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xercise of Physical Health, Self-efficacy & Stress in elderly women

우리춤 체조가 여성노인의 신체적 건강,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Kim, Ran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Nursing College) ;
  • Park, In-Soon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Nursing College) ;
  • Park, Myung-Hee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Nursing College)
  • 김란 (조선간호대학 간호과) ;
  • 박인순 (조선간호대학 간호과) ;
  • 박명희 (조선간호대학 간호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xercise on physical health (BMI; body mass index, BP; blood pressure, VC; vital capacity, TC; total cholesterol, HDL; high-density lipoprotein, TG; triglyceride), self-efficacy and stress in elderly women.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was used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a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43 community dwelling elderly women completed the 12-week Korean traditional dance exercise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by SPSS/WIN 12.0. After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exercis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VC, TC, HDL, stress and self-efficacy.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BP, and TG level after completing this program.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traditional dance exercise may be one of th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elderly women.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08 고령자 통계, Retrieved February 27, 2009, from http://nso.go.kr/,2008
  2. 이태진, 배상수, 이기홍, 엄재영, 강경화: 도시지역노인의 건강행위 실천 실태, 노인간호학회지, 10(1), 58-67, 2008
  3. 이숙자: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0(3), 776-790, 2000
  4. 서순림 외 : 노인건강증진 초판, 현문사, 132-283, 2006
  5. 신윤희: 걷기운동프로그램이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기능과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6. 이평숙, 장성옥, 박은영: 노인운동 수행에 관한 주재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4(4), 484-495, 2001
  7. 박상철, 박인숙, 이지영, 이수향: 멋과 건강 21 세기 시리즈1; 우리춤 체조 해맞이,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체력과학노화연구소, 2000
  8. 구자은: 춤제조에 참여하는 중.노년층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을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 이경숙: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체조가 중노년 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건강상태 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0. Li, F., Harmer, P., McAuley, E., Fisher, K. J., Duncan, T. E., & Duncan, S. C. : Tai chi, self-efficacy, physical function in the elderly , Prevention Science, 2(4), 229-239, 2001 https://doi.org/10.1023/A:1013614200329
  11. 노승천: 노인을 위한 스윙댄스 프로그램이 신체 및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12. 이선우: 저항운동프로그램이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가간호, 스트레스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3. 전시자, 김강미자,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 4 판, 현푼사, 2009
  14. 김영경, 안도환, 조명옥, 김대란, 김명애 등: 노인병태생리학, 현문사, 407-441, 2007
  15. Marcus, B. H., Selby, V. C., Niaura, R. S., &Rossi, J. S. :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 60-66, 1992 https://doi.org/10.1080/02701367.1992.10607557
  16. 이평숙, 장성옥: 운동행위변화단계에 근거한 노인 운동 동기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1(5), 818-834, 2001
  17. 배종면, 정은역, 유태우: 외래용 스트레스 측정 도구개발 연구, 가정의학회지, 13, 809-820, 1992
  18. 임지혁, 배종변, 최순식, 김성원, 황한식, 허봉렬: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가정의학회지, 17(1), 42-53, 1996
  19. 박정모, 한신희: 노인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3(2), 220-227, 2003
  20. 김백윤, 조현철: 걷기운동 참여가 노인 여성의 순환기능 및 폐환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회체육학회지, 31, 911-920, 2007
  21. 김창숙: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22. 윤숙례, 안옥희: 레크리에이션댄스가 저소득층 여성노인의 심맥관기능과 혈청 지질치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1(3), 43-58, 2002
  23. 권기욱: 태극권 수련이 노인 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4. 문채련: 현대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지단백질,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5. Ko, G. T., Tsang, P. C., & Chan, H. C. : A 10-week Tai-Chi program improved the blood pressure, lipid profile and SF-36 scores in Hong Kong Chinese women. Medical Science Monitor: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12(5), CR196-199, 2006
  26. Taylor-Piliae. R. E., Haskell. W, L., Waters. C.M., & Froelicher, E. S. : Change in perceived psychosocial status following a 12-week tai chi exercise programme, J Adv Nurs, 54(3), 313-329, 2006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3809.x
  27. 이윤미 박형숙: 중년여성의 운동행위변화단계, 운동 자기효능감, 우울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3), 218-225. 2004
  28. SaIIis, A. L., Haskell. N. L., Fortmann, S. P., Vaanizan. K. M., Taylor, C. B., & SoIomon, D. S. : Predictors of adoption and maintenance of physical activity in community sample, preventive Medicine, 15(33). 1-341, 1986 https://doi.org/10.1016/0091-7435(86)90031-9
  29. Willis, J. D., & Campbell, L. F. : Exercise psychology. Champaign, II , Human Kinetics Publishers,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