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 Compound Exercise and a Walking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tress for Thin-Obesity College Women

복합운동과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체구성, 건강상태 지각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비교: 마른 비만 대상자를 중심으로

  • Yoo, Jae-Hee (Department of Nursing,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Jo, Hyun-Sook (Department of Nursing,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유재희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 조현숙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09.10.27
  • Accepted : 2009.12.12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 8-week compound exercise and a home-based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tres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post test was employed. Participants, having BMI below 23 and Percent Body Fat above 26%,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21 for the compound exercise(A), 26 for the walking exercise(B), and 23 for the control group. For data analysis, ANOVA in SPSS was used. Results: Body Fat Mass(kg), Visceral Fat Area(cm2), and Percent Body Fat(%) of both group A and 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Lean Body Mass(kg) and Fitness Score of both group A and 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score of PBF(%) in group 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group B. The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in both group A and 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Both 8-week compound exercise and walking exercise were effective in enhancing BFM(kg), VFA($cm^2$), PBF(%), LBM(kg), Fitness Score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Especially the Compound exercise program was much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PBF(%) than the walking exercise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고재식. 운동수행이 성인여성들의 체구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03;5(1):75-88
  2. 김경혜, 정복례, 변혜선. 비만중재 프로그램이 비만 여대생의 신 체구성, 혈압, 혈중지질 및 자기조절 행위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7;19(3):339-352
  3. 김명숙. 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성격특성, 상황적 장애,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04;16(3):442-451
  4. 김영혜, 양영옥. 걷기운동이 비만여중생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5;35(5):858-867
  5. 김영희. 유산소운동이 혈압, 맥박, 체지방, 체중,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5;6(1):98-113
  6. 김용환. 대학생의 유산소운동 참여정도가 스트레스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부산: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 대학원, 2007
  7. 김향동, 박정숙, 권영숙. 간호대학생의 체력에 관한 조사. 기본간호학회지 2003;10(3): 399-407
  8. 김향동, 박정숙.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여대생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6;36(1):5-14
  9. 남정혜. 중년여성대상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체구성 및 혈액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006;19(1):70-78
  10.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2003. 한의학, 2003.
  11. 박정숙, 장희정. 한국인과 미국이민 한국인의 영적안녕과 지각된 건강상태비교. 성인간호학회지 2003;15(3):411-421
  12. 박태곤, 최원석. 유산소 및 저항운동 병행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2005;22(6):1411-1149
  13. 신경림, 강윤희, 최경애, 백효진, 최미진, 윤옥종. 성인여성의 덤벨운동, 걷기운동 및 요가운동중재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6;18(5):771-779
  14. 신미경, 신수진. 체력에 따른 그룹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 상태,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8;20(4):613-625
  15. 신은주, 김남초. 빠르게 걷기 운동이 과체중 태음인 대학생의 피로, 혈중지질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8;20(4):561-572
  16. 양방섭, 권미향, 김미정, 김광필. 비만관리를 위한 운동길잡이, 한미의학 2003
  17. 유은정, 권영미, 이건세.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18(1):61-78
  18. 유재희. 효능자원을 이용한 개별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이 폐경후 당뇨환자의 생리적 지표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19. 유지수, 장수정, 최은경, 박지원. 한국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측정도구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008;38(3):410-419
  20. 이중호, 송찬희, 염근상, 김경수, 남순우, 한준열, 정규원, 선희식. 연령에 따른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량의 분포. 가정의학회지 2003;24(11):1010-1016
  21. 이평숙. 중년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 및 정싱건강 상태와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003;33(6):856-864
  22. 장경태, 최대혁, 박현, 고영한, 이대택, 김상원.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한미의학. 2002
  23. 정성림, 김병로. 12주간 유산소 및 근력복합훈련이 중년비만 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3;42(3):649-658
  24. 정승교. 20대 여성의 비만 검진 방법으로서의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기본간호학회지 2009;16(1):14-20
  25. 조현숙. 간호대학생의 건강관련생활양식과 건강상태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2006;13(3):493-500
  26. 한금선.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와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005;35(3):585-592
  27. 한지혜, 김선미. 정상 체중의 성인에서 체지방률 차이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가정의학회지 2006;27:352-357
  28. Alves JG, Gale CR, Mutrie N, Correia JB, & Batty DA. 6-month exercise intervention among inactive and overweight favela-residing women in brazil:the caranguejo exercise trial. American Journal of Pubulic Health, 2009;99(1):1863-1972
  29. Anderson AG, Murphy MH, Murtagh E & Nevill A. An 8-wee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the effects of brisk walking, and brisk with abdominal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on anthropometric, body composition, and self-perception measures in sedentary adult wome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2006;4(3):437-451
  30. Bulter TJ. Principles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3rd ed.). Pennsylvania: Wadsworth 2001
  31.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A glov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83;4(4):385-396
  32. Irving BA, Davis CK, Brock DW, Weltman JY, Swift D, Barrett EJ, Gaesser GA, Weltman A. Effect of exercise training intensity on abdominal visceral fat and body compositio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08;40(11);1863-1872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1801d40
  33. Kirkwood L, Aldujaili E, & Drummond S. Effects of adbice on dietary intake and/or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following a low-fat, sucrose-containing, high-carbohydrate, energy-restricted diet.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s and Nutrition 2007; 58(5):383-397 https://doi.org/10.1080/09637480701252336
  34. Oh-Park, M Fast A, Gopal S, Lynn R & Zohman L. Exercise for the dialyzed aerobic and strength training during hemodialysis. Am. J. Med. Rehabilitation 2002;81(11):814-821 https://doi.org/10.1097/00002060-200211000-00003
  35. Thompson DL, Rakow J & Perdue SM. Relationship between accumulated walking and body composition in middle-aged wome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04;36(5):91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