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mall-Scale Chemistry (SSC) Lab Program with Respect to High School Students' Extroversions and Introversions

고등학생의 내.외향성에 따른 SSC(Small-Scale Chemistry) 실험 수업의 효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Scale Chemistry (below SSC) Lab Program with respect to students' extroversions and introversions. For this study, an SSC Lab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chemistry part of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in the 7th curriculum.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SC experiment lessons, and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traditional experiment lessons based on textbook for 5 class periods. Afterwards, students were grouped into extrovert and introvert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est sco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using 2-way ANCOVA. Prior to the instructions, three test regarding the scientific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administered. After the instructions, the scientific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students' perceptions on SSC Lab Program were examined. The scores in mid-term and end-of-term science exams were used as pre-test and post-test science achievement scores, respectively.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effects in the scor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 but there was no interactive effect between extroversion/introversion and treatment. In addition, 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was found in the scientific attitud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It was interpreted that extrovert students had many opportunities in SSC experiment classes and were able to experiment with initiative, but introverts would feel the responsibility and the pressure owing to the small group experiment. There were no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in the score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test.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s on SSC Lab Program revealed that both over 90% extrovert and introvert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perceptions in 'three-membered small group composition,' 'understanding,' and 'convenience' items. It was found to be a very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extrovert and introvert students in 'comparing result with other students' item.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내 외향성 따른 SSC(Small-Scale Chemistry)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SSC 실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 집단은 SSC 실험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은 교과서에 근거한 전통적 수업을 5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성격 검사 점수를 통해 학생들을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하였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이원 공변량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사전 검사로 과학적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사로 과학적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SSC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 과학 성취도 점수는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과학 점수를 이용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는 처치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내 외향성과 수업처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과학적 태도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 외향성과 수업처치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외향적인 학생이 SSC실험 수업에서 실험의 기회가 많아지고 주도적으로 마음껏 실험할 수있었던 것과 달리 내향적인 학생은 소인수 실험으로 인해 오히려 자신에게 주어지는 책임감과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에서 수업 처치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SSC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내 외향성 학생 모두에서 '3인 1조의 소인수 실험'과 '이해도'와 '편리성' 항목에서 90%이상의 매우 긍정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다른 학생과 실험 결과 비교' 항목에서는 내 외향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화(2008). 수준별 성취도 성향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한국 학생의 PISA 성취도 하락 원인 분석 : 핀란드와 비교 연구.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고등학생의 학력변화 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 김지영(2008). TIMSS 및 PISA 주기별 결과에 나 타난 과학 성취도 변화 추이.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cdot}$고등학생의 학력변화 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3. 김정택, 심혜숙(1993). 어린이 및 청소년 심리유형 검사 안내서.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4. 남영만, 심대현(2001), 성격 유형별 소집단 협력 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 부진아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관한 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1(2), 325-339
  5. 노태희, 한재영, 서인호, 전경문, 차정호(2000). 학생의 내${\cdot}$외향성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43-51
  6. 류수영, 강오한(2001). 웹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집단구성방식이 토론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4(2), 31-39
  7. 박락영, 최완식(2004).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수업 유형과 성격유형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9(2), 24-32
  8. 박인우(1998). 대학교육에서 인터넷 가상토론의 비동시성과 토론자의 내향성/외향성간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교육공학연구, 14(2), 25-49
  9. 박종윤, 홍지혜(2007). 고등학교 화학2 수업에 적용한 Small-Scale Chemistry 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18-327
  10. 심병주(2005). 물질지도에서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의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심소영(2004). 초등학생의 성격유형과 수학 영 역별 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오윤숙, 박성선(2008).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 유형별 집단구성방법이 수학적 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2(2), 211-227
  13. 유미현, 윤희숙, 홍훈기(2006).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의 효과, 대한화학회지, 50(3), 256-262 https://doi.org/10.5012/jkcs.2006.50.3.256
  14. 유미현, 윤희숙, 홍혼기(2007).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화학I 수업이 자연계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5), 433-446 https://doi.org/10.5012/jkcs.2007.51.5.433
  15. 윤진녀, 이지화, 문성배(2007). Small-Scale Science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이 중3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7(1), 1-8
  16.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PE 2007-1
  17. 이윤종, 오철한, 기우항, 김영호, 정원우, 양승영, 강용희, 안병호, 임성규, 윤일희, 권용주, 전명남, 김중욱, 윤성효(1998). 현행 중등학교 과학 실험${\cdot}$실습 교육 실태 조사 및 그 운영 진단. 과학교육학회지, 18(3), 383-398
  18. 장혜정, 장은정(2008). 웹기반 소집단 협력학습에서 학습자 성격 특성과 상호작용자 유형에 따른 학습결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24(1), 137-167
  19. 전유신(2006).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진우, 정환호, 김효남(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21. 탁경오(2003). POE학습에서 내${\cdot}$
  22. 한재영, 노태희(2002). 과학수업에서의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99-507
  23. 한재영(2003). 소집단과학학습에서 유화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교수 효과 및 언어적 상호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Allport, G. W. (1937). Personality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25. Eysenck, H. J. (1996). Manual of Maudsley personality inventory. London: University of London Press
  26. Eysenck, H. J. (1996). Personality and experimental study of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0(5), 427-439 https://doi.org/10.1002/(SICI)1099-0984(199612)10:5<427::AID-PER254>3.0.CO;2-H
  27. Friedler, Y., Nachmias, R., & Lynn, M.C. (1990). Learning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 27, 173-191 https://doi.org/10.1002/tea.3660270208
  28. Furnham, A., & Heaven, P. (1999). Personality and social behavior. London: Arnold
  29. Goldberg, L. R. (1999). A broad- bandwidth, public- 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 - level facet s of several five- factor models. In I. Mervielde, I. J . Deary, F . De Fruyt, & F . Ostendorf(Eds.),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Vol. 7. (pp. 7 28). Tilburg, The Netherlands: Tilburg University Press
  30. Hofstein, A., & Lunetta, V.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 201-217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2201
  31. Hofstein, A., & Lunetta, V.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https://doi.org/10.1002/sce.10106
  32. Lazarowitz, R., & Karsenty, G. (1990). Cooperative learning and students' selfesteem in tenth grade biology classrooms. In S. Sharan (Ed.), Cooperative learning: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Praeger
  33. Lazarowitz, R., & Tamir, P.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struction in science. In D. L.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94-128. New York: Macmillan
  34. Lunetta, V. N., & Tamir, P. (1981). An analysis of laboratory activities: Project physics and PSSC.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1, 230-23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1.tb11500.x
  35. Pintrich, P. R., & De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36. Tamir, P. (1989). Teaching teachers to teach effectively in laboratory. Science Education, 73(1), 59-69 https://doi.org/10.1002/sce.3730730106
  37. Thompson, S. (1989). CHEMTREK. New Jersey : Prentice Hall
  38. Waterman, E.L., & Thompson, S. (1989). Microscale - The Way of the Future. Science Teacher, 56(8), 28-31
  39. Waterman, E.L., & Thompson, S. (1995). Small-Scale Chemistry Laboratory Manual. US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