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Hepatobiliary Disorders from a Nationwide Survey of Discharge Data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전국 퇴원자료조사를 통한 소아청소년 간담도 질환의 분석

  • Park, Hyun-Ju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Chang-Gyun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on, Jin-Soo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ong-Guk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현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신창균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문진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이종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06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Purpose: To update the epidemiologic information of hepatobiliary diseases in pediatric inpatients using cross-sectional survey data throughout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was obtained from the 85 residency training hospitals in Korea to gather the final diagnosis on discharge. The surveyed periods were from 2004 to 2006. All the reports regarding the diagnosis were based on ICD-10 system. In this study, we focused on hepatobiliary diseases. Results: A total of 826,896 cases with discharge data were collected, of which 4,151 (5.0%) hepatobiliary cases were identified; 2,385 cases (57.4%) of hepatobiliary disease were hepatitis, which was the most common hepatobiliary disease. Other diseases included congenital hepatobiliary diseases (524 cases [12.6%]) and biliary diseases (315 cases [7.6%]). The prevalence of hepatobiliary disease according to age differed. Biliary atresia was the most common hepatobiliary disease in the neonatal period, whereas the prevalence of hepatitis increased in adolescents. The total number of hepatobiliary operations was 416 cases. With the comparison of annual data,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hepatobiliary cases. The average duration of hospital stay appeared to decrease graduall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have summarized the recent epidemiology of hepatobiliary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based on discharge data. Hepatobiliary disorders in pediatric inpatient units consisted of diverse disorders with a low prevalence, so multi-center approaches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clinical and public health outcomes. To improve this nationwide survey, a new data collect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목 적: 경제 및 위생 상태의 개선, 의학 기술의 발달로 최근 질병양상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의료의 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국 수련 병원에서 영유아 및 소아 청소년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우리 나라 영유아 및 소아 청소년에서 간 담도 질환의 현황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연구는 전국 85개 수련 병원에서 2004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입원했던 진료과에 관계없이 만 18세 이하를 대상으로 ICD-10 진단 체계를 사용한 대한소아과학회와 건강증진사업단에서 시행한 영유아 및 소아청소년 입원 질환의 중장기 변화 추세 조사 및 감시 체계 구축 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에서 간담도 질환자를 분류해서 MS 액세스, MS 엑셀, STATA 10.0을 사용해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 과: 간담도 질환을 앓았던 환자는 총 4,151명으로 전체 환자의 5.0%를 차지했다. 간담도 질환 중 간염 환자가 2,385명으로 전체 간담도 환자 중 57.4%를 차지 하면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담도폐쇄증 및 총담관낭을 포함한 선천성 간담도 질환이 524명으로 12.6%를 차지하였다. 연령별로는 신생아기에는 선천질환이 많다가 학동기에는 A형 및 B형 간염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 담도 수술은 청소년기, 영아기에 가장 많았다. 연도별 간담도 질환의 평균 재원일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재원 환자수는 차이가 현저하지 않았다.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A형 간염의 경우 연중 6, 7, 8월에 가장 많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퇴원 기록을 바탕으로 영유아 및 소아청소년에서의 간담도 질환의 현황 및 입원 질병부담에 대해 기술하였다. 최근의 소아청소년 간담도 입원 질환 중에서 급성 A형 간염 비중의 급격한 증가는 보다 적극적인 예방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소아청소년 간담도 질환의 경우 그 빈도가 많지 않아 단순 조사로는 역학 자료를 얻기 어려우므로 국가 주도의 체계적인 감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손근찬, 고형기, 도호웅, 김연기, 오의숙, 이순용 등. 11개 종합병원 소아과의 입원환자에 대한 통계적 관찰.소아과 1980;23:261-8.
  2. 손근찬, 도광찬, 김연지, 오의숙, 이순용, 이승규 등. 소아과입원 환자에 대한 통계 관찰. 제2차 전국종합병원 소아과입원 환자통계. 소아과 1980;23:348-57.
  3. 손근찬, 조성숙, 도광찬, 최 용, 정기섭, 금동혁 등. 소아과 입원환자에 대한 통계적 관찰. 1976-1980년도 24개 수련병원 소아과 입원환자 통계. 소아과 1984;27:1-8.
  4. 오호진, 이정화, 이상범, 이상일, 최정연, 이승주 등. 소아 질병에 관한 통계적 관찰. 제1차의 계통별 질환 통계보고. 소아과 1987;29:469-86.
  5. 이경수, 정기섭, 유기양, 이우길, 이상범, 강세진. 소아과 입원환자 질병에 관한 통계적 관찰. 소아과 1988;31:678.
  6. 이종국, 손창성, 홍영진, 최중명, 김병일, 문진수 등. 영유아 및 소아청소년 입원 질환의 중장기 변화 추세 조사 및 감시 체계 구축 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소아과학회, 보건복지부, 2007. Available at http://research.hp.go.kr/result/main.aspx.
  7. DeFrances CJ, Podgornik MN. 2004 National Hospital Discharge Survey. Advance data from vital and health statistic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06.
  8. 홍원선, 김정룡. 서울지역에 있어서의 A형 간염 및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관한 헐청 역학적 조사. 대한내과학회지 1982;23:19-26.
  9. 임동석, 조규혜, 김학철. 1989년 전북 서북부 지역에서의 A형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의 역학적 조사. 대한내과학회지 1992;43:57-63.
  10. 노혜옥, 손영모, 박민수, 최보율, 방금녀, 기모란 등. 경기도 지역의 건강한 소아와 청소년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의 항체 보유율에 관한 역학 조사. 소아감염 1997;4:232-9.
  11. 이경일, 송기헌, 강진한. 1996년 대전 지역에서의 A형간염에 대한 혈청 역학적 연구. 대한소아과학회지 1998;41:53-61.
  12. 송영봉, 이준혁, 최문석, 고광철, 백승운, 유병철 등. 한국인 건강 검진자에서 연령 특이적 A형 간염 바이러스항체 혈청 양성률. 대한간학회지 2007;13:27-33.
  13. Hadler SC, Webster HM, Erben JJ. Hepatitis A in day-care centers. A community-wide assessment. N Engl J Med 1980;302:1222-7. https://doi.org/10.1056/NEJM198005293022203
  14. Lednar WM, Lemon SM, Kirkpatrick JW, Redfield RR, Fields ML, Kelley PW. Frequency of illness associated with epidemic hepatitis A virus infections in adults. Am J Epidemiol 1985;122:226-33.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4093
  15. 윤희상. 한국 소아 A형 간염 현황. 대한소아과학회지 2008;51:690-5.
  16. 장지연, 정수진, 김순기, 손병관, 홍영진, 홍광선. 인천지역 초, 중, 고등학생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양성률에 대한 조사 연구. 소아감염학회지 2003;10:153-8.
  17. 안영원, 정은희, 임인수. 최근(2003-2005) 우리나라 중부지역 소아에서 B형 간염 항체 보유율과 백신의 면역학적 기억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과학회지 2006;49:630-4.
  18. Yun-Fan Liaw, Chia-Ming Chu. Hepatitis B virus infection. Lancet 2009;373:582-92. https://doi.org/10.1016/S0140-6736(09)60207-5
  19. 최병호. 소아 만성 B형 간염의 관리와 치료. 대한소아과학회지 2007;50:823-34.
  20. Hoofnagle JH, Carithers RL Jr, Shapiro C, Ascher N. Fulminant hepatic failure: summary of a workshop. Hepatology 1995;21:240-52.
  21. 김경모. 소아 급성 간부전의 임상적 의의. 대한소아과학회지 2007;50:841-7.
  22. 김경모. 소아 간이식. 대한소아과학회지 2003;46:736-41.
  23. 고재성, 서정기. 신생아 담즙정체의 원인질환. 대한소아과학회지 2007;50:835-40.
  24. 문진수, 고재성, 서정기. 소아 윌슨병의 장기 추적 관찰;20년간의 경험. 대한소아과학회지 2001;44:127-38.
  25. 신지연, 김유정, 서정기. Alagille 증후군 환아의 임상 양상과 장기 예후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과학회지 2006;49:106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