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Geophysical data Using Bathymetric Surveying Product

해저지형 측량성과를 이용한 지구물리자료 비교분석

  • 김용철 (국립해양조사원) ;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박병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information of ocean topology is the fundamental source which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cean, producing nautical charts and delimiting maritime boundaries. An echo sounder is being used generally to collect undersea bathymetric data, but an indirect method such as geophysical data acquired by satellites is being used recently. In this study, the outputs of ocean surveying for the production of the Basic Maps of the Sea in 1996 and 1997 in the East Sea and the bathymetric data produced by geophysical data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tudy areas are Ulleung Plateau, Ulleung Basin and the southern area of Ulleung Basin which have different geophy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bathymetric data acquired by an indirect method using satellite is similar to the field surveying results in general configuration of ocean floor and average depth. However, the minimum square error is about 100m in 1700m depth, and it has been observed a local error up to 1000m.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tailed undulation of ocean topology is shown on the gravity data which is acquired by the research vessel.

해저지형 정보는 바다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항목이며, 항해용 해도를 제작하고 해양경계를 획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해저지형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음향측심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인공위성에서 얻은 지구물리자료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1996년과 1997년에 실시한 실측 측량성과와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지구물리자료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해역은 해저지형의 특성이 다른 울릉대지, 울릉분지, 울릉분지남부해역으로 선정하였다. 비교분석에는 실측성과를 비롯하여 Topex/Poseidon, Etopo2, JODC, BODC 자료를 이용하였다.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산출된 해저지형 자료는 실측성과를 기준으로 할 때 전반적인 해저지형 형태와 평균수심의 값은 대체적으로 잘 맞았으나 RMS는 수심 1700m 깊이에서 100m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국지적으로 오차가 1,000m에 이르는 경우도 발견되었으며, 선상에서 얻은 중력관측 성과에서도 해저지형의 형태가 부분적으로 자세히 나타나는 경향을 찾아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해양조사원, 1997-2004, 국가해양기본도 자료처리 용역 결과보고서
  2. 김백수, 최윤수, 박병문, 전창동, 2008, 한반도 주변의 영해기점 및 기선에 관한연구, 한국GIS학회, 제16권, 3호, pp.331-342
  3. 김응, 노영재, 김창식, 2003, 동해의 Topex/ Poseidon 고도계로부터 추정된 해면고도이상치의 수평구조와 변동성, 한국해양학회, 제8권, 2호, pp.94-110
  4. 윤용훈, 오임상, 김기현, 박용향, 2000, 동아시아 주변해역에서의 TOPEX/POSEIDON 고도 자료와 현장 해수면 자료의 비교, 한국해양학회, 제5권, 4호, pp.267-275
  5. 오윤석, 김병국, 김형수, 2005, 우리나라 연안해역 해저정보조사의 필요성 및 조사방향에 관한연구, 한국GIS학회, 제13권 1호, pp.65-78
  6. 최성호, 2005, 한국 해역에서의 멀티빔을 이용한 해저지형자료의 성과분석, 석사학위, 공주대학교 pp.11-12
  7. W.H. Smith and D.T. Sandwell, 1997, Global Sea Floor Topography from Satellite Altimetry and Ship Depth Soundings, Science Magazine, vol. 277, issue 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