which one of the three most important chronic diseases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on ACRDC for about 390 people twenty and over who visited dental clinics for dental treatment 336 questionnaires with exception of omitted answer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Many of them had never heard of DC and most of them failed to recognize it. People who experienced DC had a dental clinic as a main information channel and the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se obtaining information through other channels(p=0.008).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effects on ACRDC demonstrated that possibility of subjects in their twenties recognizing DC more accurately than those in their forties Odds ratio(95% confidence Interval) was 2.06(1.16-3.66)(p=0.000), with the possibility of professionals recognizing the disease more accurately than those with other kinds of occupation 5.49(2.52-11.93)(p=0.000),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As for medical security, possibility of work insurance being related to more accurate recognition of dental caries than others was 1.95 (1.03-3.71)(p=0.003), with the possibility of subjects whose dental state was very good recognizing dental caries more accurately than those whose dental state was very bad 6.40(1.57-26.03) (p=0.002),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For prevention of DC, an education through experts working at a dental clinic are necessary for those in their twenties and over, who were other than professionals, who were insured for medical security via other than work insurance, and whose dental state was bad.

국내 3대 만성질환 가운데 하나인 치아우식증 인지실태를 조사하고 인지실태 향상 방안을 제시하여 구강질환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치과병원에 치과진료를 위하여 내원한 20대 이상의 성인 남녀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3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치아우식증에 대하여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많았고, 대부분이 인지를 못하고 있었다. 치아우식증 정보경로는 치과이었고, 치과에서 정보를 얻은 사람이 다른 경로를 통하여 얻은 사람과 비교하여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8). 치아우식증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단변량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0대는 40대 이상보다, 전문직은 기타보다, 구강상태 매우 건강은 매우 나쁨보다 치아우식증을 정확히 인지할 가능성[OR(95%CI)]이 각각 2.06(1.16-3.66)(p=0.000), 5.49(2.52-11.93)(p=0.000), 6.40(1.57-26.03)(p=0.002)으로 나타났다.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해 20대 이상, 전문직 이외 직종, 직장보험 이외 의료보장 가입자, 구강상태가 나쁜 사람을 대상으로 치과 전문가를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가족부, 2001 국민건강영양보고서, 2002.
  2. 보건복지가족부,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보고서, 2003.
  3. 김정순,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변천과 현황", 대한의학협회지, 제36권, 제3호, pp.271-284, 1993.
  4. 서현석, 박경섭, "충남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 건강수준 및 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4호, pp.641-653, 2003.
  5. 고대호, 김종배, 백대일, 문혁수, "과자 제조여성 근로자의 치아우식 경험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6권, 제1호, pp.27-45, 2002.
  6. C. McGrath, R. Bedi, M. S Gilthorp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View of public in th United Kingdom," Community Dent Health, Vol.17, No.1, pp.3-7, 2000.
  7. D. L. Ronis, W. P. Lang, C. L. Antonakos, and W. S. Borgnakke, "Preventive oral health behaviors among African-Americans and white in Detroit," J Public Health Dent, Vol.58, No.3, pp.234-240, 1998. https://doi.org/10.1111/j.1752-7325.1998.tb02999.x
  8. P. E Petersen, "Social inequalities in dental health-Towards a theoretical explantion," Comm Dent Oral Epidemiol, Vol.18, No.3, pp.153-158, 1990.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0.tb00042.x
  9.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김진범, 공중구강보건학 (개정판), 고문사, 2004.
  10. 임병철, 구강보건학, 청구문화사, 1999.
  11. 김영남, 정기호, 권호근, "서울경기지역 특수학교 12-14세 아동의 치아우식증 위험요인에 관한 조 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3호, pp.387-396, 2003.
  12. N. W. Jonnson, "Risk markers for oral diseases," Dentalcarise(Cambridge Univ), Vol.3, No.1, pp.1-12, 1991.
  13. 박경숙, 서은숙, 신미경, "초등학교 아동의 식품 섭취실태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SOC. FOOD SCI. 제15권, 제1호, pp.16-22, 1999.
  14. 신명숙, "초등학교학생들의 간식습관 및 구강 관리실태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 연구", 동남보건 대학논문집, 제21권, 제1호, 2003.
  15. 이흥수, 이윤우, "전라북도 일부지역 경제활동 여성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3권, 제4호, pp.333-346, 2000.
  16. 강명신, 김종령, 김형규, 김백일, "구강보건인식, 태도, 행동 및 지식도가 치태관련 질환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44-164, 1994.
  17. 공만석, 이흥수, 김수남, "모친의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0권, 제1호, pp.31-53, 1996.
  18. 김영희, 송근배, 이성국,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동과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건강행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15권, 제1호, pp.83-92, 2002.
  19. 송근배, 최연희, 홍석진, 김진범, "한국 성인들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구강보건의식행태에 따른 치 아우식증 실태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 권, 제2호, pp.319-328, 2003.
  20. 원복연, "대전시 초등학교 아동의 식생활 습관과 치아우식 발생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3권 별책, pp.43-44, 1999.
  21. 노용환, 최선락, 박병건, 장기완, "식이섭취 실태, 우식증 이환상태 및 우식활성의 상관관계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17권, 제2호, pp.386-402, 1993.
  22. 이춘희, 최충호, 권호근, "한국아동의 치아우식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 권, 제1호, pp.47-57, 2003.

Cited by

  1. E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Public Health Behaviors of the Visually Impaired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vol.14, pp.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