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ment of Teaching Strategy Through Investigating Scientific Attitude, Learning Style, Student'S Preferences of Teaching Style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학습양식,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전략의 수립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by compari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o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in terms of scientific attitude, learning styles, preferred teaching style,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by gnender and school number, and to establish teaching strategie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scientific attitude level of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was similar with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was high level comparing with general high students. Second, for learning style, the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had many independent,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types, Third, for the prefered science teaching style, the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had high demands for diversification and thinking at higher levels girl students had open-mindedness and cooperation and voluntariness of higher level in scientific attitude, had more independent types in leraning style, and had higher preference of teacher's support, subject convergence and permissive atmosphere than boy stud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by school number.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d 4 teaching strategies.

본 연구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학습양식, 선호하는 수업형태, 수업환경을 일반계고등학생들과 과학고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습자 특성을 알아보고, 남녀별 학번별 학습자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기초한 수업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수준은 과학고 학생들과 비슷하였으며 일반계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학습양식은 독립형, 협동형, 참여형이 많았다. 셋째, 선호하는 과학수업의 형태는 다양화와 높은 수준의 사고화 요구가 높았다. 넷째, 선호하는 수업환경은 허용적 분위기에 대한 요구가 낮았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과학적 태도에서 개방성, 협동성, 자기주도성의 수준이 높았고, 학습양식은 독립형의 많았으며, 선호하는 수업환경면에서 교사의 지원성과 과제 지향성, 허용적 분위기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학번에 따른 학습자 특성과 선호도는 차이가 없었다. 이에 따른 수업전략 4가지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위경(2004)접단유전 개념 학습에서 귀낭적-연역적 수업효과 비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 김은정 (1999). 학습양식 유형의 분류 동향. 연세교육연구, 12(1), 107-130
  3. 김효남,성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파학에 판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
  4. 동효관 (2002). 과학영재의 특성에 기초한 수업프로그램이 유전개념 변화와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박선아 (1989). 중학생의 학습양식과 학업성취귀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6. 박재환 (1997). 중학생의 학습양식과 TA 자아상태가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송현미, 신영준 (2000). 여학생이 선호하는 과학 수엽 형태 및 수업 환경 조사를 통한 과학수업 전략 수립.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2), 136-143
  8. 신영준 (2000). 과학 학습 배경의 성차 분석에 근거한 여학생 친화적 과학 수업 전략개발. 박사 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9. 심규철, 김현섭, 김여상, 최선영 (2004) 생물분야 과학 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267-275
  10. 원유미 (1998). 과제유형, 학습자의 학습양식, 인지양식, 개념 수준과 수업 형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7, 161-184
  11. 이현래, 김범기 (2005). 중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성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41-546
  12. 임창재 (1996) 학습양식. 서울: 형설출판사
  13. 전영석, 동효관, 신영준, 신희관, 김규상, 손정우, 배병일, 김광수 (2001). 중고등학교과학영재학급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2001년도 교과교육 연구활동 보고서. 한성과학고등학교 과학영재 교육 연구회
  14. 정범모 (1992) 학습성취의 요인. 서울: 동문사
  15. 조윤정 (1998). 학습자가 지향하는 학습목적 유형과 교실 학습환경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6. 최용남 (1997).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수엽 환경에 대한 인식 및 과학 관련 태 도와의 관계성 조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7. 한국과학영재학교 자체평가위원회 (2006). 2006학년도 한국과학영재학교 자체평가보고서. 한국과학영재학교
  18. 호재숙, 유태영, 김신자, 주영주, 김영수 (1994)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19. Dunn, R., & DeBello, T. (1981). Learing style researchers define differences differently. Educational Leadership, 38, 372-375
  20. Eggen, Pau D., & Kauchak, Donald P. (2006). 교사를 위한 수업전략[엄청환, 권성기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1)
  21.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 K. A. Heller & J. F. Feldhusen (Eds.) Identifying and Nuturing the Gifted: An International Perspective(pp33-38). Toronto: Huber
  22. Gibson, J. T., & Chandler, L. A. (1988). Educational psychology:mastering princiles and applications (pp. 258-259). Boston: Allyn and Bacon, Inc
  23. Grasha, A, F., & Riechman, R. E. (1974).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íty of a Student Leaming Style scales Instrument, Journal of Psychology. 87
  24. Marker, C. J. (1982).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London: Aspen Systems Cooperation
  25.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g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