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tronomical Observation Environment Study focusing on Night Sky Brightness Variation under Light Pollution

광해에 따른 밤하늘의 밝기 변화를 중심으로 본 천문 관측 환경

  • Lee, Jin-H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oul National University) ;
  • Choe, Seung-Ur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Jae-Hoo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oul National University) ;
  • Woo, Hong-Gyu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oul National University)
  • 이진희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정재훈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우홍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발행 : 2009.06.30

초록

By measuring the brightness of night sky, we have investigated light pollution around the observatory in the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xtinction coefficient and photometric constants by standardization, in January 28, 2009, the extinction coefficient found to be $k_B$=0.359 and photometric constant was $C_B$=4.397. In March 27, 2009, extinction coefficients were $k_B$=0.896 and $k_V$=0.725, and photometric constants were $C_B$=6.235 and $C_V$=6.027. Brightness of the night sky was measured from east, west, south, and north each by altitude of $20^{\circ}$, $40^{\circ}$, $60^{\circ}$, $75^{\circ}$ and $90^{\circ}$. Data reduction and analysis was based on IRAF. Seeings for the each day of observation were 5.1 and 5.7 arcseconds in January 28 and March 27, respectively. Night sky spanned the magnitude range of $16{\leq}m_V$, $m_B{\leq}18$ We found that the brightness of night sky located at downtown was twice to four times brighter. On these observational conditions, limiting magnitude within 40cm-telescope becomes 11-13 magnitudes. Compared with Jan 28 and Mar 27, night sky brightness of January is 1 magnitude fainter than that of March in B filter.

광해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대 사범대학 주변 밤하늘의 밝기를 측정하였다. 표준성을 이용하여 고도에 따른 소광 계수 및 영점 상수를 구한 결과, 2009년 1월 28일에는 소광계수가 $k_B$=0.359, 영점상수는 $C_B$=4.397이 었고, 2009년 3월 27일에는 소광계수가 $k_B$=0.896, $k_V$=0.725, 영점상수는 $C_B$=6.235, $C_V$=6.027이었다. 밤하늘의 밝기는 동, 서, 남, 북 네 방위에 대해 고도 $20^{\circ}$, $40^{\circ}$, $60^{\circ}$, $75^{\circ}$, $90^{\circ}$에서 측정하였다. IRAF를 사용하여 전처리하고 측광한 결과, 1월 28일의 시상은 평균 5.1"였고 3월 27일은 5.7"이었다. 밤하늘의 등급은 방위 및 고도에 따라 $16{\leq}m_V$, $m_B{\leq}18$이었다. 도심 방향의 밤하늘 밝기는 어두운 지역에 비해 2-4정도 밝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측 조건에서 구경 40cm인 망원경을 통해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한계 등급은 밤하늘의 밝기 정도에 따라 대략 11-13등급이다. 1월과 3월의 밤하늘 밝기를 비교해 본 결과, B필터에서 1월이 3월에 비해 1등급 정도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용희 외, 1996, 최정산 위성추적소의 천체관측 환경에 관한 조사 연구 1. SEEING 및 야천광 관측과 위성추적소의 활용 방안. 천문학논총, 11, 177-196
  2. 곽영순, 이양락, 김동영, 2006, 고교 선택과목 지구과학 I, II 교육과정 개정 방향. 제50차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및 전국과학교사 현장연구 워크숍, 97-112
  3. 김승환 외, 2008, 고등학교 천체 관측 동아리를 위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관측지 주변 환경을 고려한 표준화 계수 결정 프로그램. 한국지구과학회지, 29, 495-505 https://doi.org/10.5467/JKESS.2008.29.6.495
  4. 류주현, 유계화, 1997, 고등학교 과학I (하) 천문영역에 대한 STS 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18, 473-479
  5. 박승재, 조희형, 1995, MIBL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5, 454-464
  6. 성환경, 1995, 8개 젊은 산개성단의 UBV CCD 측광. 서울대학교 이학박사학위 논문, 30 p
  7. 한주용, 최승언, 2005, CCD를 이용한 천체관측 프로그램의 개발-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188-195
  8. Allen, C.W., 1973, Astophysical Quantities (3rd ed.). Athlone Press, London, UK, 26 p
  9. Bowen, I.S., 1947, Notes from observatories: Limiting visual magnitude.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59, 253-256
  10. Dennefeld, M., 2002, Sky brightnes variations, limiting magnitudes and exposure times with large telescopes. In Vemin, J., Benkhaldoun, Z., Mu$\tilde{n}$oz-Tun$\acute{o}$n, C. (eds.), Astronomical Site Evaluation in the Visible and Radio Range, vol. 266.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conference, San Francisco, USA, 540-545
  11. Duriscoe, D.M., Luginbuhl, C.B., and Moore, C.A., 2007, Measuring night-sky brightness with a wide-field CCD camera.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19, 192-213 https://doi.org/10.1086/512069
  12. Favero, G., Federici, A., and Blanco, A.R., 2000, Measurements of light pollution of Pauda. Memorie della Societa Astronomia Italiana, 71, 223-230
  13. Garstang, R.H., 2000, Limiting visual magnitude and night sky brightness. Memorie della Societa Astronomia Italiana, 71, 83-92
  14. Garstang, R.H., 1999, New Formula for Optimum Magnification and Telescopic Limiting Magnitude.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93, 80-83
  15. Garstang, R.H., 1999, New formula for telescopic limiting magnitu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7, p. 80
  16. Walker, M.F., 1973, Light pollution in california and Arizona. Publication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85, 508-519 https://doi.org/10.1086/129496
  17.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intro.html (검색일: 2009. 3. 29.)
  18. 네이버 지도: http;//map.naver.com (검색일: 2009.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