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Usefulness of Korean Version of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강점.난점설문지의(SDQ-Kr)의 임상 활용도

  • Shin, Jong-Soo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Ahn, Joung-Sook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Choi, Young-Hun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im, Hae-Ji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신정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안정숙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최영훈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혜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Received : 2009.09.10
  • Accepted : 2009.10.29
  • Published : 2009.12.15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Korean version of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DQ-Kr) by comparing with Korean version of Childhood Behavior Checklist (K-CBCL). Methods : The parent version of SDQ-Kr and K-CBCL were administered to parents of 313 children in psychiatric clinic, 91 children referred for psychiatric consultation from pediatric clinic and 93 control children in pediatric clinic. All children aged 4-11 years old. Children in psychiatric clinic were diagnosed with one of followings;ADHD, emotional disorders and oppositional/conduct disorder. Mean scores were compared among three groups by gender.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r corresponding problem scales and total scores of both questionnaires. ROC analysis was performed for discriminant validity to distinguish psychiatry and pediatrics samples, and also to distinguish diagnostic groups of psychiatry sample. Results : The psychiatry sample showed highest means of problem scales and total scores, followed by consultation and control sample of pediatrics. SDQ-Kr and K-CBC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equally able to distinguish those samples with SDQ-Kr showing better results. Within the psychiatry sample, SDQ-Kr had higher predictive power for all diagnostic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supports clinical usefulness of SDQ-Kr. We suggest that SDQ-Kr could be used not only as a diagnostic tool for children in psychiatric clinic but also as an effective and efficient screening instrument for children in need for psychiatric evaluation in pediatric clinic.

연구목적 : 소아정신과의사의 진료가 개설되지 않은 일반정신과 외래 및 소아과 외래에서 아동의 정신과적 장애를 선별 진단하는 목적으로 한국어판 강점 난점설문지(Korean version of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 SDQ-Kr)가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 정신병리의 표준진단도구인 아동행동조사표 (Korean version of Childhood Behavior Checklist : K-CBCL)와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 부모용 SDQ-Kr과 K-CBCL을 정신과 외래아동 313명, 정신과로 진료의뢰된 소아과 자문아동 91명, 소아과 외래아동(대조군) 93명의 부모에게 시행하였다. 이들은 모두 4~11세였고, 정신과아동은 ADHD, 정서장애, 또는 품행장애 중 하나로 진단되었다. SDQ-Kr과 K-CBCL의 대응되는 소척도 평균점수에서 세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 성별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두 설문지의 대응하는 소척도 점수들간 상관계수를 산출함으로써 SDQ-Kr의 구인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정신과아동과 소아과아동에 대한 두 설문지의 집단 판별력을 비교하기 위해 AUC를 산출하고, 또한 정신과아동에 대한 두 설문지의 진단예측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SDQ-Kr과 K-CBCL의 소척도 모두에서 정신과아동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소아과 자문아동, 소아과 대조아동 순서로 나타났다. 두 설문지의 대응되는 소척도들은 유의하게 상관되었으며, 모두 정신과아동과 소아과아동의 집단 판별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SDQ-Kr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정신과아동의 진단 예측도에서도 SDQ-Kr이 높은 예측력을 나타냈다. 결론 : 이 연구 결과는 SDQ-Kr이 소아과 외래에서 정신과적 진료가 필요한 아동을 선별하고, 일반정신과에서 소아정신과적 진단을 내리는데 일차적인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