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water Quality Evaluation for Upper and Lower Aquifers of Cotaminated Groundwater Well Using Preliminary Packer

예비패커를 이용한 오염지하수 관정 상.하부 대수층의 지하수 수질 평가

  • Cho, Heuy-Na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Cho, Yun-Ch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Kim, Joo-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Chol, Sang-I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Received : 2009.10.20
  • Accepted : 2009.12.0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wo different aquife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developed in the study area - a lower and upper aquifer zone. Nitrate contamination of the lower aquifer zone was likely due to infiltration of nitrate-contaminated groundwater of the upper aquier zone through abandoned groundwater wells.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 preliminary packer designed to prevent nitrate migration through abandoned groundwater wells NO3-N concentra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art of preliminary packer installed at four sampling sites were measured. Nitrate concentrations of the and lower part of Yechun sinwolri were 10.3 mg/L and 5.0 mg/L, respectively. Yechun eosinri, Yechun jeowooriis, and Andong hoegokri were $NO_3$-N concentrations in the upper (11.3, 11.0, and 14.6 mg/L) and lower (8.8, 1.6, and 8.0 mg/L), respectively. $NO_3$-N contents of all groundwater samples in the lower part after the preliminary packer installation showed 22~85% lower than those of the upper part.

연구대상지역내에는 지하수수질이 상이한 상 하부 대수층이 각각 발달되어 있었다. 하부 대수층내 지하수의 주 오염원인은 상부의 질산성질소로 오염된 천부지하수가 지하수공 내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폐기 또는 방치지하수공을 통한 질산성질소의 하부 대수층으로 오염 확산 억제를 위하여 예비팩커를 공 내부에 설치하고 패커 상, 하부의 질산성질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예비패커 설치후 상, 하부 구간의 질산성질소 함량은 예천군 신월리 경우, 상부는 10.3 mg/L 이었으나 하부는 5.0 mg/L로 상부에 비해 50% 낮은 함량을 나타내였다. 예천군 어신리는 상부는 11.3 mg/L 이었으나 하부는 8.8 mg/L로 상부에 비해 22% 낮은 함량을 보였다. 예천군 저우리는 상부는 11.0 mg/L이고 하부는 1.6 mg/L로 상부에 비해 85% 낮은 함량을 보였다. 안동시 회곡리는 상부는 14.6 mg/L 이었으나 하부는 8.0 mg/L로 상부에 비해 45% 낮은 함량을 나타내였다. 연구지역에서 예비패커를 적용한 결과 패커 하부의 질산성질소 함량은 상부에 비해 22~85% 낮게 나타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옥 서정진 고기원 박윤석, 2006, 제주도 서부해안지역의 대수층별 지하수 산출능력 연구 p. 31
  2. 농업기반공사, 2001, 지하수 폐공관리 시범사업 보고서, p. 225
  3. (사)한국지하수수질보전협회, 2009, 지하수 관정을 이용한 소규모수도시설 운용.유지관리 요령, p. 135
  4. 성익환, 김상연, 김석중, 김연기, 김통권, 김형찬, 류충렬, 성기성, 송경선, 송덕영, 윤욱, 이병대, 이봉주, 이정화, 이종철, 이춘오, 임현철, 전치완, 조민조, 지세정, 최병인, 심병완, 2003, 도시지역 지하수오염 저감기술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2
  5. 성익환, 이병대, 조병욱, 함세영, 추창호, 김정숙, 이인호, 2000, 오염된 지하수의 치유개선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p. 90
  6. 이병대, 조병욱, 성익환, 함세영, 정상용, 윤성택, 2002, 오염방지시설을 이용한 지하수 환경성 복원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p. 155-158
  7. 임승태, 2001, 폐기방치공의 발생원인 분석 및 대책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150
  8. 조희남, 성익환, 이병대, 조병욱, 2003, 팩카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한 지표하부 오염방지 시공 및 응용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p. 7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