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enomenological Study on Time Experiences of Mothers Participating in Child Counseling

아동상담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시간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숙경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보라매 청소년 수련관 아동상담) ;
  • 김광웅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09.04.30
  • Accepted : 2009.07.07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ime experiences of mothers in child counseling and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 of tim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and attitudes were adopted as the basic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five mothers who were interviewed in depth on their time experiences in child counseling. The data were organized by the following contents : (1) Time for compensation, (2) conscious immersion, (3) stagnation, (4) infiniteness and finiteness of time, and (5) facing the past.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interpreted three meanings discovered in the mothers' time experiences; (1) Reconstructed time : Healing, (2) The child becomes a mirror reflecting the mother, and (3) A new beginning.

Keywords

References

  1. 기채영 (2006) 놀이치료에서 부모상담의 치료성과요인 및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놀이치료연구. 9 (2), 41-58
  2. 김광웅(2009) 놀이 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실태조사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1), 47-63
  3. 김광웅. 유미숙. 유재령 (2004) 놀이치료학. 서울 : 학지사.
  4. 김광웅. 김화란(2006) 놀이로 이해하는 우리 아이 : 처음 만나는 놀이치료. 서울 : 숙대출판국.
  5. 김광웅. 최명선. 류진아. 정유진 (2006) 아동상담 연 구 동향, 놀이치료연구. 9(3), 47-65.
  6. 김석 역 (2007)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서울 : 살림
  7. 김숙경 (2008)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상담활동에서 인정의 의미 : 상담자의 관점에서. 교육인류학연구 11(2), 147-172
  8. 김영민(1994) 현상학과 시간. 서울 : 도서출판 까치
  9.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 문음사
  10. 박수영. 이재연 (2005) 국내 놀이치료 연구 동향 : 놀이치료 관련학회지 게재논문 중심으로-(1997- 2003). 한국생활과학회지. 14( 1), 47-57.
  11. 박현주. 김광웅(2000) 놀이치 료 현황 및 놀이 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상담 만족도 연구. 놀이치료연구. 3(20), 11 -21.
  12. 서덕희 (2006) 홈스쿨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참여 관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서덕희 (2007) "여유"의 교육적 의미 : 홈스쿨링의 시간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과정연구, 25(2), 63-90
  14. 신숙재, 이영미, 한정원 (2000) 아동중심 놀이치료 : 아동상담. 서울 : 동서 문화원
  15. 신현정 (2008a) 아동상담에서의 어머니 변화 : 치료놀이 (Theraplay)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2), 65-97
  16. 양미경 (1999) 교육과 시간 : 시간의 의미에 대한 교육적 이해. 교육과정연구. 17(1), 93- 114
  17. 오경미 (2004) 놀이치료자의 공감능력과 내담아동 어머니의 상담자 평가 및 부모상담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미숙 (1997).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상조사
  19. 유혜령 (2004) 아동교육 연구의 현상학적 전통과 과제. "교육 자체로" : 교육 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한국교육인류학회 2004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 유혜령 (2005) 아동교육 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 역사와 과제. 교육인류학연구. 8(1), 57-90
  21. 이근호(2005) 달괴 손가락 :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해석화적 현상학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인류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2. 이근호(2007)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23. 이부미(1999)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학위논문
  24. 이서규 역 (2003) 현대철학의 이해, 서울 : 건국대학교 출판부
  25. 이수정. 박찬국 (1999) 하이데거.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6. 이희경. 김혜선 (2006) 놀이 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수준과 희망이 부모상담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1). 55-72.
  27. 장미경 (1998) 아동중심놀이치료 기법을 이용한 부모 자녀관계 증진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정계숙. 이은하(2008),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한 부 적응 유아의 대인관계 증진 사례 연구. 아동학회지. 29(1), 63-86.
  29. 정윤경 (2001) 국내외 놀이 치료 연구 동향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희정. 이소희 (2003) 놀이치료 종결과 관련된 변인의 탐색 연구. 놀이치료연구. 6(2), 56-71.
  31. 조용환(2006).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 교육과학사
  32. 주선영. 김광웅 (2005) 놀이치료에서의 부모상당 현황 및 부모 상담에 대한 상담자. 부모의 인식연구. 놀이치료연구. 8(1), 49-60.
  33. 최영선. 김광웅(2005b) 아동상담에서 부모와 치료자 간 치료관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6(3), 111-125.
  34. 최선미(2003)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 수준과 치료적 동맹,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영희 (2006) 부모교육으로서의 부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 27(5), 1-17
  36. 최영희 (2007a) 공감과 수용에 초점을 둔 부모놀이치료의 추후효과. 아동학회지. 28(3), 45-59
  37. 최영희 (2007b) 부모놀이치료 효과 재검증.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4), 53-63
  38. Arnold, L. E. (1978). Helping parents help their children. New York : Brunner/Mazel
  39. Axline, V. M. (1947). Play Therapy. New York : Ballantine Books
  40. Bollnow, O. F. (1982) 교육의 인간학(Padagogok in anthropopogischer Sicht) (오인탁 역), 서울 : 문 음사(원전은 1971 에 출판)
  41. Csikszentmihaly, M. (2004)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flow[.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최인수 역) 서울 : 한울림(원전은 1990 에 출판)
  42. Greenberg, J. R., & Mitchell. S. R. (1999) 정신분석적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 in Psychoanalytic Theory] (이재훈 역) 서울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은 1983에 출판)
  43. Kottman, T. (2003). Partners in Play : An Adlerian approach to play therapy(2nd ed). Alexandria, VA : ACA Press
  44. Landreth, G. L. (1999) 놀이치료 : 아동 중심적 접근 [Play Therapy : The art of relationship](유미숙, 이영미, 장미경 역) 서울 : 상조사(원전은 1991 에 출판)
  45. Lee, K. (2005). A Traveller's Tale : The Experience of Study in a Foreign Langu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B
  46. Liberman, F. (1979) Social work with children. N.Y : Human Science Press
  47. McGuire. D. K., & McGuire. D. E. (2008) 놀이치료에서의 부모상담[Linking parents to play therapy] (김광용, 강은주, 진화숙 역) 서울 :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1 에 출판)
  48. Merleau-Ponty, M. (2002) 지각의 현상학[Phenomenology of perception](류의근 역) 서울 : 문학과 지성사 (원전은 1945에 출판)
  49. O' Connor, K. J. (1991). The play therapy primer. An integration of theories and techniques. New York; Wiley
  50. Siskind, D. (1997). Working with parents : establishing the essential alliance in child psychotherapy and consultation. NJ : Jason Aroson
  51. Van Fleet. R. (2000).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parent resistance to play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9( 1). 35-46 https://doi.org/10.1037/h0089439
  52. van Manen (1994) 체험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Researching lived experience :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신경림, 안규남 역) 서울 : 동녘(원전은 1990에 출판)
  53. van Manen (2003). Lived experience, Lewis-Beck. M., Bryman, A. & Liao. T. F. eds. Encyclopedia of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Thousand OA. CA : Sage Publication
  54. Wolcott. H. (1994). Transforming quolitative data :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London :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