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tative EEG research by the brain activities on the various fields of the English education

영어학습 유형별 뇌기능 활성화에 대한 정량뇌파연구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any implications for strategies to design and develop the connections between the activities of the brain function and the fields of English learning (dictation, word level, speaking, word memory, listening). Thus, in developing the brain based learning model for the English education, attempts need to be made to help learners to keep the whole brain toward learning. On this point, this study indicated the significant results for the exclusive brain location and the brainwaves on the each English learning field by the quantitative EE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e guideline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eft brain and the right brain to train the specific site of the brain connected to the English learning fields. In addition, whole brain training model is developed by the quantitative EEG data not by the theoretical learning methods focused on the right brain training.

본 연구는 영어학습 영역별 (듣기쓰기능력, 단어수준, 스피킹, 단어기억, 리스닝) 성취도에 따른 대뇌피질 내의 뇌기능 활성화에 대한 관련성을 규명한 것이다. 좌뇌 기반으로 알려진 영어학습에 대한 우뇌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뇌기능 영상화 중에서 정량뇌파분석를 사용하여 영어학습에 관여하는 뇌 영역별 정량뇌파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영어학습을 뇌 영역별 활성화로 변별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영어학습의 좌우뇌 균형발달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특정 학습영역과 연계한 뇌의 활성화를 제시함으로써 개인별 뇌 기능에 따른 영어학습 향상을 위한 뇌기능을 훈련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권형규, 2008). 이를 통하여 단순한 이미지와 오감을 활용한 우뇌적 학습방향이 아니라 개인별 정량뇌파 데이터에 의한 통합뇌 훈련모형을 개발하였다. 정량뇌파 분석을 위해서는 피험자 개인별 영어능력 검사점수에 대한 뇌파지표를 도출하여 단계적 변수선택법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희 (1991). <당신의 양쪽 뇌를 사용하라>, 양서원, 서울.
  2. 성귀복 (1997). <영어학습과 바람직한 두뇌 기능 활용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3. 오해란 (2007). <초등영어 문자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뇌과학적 해성>,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4. 이경미 (2004). <대뇌 기능분화를 고려한 어휘지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주.
  5. 정종진 (2003). <뇌를 알면 학습방법이 보인다>, 장원교육(주), 서울.
  6. 조주연 (1994). 뇌 가소성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 교육학연구>, 32, 23-38.
  7. Asher, J. (1969). The total physical response approach to second language learning. Modern Language Journal, 53, 33-17. https://doi.org/10.2307/322110
  8. Genesee, F. (1977), "Is there an optimal age for starting second language instruction-". McGill Journal of Education, 13, 145-154.
  9. Gupta. P. and MacWhinny, B. (1997). Vocabulary acquisition and verbal short-term memory: Computational and neural bases. Brain and Language, 59, 267-333. https://doi.org/10.1006/brln.1997.1819
  10. Jasper, H. H. (1958).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10, 371-375.
  11. Kwon, H. (2008). Alpha brainwave effects of heart rate and respiration with state-trait anxiety for caption learning.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9, 133 - 144.
  12. Kwon, H. and Cho, J. (2007). EEG asymmetry changes by the left and the right SMR brainwave of the computer learning versus the paper and pencil learning.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8, 1073 - 1079.
  13. Obler, L. K., Zatorre, R. J., Galloway, L. and Vaid, J. (1982). Celebral lateralization in bilinguals: Methodological issues. Brain and Language, 15, 40-54. https://doi.org/10.1016/0093-934X(82)90045-1
  14. Wonder, J. and Donovan, P. (1984). Whole-brain thinking, William Morrow & Co.,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