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ame Application Science Learning on a Scientific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게임 활용 과학 학습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 Published : 2009.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ame application learning 8th graders' scientific attitude, which was utilized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teaching skills and methods in the lesson of 'the history of the earth and diastroph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students of 8th grade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To start off with homogeneity of a group, this study recruited participants by the results of a diagnostic test taken early in the year and a mid-term examination taken at the end of April. As a result, a total of 4 male classes that showed similar results on the two tes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n experimental and the other in control. In addition, the top 20% students and the low 20% students were chosen for comparison of their scientific attitu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id-term examination. The traditional teachings were offered to the control groups while the experimental lessons with the game activities performed at the stages of application and summary in teaching were off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over 10 periods.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on the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 after experimental intervention lesson activities with game applications. Also, the more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 was found in the lower group than in the higher group. It implies that lessons with the game activities motivated the stude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school science learning by enhancing their interes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game application learning be a new teaching-learning material that helps to encourag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middle school science learning.

본 연구는 8학년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단원에서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전략의 하나인 게임 활용 수업이 학습자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D중학교 2학년 120명이다. 게임 활용 학습을 실시하기 전에 동질성을 가진 학급을 선택하기 위하여 학기 초 진단평가 결과와 4월말에 실시된 중간고사의 성적을 이용하였으며 진단평가와 중간고사 성적이 비슷한 남학생 4개 학급을 선정하여 두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남은 두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중간고사 성적 상위 20% 학습자를 상위집단으로, 하위 20% 학습자를 하위집단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수업의 적용 및 정리 단계에 게임을 투입하여 10차시의 게임 활용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수업처치 후 과학 태도 변화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내의 상위집단에 비해 하위집단에서 과학 태도면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게임 활용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참여도를 높여 주었다. 이렇듯 게임 활용 학습은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 유도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자료로서 그 시사점이 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미자, 2004, 게임을 활용한 수학 학습이 아동의 학업성취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p
  2. 백영균, 2006, 게임기반학습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파주, 267 p
  3. 신경민, 2001, 게임을 통한 수학 학습이 아동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3 p
  4. 윤정자, 2004, 게임을 활용한 수학 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p
  5. 이미영, 2005, 게임을 활용한 중학생 영어 학습의욕 증진방안: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p
  6. 정용석, 2005, 게임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게임능력 및 학습능력이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p
  7. 최은미,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게임에 대한 흥미도 향상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p
  8. Abt, C.C., 1968, Games for Learning. In Boocock, S.S. and Schild, E.O. (eds.), Simulation Games in Learning. Sage Publication, CA, USA, 45-67
  9. Munby, H., 1980, An Evaluation of instruments which measure attitudes to science. In Mcfadden, C. (ed.), World Trends in Science Education, Atlantic Institute of Education, Halifax, Canada, 85-99
  10. Shen, C.Y. and O'neil, H., 2006, The Eftectiveness of Worked Examples in a Game-Based Leaming Environment.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p. 28
  11. 과학교육내실화계획발표 보도자료, 2008, http://www.shrdc.or.kr/report/report_1_view.asp?bbsidx=923071215 과학교육내실화계획발표(보도).hwp (검색일: 2008.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