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ual State of Structures and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for Tomato Greenhouses in Chungnam Region

충남지역 토마토 재배온실의 구조와 환경조절설비 실태분석

  • Nam, Sang-Woon (Dept. of Bioresource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hik (Dept. of Plant Science and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남상운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
  • 김영식 (상명대학교 식물산업공학과)
  • Received : 2008.09.22
  • Accepted : 2009.06.03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get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uctural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omato greenhouses in Chungnam region. The contents of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actual state of greenhouse structures and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Most of greenhouses were arch type single-span plastic houses and they had too low height for growing tomatoes. Frameworks of multi-span greenhouses were suitable, but those of single-span were mostly insufficient. Every greenhouse had thermal curtain movable or covering fixed inside the greenhouse for energy saving, and heating facilities were mostly warm air heater. Irrigation facilities were mostly drip tube and controlled by manual operation or timer. Almost all of the greenhouses didn't install high level of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such as ventilator, air circulation fan, $CO_2$ fertilizer, insect screen, supplemental light, and cooling device.

충남지역 토마토 재배온실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체계적 환경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조 및 환경조절설비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충남지역의 토마토 재배온실은 호당 평균면적 0.45ha, 플라스틱 단동온실의 형태가 대부분이며 10년 이상 시설을 사용하고 있는 농가가 많고, 설치방향은 단 연동 구분 없이 대부분 남북동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토양재배가 수경재배에 비해 훨씬 많다. 온실의 폭은 7~8m(평균 7.6m), 길이는 80~100m(평균 89.7m)인 농가가 대부분이었으며, 단동온실의 평균 높이는 측고 1.6m, 동고 3.2m, 연동온실의 평균높이는 측고 2.9m, 동고 4.8m로 농촌진흥청의 보급형 온실에 비하여는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토마토 재배에 적합한 환경관리를 위해서는 온실의 측고를 좀 더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동온실의 서까래 규격은 양호하나 설치간격이 대체로 넓고, 도리의 설치 개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동온실의 경우 서까래, 도리, 중방의 규격과 설치간격은 대체로 양호하나 기둥의 설치간격이 대체로 넓은 편이어서 구조적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동 서까래 매설부위 및 연동 기둥의 기초부위는 침하나 인발에 충분히 저항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피복재는 대부분 PE필름을 사용하고 에너지 절감을 위해 내부에 고정터널을 설치하는 농가가 많으며 내피도 대부분 PE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단동온실에서는 보온커튼을 사용하는 농가가 많지 않고, 연동에서는 대부분 부직포 또는 알루미늄스크린 등의 다층 보온커튼을 사용하고 있다. 관수장치는 점적호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다음으로 분수호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관수제어는 수동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타이머를 이용하고 있다. 토양수분 계측에 의한 자동제어는 7.5%에 불과해 관수자동화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난방은 대부분 온풍 난방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적정 난방기 용량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농가도 많아 저온기 생육적온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난방비는 10a당 평균 6백만 원 정도가 연간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난방비 절감 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부분 권취식 천측창을 설치하고 있으나 단동의 경우 천창을 설치한 온실은 17.5%에 불과하며, 환기창 개폐장치는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제 환기팬이나 공기 유동팬을 설치한 온실은 25.8%에 불과하며 설치대수가 매우 부족하고 정확한 설치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별도의 구조물에 토마토 유인줄을 설치하지 않고 중방이나 서까래에 설치하는 농가가 많아 구조물에 미치는 작물하중의 영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타 탄산가스 시비, 광환경 제어, 지중가온이나 방충망설치, 하절기 온실 냉방 등 고도의 환경조절을 실시하는 농가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준국, 이재한, 강남준, 강경희, 최영하. 2004. 플라스틱하우스의 보온피복 재료 및 방법이 보온력과 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3(4) : 251-257.
  2. 김문기, 남상운. 1995. 파이프하우스의 구조안전에 관한 실험적 연구. 생물생산시설환경 4(1) : 17-24.
  3. 김문기, 남상운, 서원명, 윤용철, 이석건, 이현우. 2000. 농업시설공학. 향문사 : 38-80.
  4. 김문기, 남상운, 손정익, 윤남규. 1994. 지역별 특성화 온실의 실태 및 구조적 안전성. 생물생산시설환경 3(2) : 128-135.
  5. 남상운. 2005. 농업시설의 기상재해 발생현황과 대책. 전원과 자원 47(3) : 30-37.
  6. 남상운, 서원명, 윤용철, 이석건, 이인복, 이현우, 조병관. 2008. 개정판 생물환경조절공학. 도서출판 청솔 : 183-233.
  7. 남상운, 유인호. 2000. 파이프 골조 온실의 구조 및 유지관리실태 조사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42(4) : 106-114.
  8. 농림수산식품부. 2008. 작물통계조사. http://www.mifaff.go.kr/USR/WPGE0201/m_119/DTL.jsp.
  9. 농촌진흥청. 2006.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가이드 북. 농업공학연구소 : 157-166.
  10. 농촌진흥청. 2007. 원예특작 내재해 시설 설계도. 농업공학연구소.원예연구소 : 3-102.
  11. 이상돈. 2009. 토마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언. 토마토 수출촉진 심포지엄 자료집 : 55-66.
  12. 이상순, 김성배, 박용봉. 2006a. 관비방법이 시설 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5(1) : 206-210.
  13. 이상순, 김성배, 박용봉, 2006b. 관비방법이 시설 토마토의 품질 및 무기성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5(1) : 211-215.
  14. 이한철, 조명환, 이시영, 최경이, 이재한. 2007. 토양 염류농도가 시설토마토의 생육, 수량, 광합성 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6(4) : 328-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