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istance Against Environmental Loading of the Fine-Size Exposed Aggregate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s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의 환경하중 저항성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9.06.15

Abstract

Fine-size exposed aggregate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s (FEACP) have surface texture of exposed aggregate by removing upper 2$\sim$3mm mortar of surface of which curing is delayed by using delay-setting agent. FEACPs have advantages of maintaining low-noise and adequate skid-resistance level during the performance period than general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durability environmental loading to prevent unexpected distress during the service life of FEACP. In the process of curing, volume change accompanied change in by moisture and temperature could be an important cause of crack in concrete to construct for successful FEACP, The use of chloride containing deicer may accelerate defects of concrete pavement, such as crack and scaling. This study aim to evaluate environmental loading resistance of FEACP, based on the estimation of shrinkage-crack-control-capability by moisture evaporation and scaling by deicer in freeze-thaw reaction.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은 콘크리트 타설 직후 포장표면에 응결지연제를 살포하여 표면으로부터 깊이 2$\sim$3mm 정도의 모르타르 경화를 늦추게 한 후 표면의 모르타르 제거를 통해 굵은골재를 포장표면에 노출시키는 공법이다.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은 타이어-노면 소음이 일반 콘크리트포장보다 4$\sim$5dB(A)정도 작으면서도 적정한 미끄럼저항을 장기간 유지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이 적정 평균조직깊이, 노출도 및 미끄럼저항을 확보하여 강도, 소음저감효과 및 장기간 적정 미끄럼저항성을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공적인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의 건설을 위해서는 온도, 습도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환경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콘크리트포장은 타설 후 경화과정에서 수분손실 및 초기건조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체적변화가수반되며 과도한 체적변화는 콘크리트 균열발생에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동결융해를 받고 있는 지역에서 제설제를 사용할 경우 표면박리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 및 스케일링은 포장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미끄럼저항을 감소시켜 장기공용성을 단축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에 대하여 수분증발로 인한 수축균열 제어 성능 및 제설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반복되는 동결융해작용으로 인한 스켈링에 대해 내구성을 평가하여 환경하중 저항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규,"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의 최적 배합 및 노출기법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 김진철,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메커니즘과 예측모델", 한국도로학회 도로 포장공학회지, 제 5권 제 3호, pp32-41(2003)
  3. 양성철, "형상비 및 골재의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 시편의 전조수축특성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 6권 4 호, pp109-121, (2004)
  4. 이병덕, " 제설제 종류에 따른 융빙성능 및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 7권 4호, pp113-123, (2005)
  5. 이승우, 저소음 콘크리트포장 연구개발 과제, 연구보고서, 포스코건설, (2003)
  6. 이승우, 유태석, 김지원, "소음저감을 위한 골재노출 포 장공법의 적용", 한국도로학회지 특집기사, pp.16-29, (2006)
  7. 조윤호, 장수명 저소음 포장노면 개발연구 1차년도 보고 서, 연구보고서, 중앙대학교 도로 및 교통연구실, (2003)
  8. 홍승호, 포장 기능성 평가기준 및 미끄럼 관리기준 설정연구, 연구보고서,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2003)
  9. KS F 2424,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길이변화 시험방법, (1999)
  10. ASTM C 672, Standard Test Method for Scaling Resistance of Concrete Surface Exposed to Deicing Chemicals, ASTM-Standard pp.332-334, (1984)
  11. FHWA-IF-02-020 , "Pavement Texturing and Tire-Pavement Noise", (2002)
  12. H. Sommer, "Exposed Aggregate Concrete In Austria", (1992)
  13. Hermann, Sommer, "Upgrading the Roads of Austria for the Needs of the Growing European Union", Bripave Seminar, pp.117-121, (2003),
  14. Hibbs, B.O. and Larson, R.M, "Tire Pavement Noise and Safety Performance", FHWA, Final Report, FHWA A-SA-96-068, (1996)
  15. Kraai, Paul P., "Aproposed Test to Determine the Cracking Potential Dueto Driying Shrinkage of Concrete"Concrete Construction, V.30, No.9, Sept. pp.775-778, (1985)
  16. Kuemmel, David A., Sontag, Ronald C., Crovetti, James A., Becker, Yosef. and Jeackel, John R., "Noise and texture on PCC pavements", Marquette University, (2000)
  17. Sandberg. and Jerzy, A. Ejsmont., "Texturing of cement concrete pavements to reduce traffic noise", Institute of Noise Control Engineering, pp.231-243,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