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Bending Wire Mesh

와이어메쉬 굴곡배치 타당성분석

  • Received : 2009.10.30
  • Accepted : 2009.11.25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We conducted structural analysis to investigate disadvantage of wire-mesh arranged at the plane and to develop three-dimensionally bent U-type wire-mesh. In all case that distributed loading at the whole top slab and the half top slab, and the wire mesh was bent $45^{\circ}$, flexura tensile stress was the fewest in both positive moment and negative moment, and the wire mesh was bent $45^{\circ}$ in crossway the shear stresss was the fewest. Therefore, by arranging wire-mesh with $45^{\circ}$ more bent than plane, flexura tensile stress, shear stress, displacement will be reduced and structural function will be improved.

기존의 평면으로 배치된 와이어 메쉬의 단점을 조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3차원으로 굴곡한 를 개발하기 위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다양하게 굴곡시킨 경우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상부슬래브 전체 및 편측 등분포하중을 재하 한 모든 경우에서 wire mesh 굴곡각도 $45^{\circ}$인 경우가 정모멘트구간 및 부모멘트구간 모두 휨인장응력은 가장 적게 발생되고 횡방향으로 $45^{\circ}$ 굴곡시킨 경우가 전단응력이 가장 적게 발생된다. 변위도 종방향 굴곡각도 $45^{\circ}$인 경우가 변위가 가장 적게 발생된다. 따라서 기존의 평면으로 배치한 와이어 메쉬보다 굴곡시켜 배치하면 휨인장응력, 전단응력, 변위가 줄어들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성능이 개선되며 와이어 메쉬를 $45^{\circ}$로 굴곡하는 것이 가장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도로공사 설계적용기준. 2001
  2.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해설. 2003
  3. 한국콘크리트학회. 토목구조물의 배근상세. 2000
  4. Chu-Kia Wang. Reinforced Concrete Design, Wang Salmon, 1983
  5. James G. Macgregor. Reinforced Concrete Mechanics and Design, Prentice Hall, 1999
  6. Timoshenko. Mechanics of Materials, PWS Publishin,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