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중 치료연속자와 치료불연속자 간의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Variables between Therapy Continuity Group and Therapy Discontinuity Group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Daegu Initiative

  • 투고 : 2009.04.24
  • 심사 : 2009.06.13
  • 발행 : 2009.06.30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rapy continuity group and therapy discontinuity group and to develop management program for Korea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09 therapy continuity and 66 therapy discontinuity of Korea hypertension diabetes Daegu initiative.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December 5 to December 30, 2008.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with SPSS program. Results: 1)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variables systolic BP(F=4.518, p=0.035) and diastolic BP(F=17.793, p=0.000). 2) The groups with hypertensiv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variables perceived susceptibility of disease($\chi^2$=25.053, p=0.000), perceived barrier of health behavior($\chi^2$=12.584, p=0.006), drinking($\chi^2$=27.545, p=0.000), diet($\chi^2$=8.645, p=0.013), regular taking medicine($\chi^2$=92.415, p=0.000) and regular measurement of BP($\chi^2$=6.045, p=0.049). 3) The groups with diabetic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variables perceived seriousness of disease($\chi^2$=6.128, p=0.047), perceived susceptibility of disease($\chi^2$=8.079, p=0.018),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F=8.418, p=0.006), drinking($\chi^2$=6.276, p=0.043), diet($\chi^2$=7.275, p=0.026), regular taking medicine($\chi^2$=33.083, p=0.000) and regular measurement of glucose($\chi^2$=7.233, p=0.027).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special management programs according to the therapy discontinuity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금이. 일 농촌지역 고혈압 환자들의 건강행태와 약물복용 이행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2;13(1):49-56
  2. 김윤미, 신은영, 이건세. 고혈압 노인에 대한 사례관리의 효과. 한국노년학 2006;26(3):477-492
  3. 김태민. 일부 농촌주민의 고혈압 치료순응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전: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5
  4. 김철환, 한정순. 고혈압과 나트륨 섭취. 가정의학회지 2006;27:517-522
  5. 김한중 외 6명.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정책의 비용-효과분석. 서울: 연세대학교 건강증진지원사업단, 2007
  6. 김현숙, 김희영. 보건소 방문보건 대상 노인들의 투약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7;18(1):5-13
  7. 박길섭 외 6명. 일차의료에서 고혈압의 치료 행태와 진료지침의 유용성. 가정의학회지 2006;27:789-797
  8. 박노례. 보건교육. 서울: 수문사, 2003
  9. 박종연, 이정석, 강임옥, 임준. 고혈압.당뇨병 유소견자의 건강행위와 치료순응도. 건강보험포럼 2007;6(2):111-121
  10. 박종혁, 신영수, 이상이, 박재현. 고혈압약 투약을 시작한 장애인의 투약 순응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7;40(3):249-258
  11. 보건복지가족부. 심.뇌혈관질환 관리사업 방향 및 평가. 서울:보건복지가족부, 2007
  12. 보건복지가족부. 우리나라 보건의료실태 분석결과-OECD health data 2008 주요내용.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8-a
  13. 보건복지가족부. 주요만성질환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8-b
  14. 보건복지가족부. 2008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문인력교육-만성질환을 중심으로 한 사례관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008-c
  15. 소애영 외 9명. 고혈압 대상자의 지역사회 중심 사례관리 프로그램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8;38(6):822-830 https://doi.org/10.4040/jkan.2008.38.6.822
  16. 송용환. 1개 병원 내과 외래를 방문한 고혈압 환자의 치료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7. 안정혜. 일개 자동차 회사에서 남자 고혈압 근로자의 치료순응에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8. 양순옥, 안수연, 임은실, 권명숙. 강원도 맞춤형 방문건강고나리 사업효과-고혈압.당뇨사례관리중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8;19(1):88-100
  19. 이동한 외 6명. 지역사회 고혈압 환자에서 고혈압 조절 및 항고 혈압제 복용에 관련된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3;36(3):289-297
  20. 이상원 외 11명. 농촌지역 주민의 고혈압 치료순응도와 관련요인. 예방의학회지 2000;33(2):215-225
  21. 이석구, 전소연. 고혈압 환자들의 관점에서 본 혈압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질적연구. 예방의학회지 2008;41(4):255-264
  22. 이희정. 고혈압 환자의 약물요법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경기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23. 임부돌 외 5명. 고혈압 환자의 연간 내원일수, 처방일수 그리고 진료비. 예방의학회지 2002;35(4):340-350
  24. 제미순, 이삼순. 일농어촌 중년여성의 고혈압에 대한 건강신념 및 건강행위 실천의지. 성인간호학회지 2007;19(1):109-120
  25. 전혜옥. 노인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자가가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8;19(1))66-75
  26. 정진영 외 6명. 춘천지역 중년과 노인의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율 및 인지율 관련요인:한림노년연구(HAS). 예방의 학회지 2007;40(4):305-312
  27. 최영순, 김현리. 저소득층 고혈압노인의 자가간호행위 및 혈압조절에 관련된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6;17(4):441-450
  28. 통계청. 2007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http://www.nso.go.kr. 2007
  29. 하장수. 한국 당뇨병 사망자 OECD 1위. 메디컬업저버 2007년 3월 5일자
  30. 홍은영, 윤순녕. 고혈압 남성 근로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6;15(3):397-407
  31. Rosenstock IM.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vention health behavior. Health Education Monographs 1974;2(4):354-386
  32. WHO. The WHO Stepwise Approach to Stroke Surveillance. Geneva: WHO,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