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cision Test Based on States of Bone Mineral Density

골밀도 상태에 따른 검사자의 재현성 평가

  • Yoo, Jae-So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Eun-Hy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Ho-Se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Shin, Sang-Ki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Cho, Si-Ma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Received : 2008.12.03
  • Accepted : 2009.01.02
  • Published : 2009.05.11

Abstract

Purpose: ISCD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requests that users perform mandatory Precision test to raise their quality even though there is no recommendation about patient selection for the test.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n precision test by measuring reproducibility of 3 bone density groups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 Materials and Methods: 4 users performed precision test with 420 patients (age: $57.8{\pm}9.02$) for BMD in Asan Medical Center (JAN-2008 ~ JUN-2008). In first group (A), 4 users selected 30 patient respectively regardless of bone density condition and measured 2 part (L-spine, femur) in twice. In second group (B), 4 users measured bone density of 10 patients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of first group (A) users but dividing patient into 3 stages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 In third group (C), 2 users measured 30 patients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of first group (A) users considering bone density condition. We used GE Lunar Prodigy Advance (Encore. V11.4) and analyzed the result by comparing %CV to LSC using precision tool from ISCD. Check back was done using SPSS. Results: In group A, the %CV calculated by 4 users (a, b, c, d) were 1.16, 1.01, 1.19, 0.65 g/$cm^2$ in L-spine and 0.69, 0.58, 0.97, 0.47 g/$cm^2$ in femur. In group B, the %CV calculated by 4 users (a, b, c, d) were 1.01, 1.19, 0.83, 1.37 g/$cm^2$ in L-spine and 1.03, 0.54, 0.69, 0.58 g/$cm^2$ in femur. When comparing results (group A, B), we found n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group C, the user_1's %CV of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ere 1.26, 0.94, 0.94 g/$cm^2$ in L-spine and 0.94, 0.79, 1.01 g/$cm^2$ in femur. And the user_2's %CV were 0.97, 0.83, 0.72 g/$cm^2$ L-spine and 0.65, 0.65, 1.05 g/$cm^2$ in femur. When analyzing the result, we figured out that the difference of reproducibility was almost not found but the differences of two users' several result values have effect on total reproducibility. Conclusions: Precision test is a important factor of bone density follow up. When Machine and user's reproducibility is getting better, it’s useful in clinics because of low range of deviation. Users have to check machine's reproducibility before the test and keep the same mind doing BMD test for patient. In precision test, the difference of measured value is usually found for ROI change caused by patient position. In case of osteoporosis patient, there is difficult to make initial ROI accurately more than normal and osteopenia patient due to lack of bone recognition even though ROI is made automatically by computer software. However, initial ROI is very important and users have to make coherent ROI because we use ROI Copy function in a follow up. In this study, we performed precision test considering bone density condition and found LSC value was stayed within 3%.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Thus, patient selection could be done regardless of bone density condition.

ISCD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에서는 골밀도 검사자의 전문성을 키우고자 검사자의 재현성 시험을 필수 자격조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재현성 시험의 대상자 선정에 대한 권고안이 불확실하여 골밀도 상태에 따른 그룹별 재현성을 시험해 골밀도 차이가 재현성 시험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 1월부터 6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300명(57.8세$\pm$9.02)의 여성 골밀도 수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4명의 검사자가 재현성을 시험하였다. A그룹의 120명은 4명(a,b,c,d)의 검사자가 골밀도 상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요추부와 대퇴부를 30명씩 두 번 측정하였고 나머지는 B그룹으로 두 명의 검사자가 골밀도 상태에 따라정상, 골다공증, 골감소증 군으로 분류하여 A그룹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현성을 시험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GE Lunar Prodigy Advance (Vr11.4)이고, 수집된 자료는 ISCD에서 배포된 Precision Tool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동계수율(%CV)를 알아보았으며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A그룹의 %CV는 a, b,c, d 검사자가 각각 요추부 1.08, 0.83, 0.72, 1.37%, 대퇴부 1.08, 1.04, 1.4, 0.58 %로 산출되었고 동일 골밀도 상태의 요추와 대퇴부를 비교하면 재현성이 일관되지 않았다. B그룹에서는 a의 요추부 정상군 %CV가 1.26으로 가장 높았고 대퇴부는 0.94로 골다공증 군이 가장 높게 측정됐다. b는 요추부의 정상군 %CV가 0.97로 가장높았고 대퇴부는 1.04로 골다공증 군에서 가장 높았다. 요추부의 정상군과 대퇴부의 골다공증 군은 %CV가 가장 높게 나타나 골밀도 상태에 따른 재현성이 일관되지 않았다. 본원의 골밀도검사 재현성 시험은 골다공증 상태의 수검자를 제외한다. 그 이유는 ISCD의 대상자 선정이 불확실하고, 골밀도가 낮을수록 장비의 골 인식도가 떨어져 재현성 시험을 시행할 경우, 검사자의 수작업을 요하므로 좋은 재현성을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현성 결과값은 LSC (Least Significant Change)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비, 검사자, 수검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오차를 반영해야 한다. 실험결과는 골밀도 상태가 재현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따라서 정상, 골감소, 골다공증의 구별 없이 대상자의 선정 폭을 넓혀 대상에 구애 받지 않고 보다 정확한 의미의 재현성 시험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