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of Obesity by Sasang Constitutions and Enneagram in University Students

사상체질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비만 예측

  • 이종우 (전주대학교 건강관리) ;
  • 성갑선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 엄혜정 (배재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 Received : 2009.10.22
  • Accepted : 2009.11.16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Objectives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predisposed to obesity is an important issue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obesity. It was reported that a high prevalence of obesity appeared in Taeumin among Sasang constitutions, but Enneagram personality-types has not been used to classify the patterns of obesity. These two classification methods were employed in combination in the current study, and it was analyzed whether the morbidity pattern of obesity can be characterized in further detail. Methods The subjects were 125 University students(62 males and 63 females) who answered both questionnaires for Sasang constitutions and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he obesity of students was classified by the obesity index and BMI. Results Only Taeumin group of Sasang constitutions was overweight, and the male of the group was overweight or obese. Analysis of the obesity index and BMI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5) between the types in the female group. These values were highest at the type 3 and lowest at the type 4. The physical indices according to both the centers of Enneagram and Sasang constitutions showed that only Taeumin female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the obesity index and BMI. Taeumin male group was overweight or obese in all centers of Enneagram and Taeumin female group was overweight or obese only in heart-center. Conclusions Diagnosis of 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the classification of obesity patterns using Enneagram personality types in addition to Sasang constitutions is very useful to prevent and control the obesity.

Keywords

References

  1. Kanders BS, Forse RA, Blackburn GL. Obesity. In: Rakel RE, ed. Conn's Current Therapy 1991. Philadelphia: W.B.Saunders. 1991: 524-6.
  2. Drenick EJ, Bale GS, Seltzer F, Johnson DG. Excessive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in Morbidly Obese Men. Jama. 1980;243(5):443-5.
  3. Van Itallie TB, Kral JG. The Dilemma of Morbid Obesity. Jama. 1981;246(9):999-1003.
  4. Feinleib M. Epidemiology of Obesity in Relation to Health Hazards. Ann Intern Med. 1985;103(6 Pt 2):1019-24.
  5. Mann GV. The Influence of Obesity on Health (Second of Two Parts). N Engl J Med. 1974;291(5):226-32.
  6. Simopoulos AP, Van Itallie TB. Body Weight, Health, and Longevity. Ann Intern Med. 1984;100(2):285-95.
  7. Barrett-Connor EL. Obesity, Atherosclerosi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nn Intern Med. 1985;103(6 Pt 2):1010-9.
  8. Manson JE, Colditz GA, Stampfer MJ, Willett WC, Rosner B, Monson RR, Speizer FE, Hennekens CH. A Prospective Study of Obesity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N Engl J Med. 1990;322(13):882-9.
  9. Stunkard AJ, Wadden TA. Psychological Aspects of Severe Obesity. Am J Clin Nutr. 1992;55 Suppl 2:524S-32S.
  10. 김상만, 조남한, 정지연, 김효민. 소아비만 기술 역학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7(2):125-33.
  11. 김은영, 노영일, 양은석, 박상기, 박영봉, 문경래, 이철갑. 소아 비만의 6년간의 추적 관찰. 소아과. 2001;44(11):1295-300.
  12. 김호진, 허봉렬, 황인홍, 박희순, 이승훈, 이가영, 최영인. 소아비만의 유병률에 관한 조사 연구. 가정의학회지. 1990;11(5):15-20.
  13. 조계성, 문유선, 정의식, 이혜리, 강윤주. 소아 비만과 부모 비만관의 관련서에 대한 연구. 가정의학회지. 1995;16(6):362-72.
  14. 김우경. 성인여성의 비만기준설정을 위한 예측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15. 이명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비만과 과체중의 고위험군 예측모형 구축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19세 이상 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16. 최길순. 초등학생 비만 예측모형.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17. 한용희.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 예측 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8. 김연경, 조미란, 장린, 조여원. 65세이상 노인에서 사상체질에 따른 식습관, 영양소 섭취상태 및 질병양상에 관한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2;7(1):76-85.
  19. 임진희, 이임순, 고병희, 송일병, 이수경. 중년비만 여성의 사상체질별특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3):59-69.
  20. 홍상훈, 김종원. 청소년의 사상체질과 체성분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12(2):132-42.
  21. 홍정미, 유식, 최선미. 사상의학적 체질에 따른 일부 초등학교 5학년생의 체성분, 식습관 및 식이 섭취량의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2;7(1):67-75.
  22. 손은혜, 곽창규, 이의주, 고병희, 김종원, 김규곤. 허리둘레로 평가한 복부비만의 사상인별 차이분석. 대한한의학회지. 2006;27(1):138-45.
  23. 김달래. 비만인의 생활특성과 사상체질에 관한 연구. 사상의학회지. 1997;9(1):303-13.
  24. 김달래, 백태현. 사상체질과 비만의 상관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6;8(1):319-35.
  25. 김은영, 김종원. 사상체질과 비만에 관한 임상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1):100-11.
  26. 김은영, 김종원. 비만인의 생활행태와 사상체질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9;11(1):185-99.
  27. 조민상, 고병희, 송일병. 비만환자의 체질적 특징에 대한 임상적 고찰. 사상의학회지. 1998;10(2):485-511.
  28. 최선미, 홍정미, 지상은, 김종덕, 윤유식, 안규석. 사상체질과 어린이 성격유형 검사를 통한 소아 비만과의 상관관계연구. 동의병리학회지. 2001;15(6):1034-8.
  29. 김나영. 초, 중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식이섭취와 체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30. 이민혜. 서울지역 남녀 중학생의 성격유형과 식습관 및 식기호도와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31. 최선영. 고등학생의 체형과 체형인식도에 따른 성격유형(MBTI)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32. 백영아.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스트레스가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33. 채한, 이수진, 이진우, 노삼웅, 배현수, 홍무창, 신민규. Myers-Briggs Type Indicator 와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이용한 사상체질의 특성 연구. 동의병리학회지. 2001;15(1):42-8.
  34. 최선미, 지상은, 정봉연, 안규석, 고병희, 성현제. QSCCII와 MBTI의 비교분석을 통한 사상체질의 성격유형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6(1):47-57.
  35. 최현민, 김형돈. 사상체질과 체격, 체력, 신체조성 및 성격유형과의 상관관계. 한국체육학회지. 2006;45(1):823-34.
  36. 윤정현. 아유르베다와 에니어그램의 성격유형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37. 이소현. 경남지역 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특성과 식습관 및 식품기호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38. 김선호, 고병희, 송일병. 사상체질분류검사지 (QSCC)II의 표준화 연구 -각 체질집단의 군집별 Profile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1996;17(2):337-93.
  39. 윤운성. 에니어그램 성격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01;15(3):131-61.
  40. 류수민, 신승우, 김길수, 문진석, 윤유식. 사상체질별 비만도 분석과 체지방 감량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비만회지. 2005;5(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