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Child Relationship

부모-자녀 관계

  • Lee, Young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Yonsei University) ;
  • Jun, Hey-Jung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Yonsei University) ;
  • Kang, Min-Ju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Yonsei University)
  • 이영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전혜정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강민주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09.08.10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 the last thirty years, societal changes have affected Korean families at a fast pace. Some of these changes include the fall of childbirth rate, expansion of women in the workforce, delay of first marriages, and rise of divorces, remarriag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These new trends have created and diversified new contexts for family structur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Both parents and children are now confronted with a myriad of new challenges and in need of understanding the newly transformed-family environments in respond to new ecological pressures. Contemporary issues concern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by analyzing the new trends and research issues on particular social issues and pressures. Future policy issu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analyses combined with the critical impact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child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말경.박혜원(2008). 모의 양육행동 및 양육 스트레스와 K-BSID-II 수행간의 관계 : 양육 스트레스의 중재효과 탐색. 아동학회지, 29(1), 243-355.
  2. 김미경.이숙현(1990). 어머니의 취업에 대한 아동의 태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1(2), 98-113.
  3. 김미숙.박민정.이상헌.홍석표.조병은.원영희 외(2000). 저소득 편부모 가족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김성희(1990). 유아기 아버지의 역할수행 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승권.양옥경.조애저.김유경.박세경.김미희(2004). 다양한 가족의 출현과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연옥(1999).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 41-62.
  7. 김오남(2004).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부모 가족의 모자녀 갈등, 대처와 심리적 안녕.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507-520.
  8. 김숙경(1989). 외동이와 형제아의 모-자녀관계 및 사회성에 관한 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10(1), 43-64.
  9. 김재근(1986). 맞벌이 가정 아동과 훌벌이 가정 아동의 제 심리적 변인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김혜영.황정미.선보영.김동기(2008). 남성의 부성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8, 1-344.
  11. 도미향(2005). 외동이의 특징과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교육연구, 2(2), 63-81.
  12. 도미향.윤지영(2004). 외동이와 형제아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정서발달. 아동학회지, 25(3), 75-86.
  13. 류향자(1999).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과 학교 적응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문혁준(2009).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 어머니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0(2), 57-69.
  15. 민하영.이윤주.김경화(2008). 여성 한부모 및 양부모 가정의 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소외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3), 15-23.
  16. 박신진(2008). 영아기 모-자녀 상호작용 중재프로그램 효과 연구 -영아 신호 민감성 증진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5), 151-164.
  17. 박영순(2005). 어린이집의 부모교육에 관한 취업모의 인식과 요구 조사. 배재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석사학위청구논문.
  18. 박영주.구병삼.홍명호.김탁.신재철.이찬.문준.오민정(1998). 한국 10대 여성의 임신, 인공 유산 및 출산경험실태. 대한간호학회지, 28(3), 573-582.
  19. 박영호.박미정(2003).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모성애 및 심리적 성장 환경. 교육이론과 실천, 13(2), 193-210
  20. 박화윤.김선혜.이성희(2007). 부모역할지능과 어머니의 개인 및 양육관련변인, 자녀교육 및 가정-학교협력에 대한 신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48, 85-101.
  21. 배미리.이규미(2006). 청소년 외동아.형제아의 부.모.또래애착과 자기애. 한국가족복지학, 11(1), 113-130.
  22. 백경숙.윤지영(2004). 부모역할만족도와 부모역할지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9, 1-19.
  23. 보건복지부(2006).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06-2010).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구)보건복지부).
  24. 보건복지부(2008). 2008년 보육사업 안내.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5. 보건복지가족부(2009).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6. 서울특별시 부녀복지연합회(1996). 한국 미혼모 복지의 현황과 발전방향. 제1회 여성복지세미나자료.
  27. 신혜령.정재훈.김성경(2006). 한부모가족지원법안에 관한 연구. 서울 : 여성가족부.
  28. 신혜영(2006).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발달 태도 및 가정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안재진(2008). 국내입양가족의 공개입양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38(2008), 271-300.
  30. 양경수(2002).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아동의 자아개념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1(2), 87-98.
  31. 어주경(199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32. 엄미선.전동일(2006).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 사회복지 리뷰, 11, 75-104.
  33. 여성가족부(2005). 2004년도 전국 보육.교육 실태조사. 서울 : 여성가족부.
  34. 여성가족부(2005). 보육통계 2005년 12월. 서울 : 여성가족부.
  35. 염동훈.김혜영.안치민(2007). 조손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 : 여성가족부.
  36. 이경열(2004). 저소득 가정 어머니-유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과 유아의 언어능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37. 이경희.유영달(2006). 동거부모형태에 따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심리적 안녕. 한국가족학회, 18(2), 115-138.
  38. 이민주(2006). 저소득 가정의 유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중재 활동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9. 이봉섭(1993). 어머니의 취업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0. 이수인.임애덕(2007). 한부모의 과거 가족경험, 자녀스트레스, 심리적 안녕의 관계와 성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제주지역의 저소득층 한부모들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9(2), 1-34.
  41. 이순형(2007). 조기유학 유형별 분석을 위환 연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42. 이승미.김선미(2005). 저소득 한부모가정, 사례에 비추어 본 지원방안 연구 :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9(4), 95-112.
  43. 이주리(2008).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내면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절과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아동학회, 29(3), 115-125.
  44. 이혜상(2003). 취업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부적응 행동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8), 337-354.
  45. 장석경.이지현(2008).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 참여도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73-89.
  46. 전경숙(2008).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 조사 : 학교 생활과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6(1), 167-185.
  47. 전재일.신효선(2008). 다문화가정자녀의 생활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14(3), 251-283.
  48. 전재일.이애재.이경은(1997). 모자가정의 생활실태와 복지대책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개발연구원, 3(1), 55-72.
  49. 정승의.최성규(2006). 장애아동을 둔 아버지의 역할 수행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언어유형. 언어치료연구, 15(3), 163-194.
  50. 조성연(2003). 한부모가족의 부모-자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제 33차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 한부모 가족 실태, 문제, 가정관리전략, 33-56.
  51. 조성연(2004). 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53-167.
  52. 주소희.이경은(2005). 이혼 후 양육형태에 따른 아동의 심리행동 적응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17(3), 123-153.
  53. 중앙일보(1996. 9. 4). '엄격한 어머니 자상한 아빠' 가정 새풍속.
  54. 최경일(2007). 한부모 가정 청소년과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4(4), 145-168.
  55. 최연순.장춘자.조희숙.최양자.장순복.박영숙 외(1999). 여성건강 간호학. 서울 : 수문사.
  56. 통계청(2002). 인구동태 통계자료. 대전 : 통계청.
  57. 통계청(2005). 가계수지 동향. 대전 : 통계청.
  58. 통계청(2008). 사회통계조사. 대전 : 통계청.
  59. 통계청(2008). 전국결혼및출산동향조사. 대전 : 통계청.
  60. 통계청(1992, 1997, 2002, 2006). 인구주택총조사. 대전 : 통계청.
  61. 한경순(2004). 방과후 보육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청구논문.
  62. 한유미.오경숙(2008). 부부간의 부모효능감 유형에 따른 양육분담 및 양육스트레스. 한국지역사회 생활과학회지, 19(4), 547-558.
  63. 한항문(1982). 취업모와 비취업모 자녀의 학업성적 및 인성 특성과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교육논총, 제17권. 서울 :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64. 현미숙.이소희(2004). 아동기 부모교육.상담을 위한 부모역할지능척도의 타당화.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107-134
  65. 현은민(2003). 재혼가족의 아동.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8(2), 101-126.
  6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www.riss4u.net.
  67. 보건복지가족부. www.mw.go.kr.
  68. 통계청. www.nso.go.kr.
  69. 한국학술정보. http://kiss.kstud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