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Korean Families and Child Development

한국 가족의 변화와 아동의 삶의 질

  • 한경혜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이정화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09.08.09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Korean families have been undergone tremendous changes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with societal changes. Korean families become smaller, diverse, and multi-cultural. These family changes challenge child development research. Family is not just an intimate relationship. Family is also a structural environment, a system linking micro and macro system, an institution, and an ideology. Consequently,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various ways family influence child development and take into account family as a whole unit. Researchers are also challenged to make a stance regarding family changes and diversity. Temporality is another important issue in studying how family development and child development interact. In terms of public policy, social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to cope with the new social risks from family changes and to mitigate a growing developmental gap among the children of families with different economic classes.

Keywords

References

  1. 박민선(1995). 다양한 가족생활.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가족과 한국사회, 291-329. 서울 : 경문사.
  2. 석상훈(2009). 소득계층이동의 추이와 변화요인. 사회보장연구, 25(1), 25-44.
  3. 신명호(2005). 한국 사회의 양극화현상의 원인과 특징. 도시와 빈곤, 77, 5-27.
  4. 여성가족부(2007). 조손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연구.
  5. 유희정.서문희.김종해.최혜선(2006). 보육정책의 전망과 과제에 관한 연구. 미래사회 연구포럼총서 06-0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6. 이현송(1999). 실직자 가족의 복지욕구와 가족정책. 사회복지정책학회지, 9, 155-176.
  7. 임인숙.안병철(2002). 경제위기가 가족해체 고려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2(2), 1-23.
  8. 조선일보(2009). 심층리포트, 가족의 재구성 '엄마는 회사가고, 아빠는 마트가고'(2009. 7. 27일자 A1면).
  9. 진미정(2008).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3), 187-211.
  10. 통계청(각 연도). 인구동태통계연보. 대전 :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11. 통계청(각 연도). 인구주택 총조사보고서. 대전 :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12. 한경혜.성미애.진미정(2006). 가족발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3. 한경혜(1997). 인구변동과 가족생활. 한국인구학회(편). 인구변화와 삶의 질. 서울 : 일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