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perational Plan of Liaison Service at Academic Libraries

대학도서관 리에종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
  • 안인자 (동원대학 아동문헌정보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one of the methods which academic libraries maximize the user service is to perform the 'liaison' service that embodies the customized service to make close linkage with library and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operational plan of 'liaison' service at academic libraries. It was explored the necessity of liaison service, the definition and role of liaison librarian. After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activities and duties of liaison librarian at Korean and foreign academic libraries, the operational plan such as organization, administration and steps et al. of 'liaison' service were proposed.

대학도서관이 이용자 서비스를 극대화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도서관과 이용자를 연결하여 맞춤형 책임 서비스를 구현하는 리에종 서비스의 실행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리에종 서비스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리에종 서비스의 필요성과 리에종 사서의 정의 및 역할을 살펴보고, 국내외 대학 도서관의 리에종 사서의 활동과 업무 내용을 사례 조사한 후, 이를 토대로 대학도서관의 리에종 서비스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운영 방안은 대학도서관에서 리에종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리에종 서비스의 조직, 운영절차, 운영내용 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경, 2007. “북미도서관의 서비스사례: 하버드대를 중심으로,” 2007 전국대학도서관대회, 2007. 5. 2-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89-104.
  2. 국립중앙도서관. 2008. 주제전문사서 인력수습전망 및제도화 방안 연구.
  3. 김남숙. 2006. 대학도서관에서의 주제담당사서제운영사례: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을 중심으로. 국회도서관보. 323: 55-63.
  4. 노영희, 노동조, 안인자, 김성진. 2008.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도서관.정보학회지 31(2):197-221.
  5. 문방희. 2006. 주제담당사서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사례 분석 -성균관대학교 과학 학술정보관을 중심으로-. 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세미나, 7월 13-14일, 제주도.
  6. 박수희. 2008. 한국형 대학도서관 리에종서비스 모형 개발 사례, KORSA 학술 워크샵, 2008. 11. 6.
  7. 신은자, 이혜영. 2001. 서비스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조직개편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2): 273-294.
  8. 안인자, 노동조, 노영희, 김성진. 2009.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333-361.
  9. 양수미. 1997. 자동화에 따른 대학도서관조직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용재. 1998. 현단계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의 주제사서제 활용 방안. 도서관학논집, 29: 27.
  11. 정재영. 2005.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327-350. 3-311. https://doi.org/10.3743/KOSIM.2005.22.3.327
  12. 정재영, 남태우. 2005. 대학도서관 주제화의 방향과 구성 요소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225-244.
  13. 홍순영. 2008. 주제전문서비스 사례분석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학과전담연구지원서비스.
  14. ARL, 2007. SPEC Kit 301; Liaison Services,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15. Attebury, Ramirose and Sara Holder, 2008. “New Liaison Librarians: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Levels and the Type of Activities Undertaken,"
  16. Bartnik, L. 2007. “The embedded academic librarian: the subject specialist moves into the discipline college." Kentucky Libraries, 71(3): 4-9.
  17. Cataldo, Tara Tobin et al. 2006, “Subject specialization in a liaison librarian program," Journal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Vol.94, No.4, pp.446-448.
  18. Electronic Journal of Academic and Special Librarianship, pp.1-14. [cited 2009. 4. 28].
  19. Johnson, B. L., and L. A. Alexander. 2007. “In the field." Library Journal, February 1: 38-40.
  20. Martin, J. V. 1996. “Subject specialization in British university libraries: a second surve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28(3): 159-169. https://doi.org/10.1177/096100069602800305
  21. McAbee, S. L. and J.-B. Graham. 2005. “Expectations, realities, and perception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duties in medium-sized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1(1): 19-28. https://doi.org/10.1016/j.acalib.2004.09.006
  22. Miller, Laurence. 1977, “Liaison Work in the Academic Library," RQ, Vol.16, No.3, pp.213-215.
  23. Pinfield, S. 2001. “The changing role of subject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3(1): 32-38. https://doi.org/10.1177/096100060103300104
  24. RASD, 1992, "Guidelines for liaison work," RQ, Vol.32, No.2, pp.198-204.
  25. Rodwell, John and Linden Fairbairn, 2008, “Dangerous liaisons?: Defining the faculty liaison librarian service model, its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Library Management, Vol.29, No.1/2, pp.116-124. https://doi.org/10.1108/01435120810844694
  26. RUSA, 2001. Guidelines for liaison work in managing collections and services, [cited 2009. 4. 25.]
  27. Schloman, Barbara F., Roy S. Lilly, and Wendy Lin Hu. 1989, “Targeting Liaison Activities: Use of a Faculty Survey in an Academic Research Library," RQ, Vol.28, No.4, pp.496-505.
  28. Stoddart, Richard A. et al., 2006. “Perspectives On... Going Boldly Beyond the reference Desk: Practical Advice and Learning Plans for New Reference Librarians Performing Liaison Work,"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32, No.4, pp.419-427. https://doi.org/10.1016/j.acalib.2006.03.009
  29. Swannell, Julia. 1992, The Oxford Modern English Dictionary, Clarendon Press, Oxford, p.612
  30. Tennant, Michele R. et al. 2006, “Evaluation of a liaison librarian program: client and liaison perspectives," J.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vol.94, No,4, pp.402-409, e201-e204.
  31. UTAS. 2009. [cited 2009. 4.25]
  32. Yang, Zheng Ye (Lan) 2000, “University Faculty's Perception of a Library Liaison Program: A Case Stud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26, No.2, pp.124-128. https://doi.org/10.1016/S0099-1333(99)001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