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tern of Portal News Use among Portal Users and Their Recognition of Portal as a Press

포털 이용자들의 포털 뉴스이용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 Published : 2009.05.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ortal users recogniz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portal as a pres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attern of portal news use among portal users and their recognition about replies to news. For this, we conducted online survey of 1,036 people aged from 15 to 45, who used portal site at least once a week. As a result, most users(70.8%) agreed that portal news played a role as a press with other media. In addition, six out of ten agreed that portal news set the agenda of soci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rtal users think highly of the social impact and responsibility of portal in society. However, about 40 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trust in information shown in replies to news and many replies to news were written by albeit. Six out of ten thought that replies to news were written by intention. Therefore, to manage the quality of replies to news is necessary to secure the credibility of portal news. As respondents use portal news often, they tend to think that portals are convenient to use and their social impact is very large,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ir sensation and commercialization. On the other hand, as portal users use the internet often, they tend to think that portals are convenient to use and their social impact is immens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portal users' recognition of portals as the press.

본 연구의 목적은 포털의 언론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논란을 정리해보고 포털 이용자들이 언론으로서 포털의 역할과 기능에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는 포털 이용자들의 뉴스이용패턴과 뉴스 댓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 1회 이상 포털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15세부터 45세 사이의 이용자 1,036명 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포털이용자들(70.8%)은 포털이 다른 언론사처럼 언론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명 가운데 6명 가량은 포털 뉴스가 사회의 주요 이슈를 제기한다는 데 동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털 이용자들이 언론으로서의 포털의 사회적 영향력과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40% 가량의 응답자들이 뉴스 댓글로 제시된 정보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댓글은 대부분 아르바이트생들이 쓰는 것으로 여겼다. 또한 10명 중 6명 가량은 댓글이 의도적으로 작성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포털 뉴스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뉴스 댓글에 대한 품질 관리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포털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일수록 포털이 편리하고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함과 동시에 선정적이고 상업적인 면도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인터넷 이용을 많이 할수록 포털이 신속하고 편리하며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가구소득은 포털의 뉴스역할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