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ellulose Derivatives to Reduce the Oil Uptake of Deep Fat Fried Batter of Pork Cutlet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돈가스 튀김옷의 흡유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 Kim, Byung-Sook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 Nutrition, Jeonbuk Science College) ;
  • Lee, Young-Eun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Institute for Better Living, Wonkwang University)
  • 김병숙 (전북과학대학 호텔조리영양계열) ;
  • 이영은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생활자원개발연구소)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Pork cutlet is a favorite deep fat fried food item among Korean children, and an excellent protein-containing food, and as well as a simple and economical cuisine. However, the frying process adds a significant amount of calories. We added MC (Methylcellulose) and 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to the batter in an effort to reduce oil uptake in prepared pork cutlets. After additions of MC and HPMC at concentrations of 0.5, 1, and 1.5% respectively, we assessed the viscosity of batter, color after frying, the increases in moisture retention and oil uptak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comparing each quality. The viscosity of batter with 0.5% HPMC added (w/w)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s, but the viscosity of all the batter with added MC was so much higher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batter for coating at the same temperature, leading to a failure even to prepare a sample. After frying, the batter with added HPMC provided significantly less oil uptake and more moisture retention than the batter to which MC was added. Additionally, with regard to colo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pork cutlet with 0.5% added HPMC was superior to the other sampl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when cellulose derivatives are added in order to reduce oil uptake and to raise the moisture retention of the batter of pork cutlet, HPMC is more useful in this regard than MC. Additionally, the batter with 0.5% HPMC added appears to be the best of the tested choices, for three reasons: first, the viscosity of the batter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s; second, the taste is not greasy after frying as the result of the reduced oil uptake and higher moisture retention; and thir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is sample, such as, color, crispiness, and hardness were the best among samples.

돈가스의 튀김과정에서 증가되는 지방량을 감소시키고자 튀김반죽에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를 각 0.5, 1,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점도, 튀긴 후 색도, 수분보유량 및 흡유량, 관능특성 등을 측정하여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한 튀김반죽의 점도는 속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고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동일 첨가수준에서 HPMC에 비하여 MC의 점도 증가가 매우 컸으며 HPMC 0.5%의 첨가군이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점도양상을 보였다. 반죽의 점도는 돈가스를 제조할 때 재료(원육)에 대한 튀김반죽의 coating성에 영향을 주어서 HPMC 0.5% 첨가군의 coating성이 가장 좋았다. 2. 튀김옷의 수분보유량과 흡유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보유량은 대조군(45.69%) < MC 0.5%(47.36%) < MC 1%(48.55%) < MC 1.5%(49.59%) < HPMC 0.5%(51.49%) < HPMC 1%(53.72%) < HPMC1.5%(56.45%)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흡유량은 대조군(15.49%)> MC 0.5%(15.44%) > MC 1%(15.25%) > MC 1.5%(15.05%) > HPMC 0.5%(14.69%) > HPMC 1%(12.62%) > HPMC 1.5%(10.03)의 순으로 감소하여 HPMC 1.5% 첨가 batter가 수분보유량이 가장 높으면서 흡유량은 가장 적었다. 3. 튀긴 돈가스의 명도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HPMC 보다 MC첨가에 의한 변화가 커서 1.5% MC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명도값을 나타냈다(p<0.001). 적색도는 HPMC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나 MC의 경우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관능검사 결과 튀긴 돈가스의 색은 HPMC 0.5% 및 1% 첨가 시 가장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그 외에는 색상이 진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짠맛은 대체적으로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구수한 맛은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며 HPMC 0.5%와 MC 0.5% 첨가 시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불쾌취의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군에서는 약간 불쾌취가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름진 정도는 대조군보다 HPMC 0.5%와 1% 첨가군에서 덜 기름진 것으로 평가된 반면 HPMC 1.5%와 MC 첨가 시에는 대조군보다 더 기름지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및 1%는 같은 경향으로 평가되었고 HPMC 1.5%와 MC의 경우는 대조군보다 촉촉한 정도가 더 강해 반죽이 덜 익었다는 느낌을 주기도 하였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과 MC 0.5%, HPMC 0.5% 및 1%가 같은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MC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바삭거리는 정도는 셀룰로오스유도체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HPMC 0.5% 첨가군이 오히려 대조군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돈가스의 흡유량을 개선시키기 위한 튀김반죽의 첨가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의 첨가가 효과적이나, MC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점도의 증가가 매우 커서 동일 온도에서 coating이 두껍게 되었다. 또한 색도 및 관능평가의 결과 HPMC 0.5% 및 1%를 제외한 모든 셀룰로오스 첨가군은 첨가율에 비례하 여 대조군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고 수분보유력이 증가하 여 흡유량이 적은 데도 느끼하고 덜 익은 것처럼 느끼 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돈가스와 같이 튀김반죽을 재 료에 코팅하는 조리과정을 거치는 음식에서는 튀김반죽 에 셀룰로오스유도체인 HPMC를 적정량 첨가하면 코팅 하기가 쉽고 흡유량은 감소하는 반면 수분보유량은 증가 하여 매우 효과적이었다. HPMC의 최적 첨가량은 약 0.5% 수준이었을 때 점도가 적당하였고 색감, 바삭한 정도 및 단단한 정도 등의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1993.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서울. p 296
  2. 곽동경, 류은순, 이혜상, 홍완수, 장혜자. 2002. 급식경영학, 신광 출판사, 서울, p 19
  3. 삼성에버랜드 조리아카데미. 1999. 조리과학연구자료집. p 20
  4. 신정미. 1984. 미강유의 열안정성 및 튀김적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집. pp 1-50
  5. 안명수. 2004. 식품과 조리과학. 신광출판사. 서울. p 167
  6. 통계청. 2006. 도소매업 통계
  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8. Balasubramaniam VM, Chinnan MS, Mallikarjunan P, Phillips RD. 1997. The effect of edible film on film on oil uptake and moisture retention of a deep-fat fried poultry product. Food Engineering Process 20:17-21 https://doi.org/10.1111/j.1745-4530.1997.tb00408.x
  9. Gamble MH, Rice P. 1988. Effect of initial tuber solids content on final oil content of potato chips. Lebensm Wissu Technol 21:62-66
  10. Garcia MA, Ferrero C, Bertola N, Martino M, Zaritzky N. 2002. Edible coating from cellulose deri vatives to reduce oil uptake in fried products. Innovative Food Sci & Emerging Technol 3:391-397 https://doi.org/10.1016/S1466-8564(02)00050-4
  11. Han KS, Jeon HJ, Kim YB, Lee JH. 2002.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ristics of stuffed pork curtlet with Kimchi, Pineapple, and seasoned small green onion. Korean J Culinary Research 8(2):217-226
  12. Joo KJ. 1991.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various deep-fat fried foods. J Korean Soc Food Nutr 20(2):162-167
  13.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u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2):181-185
  14. Lee JW, Lee YH. 2003. Frequency of instant noodle(Ramyeon) intake and food value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to blood lipid levels of male adolescents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4):485-491
  15. Lee KA, Kim WK, Kim SH. 1995. The effect of dietary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on the plasma lipid level. J Home Economics Assoc 33(6):89-97
  16. Meyers MA. 1990. Batters and breadings in food processing: Functionnality of hydrocolloids in batter coating systems. pp 117-141. In: Kulp K & Ewe R(ed), American Association of Creal Chemists. St Paul, Minnesota
  17. Meyers MA, Conklin JR. 1990. Method of inhibiting oil adsorption in coated fried foods using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US patent 49:573
  18. Pinthus EL, Weinberg P, Sam Saguy I. 1993. Criterion for oil uptake during deep-fat frying. J Food Sci 58(1):204-205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3.tb03245.x
  19. Sanz T, Salvador A, Fiszman SM. 2003. Effect of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properties of methylcellulose-added batters Application to battered, fried seafood. J Food Hydrocolloids 10:1-5
  20. Son JY, Chung MS, Ahn MS. 1998.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rying oils during potato and chicken frying. Korean J Soc Food Sci 14(2):177-181
  21. Suhaila Mohamed, Norhasimah Abd Hamid, Mansoor Abdul Hamid. 1998. Food Components Affecting the Oil Absorption and Crispness of Fried Batter. J Sci Food Agric 78:39-45 https://doi.org/10.1002/(SICI)1097-0010(199809)78:1<39::AID-JSFA82>3.0.CO;2-G
  22. Yoo MY, Oh MS. 1997. Effect of preparing conditions on the absorbed oil content of Yackwa. Korean J Soc Food Sci 13(1):4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