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in Lake Paldang

팔당호의 조류 발생 특성

  • Kim, Jin-Keun (Department of Water Supply Operation and Maintenance, K-water) ;
  • Lee, Song-Hee (Department of Water Supply Operation and Maintenance, K-water) ;
  • Bang, Ho-Hee (Department of Water Supply Operation and Maintenance, K-water) ;
  • Hwang, Su-Ok (Seoul Metropolitan Water Supply Regional Headquarters, K-water)
  • 김진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관리처) ;
  • 이송희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관리처) ;
  • 방호희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관리처) ;
  • 황수옥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지역본부)
  • Published : 2009.05.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algal occurrence in Lake Paldang.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highest during spring, based on weekly measurements from 2006 to 2008, which revealed a different trend compared to the data before 2000 that showed the highest level during summer. Total algae cell quantity was also highest during spring, based on monthly data. Overall, Bacillariophyceae was dominant and represented 87% of total algae cells and occupation was more significant during spring and winter. Cyanophyceae was dominant during summer. 2-MIB and geosmin originating in algae which caused odor problems was high in July 2008, and mor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gae and production of odor causing material is needed.

본 연구는 팔당호내 조류의 발생특성 파악을 위해 수행되었다. 2006-2008년 매주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클로로필-a 농도는 봄철에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여름철에 가장 높게 조사되었던 2000년 이전 자료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월간 측정 자료에 의하면 2008년 총 조류개체수도 봄철에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규조류가 우점하였으며 연평균값으로는 총 조류개체수의 87%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봄과 겨울에 우점정도가 높았다. 하절기의 경우 특정시기에 남조류가 우점을 차지하였다. 조류에서 기인하는 냄새 유발물질인 2-MIB와 geosmin은 2008년 7월에 특히 높게 나타났는데 조류와 냄새물질 발생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팔당호의 영양구조적 특성" 수질개선 시스템 개발에 관한 한일 심포지움 논문집, pp.167-196(1995)
  2. 김종민,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정완종, 임연택, "팔당호 수질의 계절별 변화특성 및 장기 추세" 한국물환경학회지, 18(1), 67-76(2002)
  3. 김종민, 노혜란, 허성남, 양희정, 박준대, '강우 및 유입하천수가 팔당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1(3), 277-283(2005)
  4. 이인규 공역, "조류생물학," 월드사이언스(2000)
  5. 박혜경, 정원화, 임연태, 김종택, 유재근, '팔당호에서 남조류 및 마이크로시스틴의 경시적 변화' 한국물환경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1999)
  6. 최일환, 이정호, 김학철, 박종근, 지연숙, "대청호의 microcytin 농도 분포",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발표문집, pp. 285-286(2002)
  7. AWWA, Water Quality and Treatment, AWWA(1999)
  8. Whelton, A. J. and Dietrich, A. M., "Relationship between intensity,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for drinking water odorants," Water Res., 38, 1604-1614(2004) https://doi.org/10.1016/j.watres.2003.11.036
  9. 환경부, "먹는물 관리지침" (2009)
  10. APHA, AWWA, WPC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Washington, DC, USA(1995)
  11. 정준,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1993)
  12. 이현동, 이의신, 서규태, '상수도의 생물 진리탐구'(1996)
  13. 박혜경, 이현주, 김은경, 정동일, "팔당호 조류발생 특성 및 수질환경인자의 통계적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1(6), 584-594(2005)
  14. 한명수, 어운열, 유재근, 유광일, 최영길,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8(3), 335-344(1995)
  15.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조류예보제 운영 매뉴얼 (2008)
  16. 전상호, 박용안, "소양호 퇴적물에 함유된 인의 존재형태와 용출가능성에 대하여," 한국하천호소학회지, 22, 262-271 (1989)
  17. MWH, Water Treatment Principles and Design, 2nd Ed. John Wiley & Sons, Inc. USA(2005)
  18. Park, D., Maeng, l, Ahn, C., Chung, A., Lee, J., and Oh, H., "Geosmin concentration and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Deachung reservoir, Korea," Korean Journal Limnology, 34(4), 319-326(2001)
  19. Saadoun, I. K., Schrader, K. K., and Blevins, W. T.,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factors affecting geosmin synthesis by anabaena sp.," Water Res., 35(5), 1209-1218 (2001) https://doi.org/10.1016/S0043-1354(00)0038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