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Affecting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Early and Late Postmenopasusal Woman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 여성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와 위험 요인들

  • Kim, Jong-Hu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oon-Soo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Jae-Wo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You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Seung-Duk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Hyupsung University)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종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문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양재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고승덕 (협성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Received : 2009.09.05
  • Accepted : 2009.09.30
  • Published : 2009.12.15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valuate the risk factors affecting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early and late postmenopausal women based on the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STRAW) paradigm. Methods : This cross-sectional study examined 497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41-59 yea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 divided subjects into early postmenopause group and late postmenopause group. Menopause Rating Scale(MRS)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MRS score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moking, alcohol use, age at menopause, and risk factors such as attitude to menopause, depression, histor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ere compared between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each group to assess the independent contribution of several variables. Results : Early postmenopau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RS scores,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higher scores of depressive symptoms than late postmenopause group. Moderate to very severe hot flus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higher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and higher MRS scores than none to mild hot flush groups. Depressive symptoms and attitude toward menopause contributed to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 in both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Chronological age, age at menopause, history of PMDD contributed to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early postmenopause group while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contributed in late postmenopause group. Conclusion :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e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in early postmenopause group than the late. Attitude toward menopause and depressive symptom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quality of life in both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but other variables contributed differently in each group. Further studies on clinical samples of postmenopausal women in order to confirm quality of life and its risk factor are needed to be done.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 노화 연령 연구(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 STRAW)의 분류에 따른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비임상 표본인 41~59세의 497명의 자연폐경이 된 폐경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초기 폐경후기 군과 후기 폐경후기 군으로 구분하였다. 삶의 질의 평가를 위해 폐경평가척도(menopause rating scale : MRS)가 사용되었다. MRS 점수, 인구사회학적 특징, 흡연, 음주 여부, 폐경 연령과 폐경에 대한 태도, 우울감, 월경 전 불쾌장애 병력 여부 등의 위험 요인을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간에 비교 조사하였다. 각 군에서 각각의 변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MRS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초기 폐경후기군에서 후기 폐경후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한 폐경기 증상, 폐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심한 우울감을 보였다. 안면홍조증상이 중등도 이상인 군은 경도 이하인 군보다 폐경기 증상의 호소와 우울감이 유의하게 높았고 폐경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폐경에 대한 태도와 우울감이 초기 폐경후기군과 후기 폐경후기군에서 모두 폐경기 증상의 심한 정도에 주요한 기여를 하였다. 초기 폐경후기군에서 연령, 폐경연령, 월경 전 불쾌장애 병력 여부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유의하게 기여한 반면 후기 폐경후기군에서는 결혼상태, 직업여부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기여하였다. 결론 : 폐경후기 여성의 삶의 질은 후기보다 초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 중 폐경에 대한 태도와 우울감은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의 삶의 질에 공통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밖의 위험 요인들은 초기와 후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폐경기 증상 호소로 병원을 찾는 폐경후기 여성 환자들의 임상표본(clinical sample)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위험 요인을 확립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