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nsumer Acceptance toward the Commercialized Smart Clothing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도

  • Chae, Jin-Mie (Research Institute of Clothing & Textile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Cho, Hyun-Seung (Research Institute of Clothing & Textile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Lee, Joo-Hyeon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Yonsei University)
  • 채진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과학연구소) ;
  • 조현승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과학연구소) ;
  • 이주현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attitudes and acceptance toward the smart clothing adopted by the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A theoretical model on consumer acceptance of the commercialized smart clothing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review of literature and tested the path analysis. For the data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using AMOS 5.0 package were employed. The results from a web-based survey of 557 online consumers indicate that the TAM by Davis(1989) adopted by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market price was able to explain consumer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substantially wel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ight of the six hypothes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supported. The results of the testing of the hypothesis were as fellows: First,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de effect on attitude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In addition, the attitude was found to affect consumer acceptance. Second,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affect consumer attitude on perceived value, however, had not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acceptance toward smart clothing. Third,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affect both consumer acceptance and attitude toward smart clothing. Finally, the attitude toward smart clothing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nsumer acceptance.

본 연구에서는 TAM을 적용하여 혁신적인 의류 제품인 스마트 의류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의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 제품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수용도에 대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각 구성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그 경로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스마트 의류 수용과정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한 공분산 구조모형을 구성하였고, AMOS 5.0 package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얻은 557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하였다. Davis(1989)가 제안한 TAM에, 스마트 의류 제품들의 판매 가격을 고려한 지각된 가치 변수를 적용하여 스마트 의류의 수용과정을 설명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입증하였으며, 8개의 경로가설 중 6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져 채택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을 거쳐 태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태도는 다시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 의류의 수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