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진 진동수에 따른 교량의 내진성능기반 취약도 해석 방법

Frag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 Structure considering Earthquake Frequencies

  • 발행 : 2009.04.30

초록

본 논문은 진동수에 따른 취약도 곡선과 손상확률을 제시하였다. 취약도곡선과 손상확률은 주어진 지진동에 의해 임의의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손상의 정도를 나타낸다. 지진에 의한 피해는 지진이 가지는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확률적으로 예측하여야 한다.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동적 해석과 실험 결과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에 대한 수치적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주어진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른 5단계의 손상 단계별 손상확률을 구하였다. 취약도 곡선을 산출하기위해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반조건에 따라 각각 100개의 인공지진파를 생성하고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손상단계는 기존의 실험 결과에 기초한 성능기반에 따라 정의하였으며 RC 교각의 지진거동을 변위연성도로 나타내었다. 손상단계 및 지반가속도를 이용하여 PSC교량의 지반조건에 따른 손상곡선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반조건 및 구속철근량에 따른 손상확률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approach for estimating fragility curves and damage probability matrices for different frequencies. Fragility curves and damage probability indicate the probabilities that a structure will sustain different degrees of damage at different ground motion levels. The seismic damages are to achieved by probabilistic evaluation because of uncertainty of earthquakes. In contrast to previous approach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is based on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the structure using empirical data. This paper presents the probability of damage as a function of peak ground acceleration and estimates the probability of five damage levels for prestressed concrete (PSC) bridge pier subjected to given ground acceleration. At each level, 100 artificial earthquake motions were generated in terms of soil conditions, and nonlinear time domain analyses was performed for the damage states of PSC bridge pier structures. These damage states are described by displacement ductility resulting from seismic performance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Using the damage states and ground motion parameters, five fragility curves for PSC bridge pier with five types of dominant frequencies were constructed assuming a log-normal distribution. The effect of dominant frequenc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fragility cur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훈, Masanobu S., 김종인, “지진으로 인한 교통망 피해추정 기법,”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8권, 3호, 2004,pp. 43-51.
  2. 건설교통부, 도로교표준시방서, 건설교통부 2005, pp. 471-489
  3. 이대형, 박창규, 정영수, “겹침이음 및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Macro모델,”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밥5A호, 2005, pp. 857-864.
  4. 이대형, “원형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 평가에 관한 이론 및 실험적 연구,” 공학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1999, pp. .
  5. Computer and Structures, SAP2000/Nonlinear Users Manual Version 8, Computer and Structures, Berkley, CA, USA, 2002, pp. 326-331.
  6. 박창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심부구속철근비에 관한 연구,” 공학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2005, pp. 119-124.
  7. 김재천, 변지석, 신수봉, “지반특성 고려한 FCM교량의 지진취약도 분석,” 지진공학회 논문집, 12권, 3호, 2008, 3744 pp.
  8. Kim, S. H. and Masanobu S. H., Development of Fragility Curves of Bridges Retrofitted by Column Jacketing, Probabilistic Engineering Mechanics, Vol. 19, 2004, pp. 105-112. https://doi.org/10.1016/j.probengmech.2003.11.009
  9. Hazus, Multihazard Loss Estimation Methodology, Technical Manual,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for the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2007, pp. 5-13-5-20.
  10. Karim, K. R. and Yamazaki F., “Effect of Earthquake Ground Motions on Fragility Curves of Highway Bridge Piers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0, 2001, pp. 1839-1856. https://doi.org/10.1002/eqe.97
  11. 정영수 외,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평가와 향상에 관한 연구, 지진공학연구센터, 2006, pp. 103-106.
  12. 정영수, 박창영 박지오,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연성능력에 따른 지진취약도,”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9권, 1호, 2007, pp. 91-102.
  13. 이대형, 박창규, 정영수, “다 경간교량의 받침조건에 따른 지진취약도 해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7권, 2A호, 2007, pp. 227-236.
  14. Priestley, M. J. N., Seible, F., and Calvi, G. M., Seismic Design and Retrofit of Bridges, John Wiely & Sons Inc., New York, 1996
  15. Chung, Y. S., Shinozuka, M., and Meyer, C., SARCF User's Guide Seismic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Frames, NCEER, New York, 1988, pp. 2-4-2-5.
  16. Wen, Y. K., Method for Random Vibration of Hysteretic Systems, Journal of the Engineering Mechanics Division, ASCE, Vol. 28, No. EM2, 1976, pp. 1079-1182.

피인용 문헌

  1. Evaluation of Seismic Loading of Pile Foundation Structure Considering Soil-foundation-structure Interaction vol.18, pp.3, 2014, https://doi.org/10.5000/EESK.2014.18.3.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