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the Perspective of Disaster Victims as a Demander: An Approach Based on Grounded Theory

재난관리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반응분석: 근거이론적 접근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Many disaster management actors participate in the disaster sites and they do their best for the best result in their given position. They recover the disaster-stricken area, endeavor to prevent the disaster's relapse, and to rescue and protect the disaster victim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eir role and effort is to support a physical aid as well as material aid for that disaster victims can return their living condition to the original one before the disaster. However, the disaster management services have been provided in the supplier's view till now. Subsequently, despite significant efforts, providers have failed to comprehend what would be the victim's demand and how to reflect that in the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this paper, we approached and analyzed the recent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the way of grounded theory, and endeavored to find the solution which disaster victims preferred.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184 concepts, 28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which could explain the victims' desired solution. We found that "an imperfect restoration which causes disaster" and "pain of the disaster field" would be main categories among them.

재난 현장에는 많은 재난관리 활동가들이 참여하며,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의 결과를 위해 노력한다. 이들은 재난현장을 복구하고, 앞으로 같은 재난이 반복되지 않도록 예방하며, 재난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치유하고 보호하기 위해 활동한다. 이러한 다양한 역할과 노력의 궁극적인 목적은 재난의 중심에 있는 이재민들이 재난 발생 이전의 정상적인 삶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물적 인적 지원을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재난관리서비스는 다분히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제공되었으며, 때문에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재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하고 이재민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실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현 재난관리서비스의 문제점을 이재민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재민들이 희망하는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84개의 개념 덴 2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재난을 부르는 복구"와 "재난 현장의 고통"이 중심범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건주,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행정체제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2. 이계복, "효율적인 재해구호체계", 방재연구, 제9 권, pp.5-11, 2001.
  3. FEMA. 1999. Is Crisis Counseling Available?. http://www. fema.gov/r-n-r/counsel.htm.
  4. J. L. Bell, Traumatic Event Debriefing: Service Delivery Designs and the Role of Social Work. Social Work. 40: 36-43, 1995.
  5. J. N. Butcher and C. Hatcher, The Neglected Entity in Air Disaster Planning: Psychological Services. American Psychologist. Vol.43, pp.724-729, 1988. https://doi.org/10.1037/0003-066X.43.9.724
  6. E. B. Foa, D. E. Hearst-Ikeda, and K. J. Perry, Evaluation of A Brief Cognitive-behavioral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PTSD in Recent Assault Victim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3, pp.948-955, 1995. https://doi.org/10.1037/0022-006X.63.6.948
  7. C. S. Fullerton and R. J. Ursano,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ute and Long-Term Responses to Traumatic and Disaste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7.
  8. 최남희, "재난 생존자 경험의 내러티브 분석: 재난 간호를 위한 제언",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2 호, pp.407-418, 2005.
  9. 한동우, "우리나라 재해구호체계의 문제점과 해결과제: 재난 피해자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과 민간 부문의 구호체계 네트워킹", 한국위기관리논집, 제2권, 제2호, pp.36-51, 2006.
  10. Schneider and K. Saundra, Governmental Response to Disasters: The Conflict between Bureaucratic Procedures and Emergent Norm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52, No.2, pp.135-145, 1992. https://doi.org/10.2307/976467
  11. Schneider and K. Saundra, Flirting with Disaster: Public Management in Crisis Situations, Armonk, New York: M. E. Sharpe, 1995.
  12. 유현정, 이재은, 노진철, 김겸훈,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의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224-236,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5.224
  13. B. Glaser and A. L. Strauss,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Chicago: Aldine, 1967.
  14. 최귀순,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82-90, 2005.
  15. 권선필,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통해 재구성해 본 지방정부 하급 공무원의 혁신수용현상 에 관한 해석과 함의",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 16권, 제4호, pp.45-67, 2006.
  16. 유현정, 남수정, "아나바다 사이트 참여자의 비윤리적 행동과 반응양식: 근거이론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2호, pp.189-201, 2006.
  17. 김석웅, "회계학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근거이론 에 관한 탐색적 연구", 회계정보연구, 제25권, 제3 호, pp.77-102, 2007.
  18. Phillips and Brenda, Qualitative Methods and Disaste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15, No.1, pp.179-195, 1997.
  19. 유현정, 이재은,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본 이재민의 반응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4권, 제2호, pp.97-118, 2008.
  20. 이재은, 유현정, "지방정부 재난관리 기관의 반 응분석: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지방자치연구, 제 10권, 제2호, pp.1-30, 2008.
  21.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London: Sage.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