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성함양과 관련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d Assessment System for a Program Outcome on the Cultivation of Internationality

  • Kim, Bok-Ki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Min, Sang-Won (Dept. of Electronic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Yi, Keon-Young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Yoon, Woo-Young (Division of 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ang, Sang-He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 투고 : 2008.12.15
  • 심사 : 2009.06.02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분석하여, 이를 개선한 평가체계의 모형을 국제성함양 학습성과를 예로 들어 제시하였다. 제시된 학습성과 평가체계는 PC별로 수행수준을 제시하고, 수행수준에 근거한 달성목표를 프로그램 차원에서 설정하여, 학생이 졸업 시점에서 학습성과 달성 여부를 용이하게 입증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렇게 평가체계를 구축함으로서 PC별로 CQI를 운영할 수 있어 교육현장에서의 업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평가체계 수립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측면은 평가체계를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사실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학습성과 평가체계 모형은 대학 현장에서 학생의 학습성과 달성을 입증할 수 있는 용이한 모형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paper, a process model for assessing, evaluating and improving a program outcome on the cultivation of internationality is proposed by analyzing the present outcome assessment system. By setting up performance scaled levels and specifying the target level for the performance criterion, the proposed model can help programs to demonstrate effectively that each of their graduates meets the required the program outcome levels. By allowing effectiv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CQI) for the performance criterion, the model can help save operational expense associated with running of the program CQI. In addition, it is discuss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 is logical and objective approaches when establishing the outcome assessment system. It is hoped that the proposed model can ultimately help to meet the program outcomes requirements in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criteri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현 외(200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 김명랑, 윤우영, 김동환, 정진택, 김복기(2007),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 3 졸업논문, 공학교육연구 10(1), 97-108
  3. 김명랑, 윤우영, 김동환, 정진택, 김복기(2007),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 3 졸업논문, 공학교육연구 10(1), 97-108
  4. 김명랑, 윤우영, 김동환, 정진택(2007), '프로그램학습성과 및 평가' 실천을 위한 모형 개발 및 전략에 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0(4), 29-42
  5. 김명랑, 윤우영, 김복기(2008), 한국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42-49
  6. 김복기, 박진영(2008),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연구, 공학교육연구 11(4), 46-57
  7.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7), 인증평가결과 분석보고서
  8. 한국공학교육연구센터(2007), 한국공학교육연구센터 구축사업 연구과제결과보고서: 5차년도 학습성과 평가방법
  9.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5), 공학인증기준설명서 2005
  10. 성태제(2005),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11. 산업자원부(2007), 공학교육인증사업 중간보고서
  12. ABET.(2004). 'Guidelines to Institutions, Team Chairs and Program Evaluators on Interpreting and Meeting the Standards Set Forth in Criterion 3 o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Criteria' ABET document, Criterion 3 White Paper
  13. Joseph A. Shaeiwitz.(2004). Assessment Using Capstone Experiences: Maximizing the Assessment Potential of What You are Already Doing. Best Assessment Process Symposium, Rose-Hulman Institute of Technology, Terre Haute, in,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