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on-Point Sources from Livestock composted Land - A case of cows manure -

축산퇴비의 농지환원시 비점오염원으로서 수계에 미치는 영향 - 우분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09.09.16
  • Accepted : 2009.12.14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cows manure has been used as fertilizers in farmland because of enough nutrients. However, excess nutrients can be washed off during a storm and affected on nearby waterbodies. In this paper, the runoff characteristics from farmland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watershed runoff rate. As results of estimating, watershed runoff rates with short-term runoff are BOD 0.6%, CODcr 0.3 %, CODMn 0.1 %, T-N 0.8 % and T-P 1.0 % On the other hand, they with long-term runoff are BOD 3.6 %, CODcr 1.0 %, CODMn 0.9 %, T-N 4.9 % and T-P 4.8 %. It is clean that the watershed runoff rates increase according to the rainfall runoff time.

본 연구는 축산퇴비(우분)의 농지환원시 비점오염원으로써 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제 농지에 작물을 재배하여 강우에 따라 농지표면으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유출수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축산퇴비(우분)의 농지환원시 수계유출율을 산정한 결과 단기유출의 강우시 BOD5는 0.6 %, CODcr은 0.3 %, CODMn은 0.1 %, T-N은 0.8 %, T-P는 1.0 %로 나타났다. 장기유출의 강우시 BOD5는 3.6 %, CODcr은 1.0 %, CODMn은 0.9 %, T-N은 4.9 %, T-P는 4.8 %로 나타나 강우유출시간이 증가될수록 수계유출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일환. 최승철, 원철희, 장범수, 임재명, 축산자원 화물의 농지주입에 따른 비점오염 유출특성,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6.
  2. 홍성구, 축산분뇨 농지환원을 위한 적정관리 방안, 한국농공학회, 제44권 제5호, pp.136-146, 2002.
  3. 최홍림, 우리나라 가축분뇨 대책, 농어촌과 환경, 2000.
  4. 홍지형, 축산폐기물 자원화, 동화기술, 1999.
  5. 농림부, 축산분뇨 처리 및 자원화 대책, 1999.
  6. 환경부,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처리 통계, 2003.
  7. 농림부.환경부합동, 가축분뇨관리.이용대책, 2004.
  8. 홍성구, 이남호, 우분퇴비의 농지환원시 오염부하 포텐셜 평가, 한국농공학회지, 제43권 제1호, pp.66-74, 2001.
  9. 권순익, 정광용, 유기성 폐기물 비료성분 표준단위 설정,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1994.
  10. 김진태, 축분퇴비의 침출수 수질특성, 석사학위논문, 한경대학교, 2001.
  11. 이남웅, 토양시비용량을 고려한 한계 축산규모 및 적정관리모델,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03.
  12. 이민우, 이영신, 강우강도에 따른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에 관한 연구(계분을 중심으로), 한국습지학회, 제11권 제1호, pp.91-97, 2009.
  13.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004.
  14. Deletic, A.B. and Mahsimivic, C.T., Evaluation of methods of estimating stormwater pollutant loads, J. of water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4, No.9, pp. 869-993, 1998.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8)124:9(869)
  15. 손현근, 이소영, Maria C. Maniquiz, 김이형 ,강우시 포장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저감특성, 한국습지학회, 제11권 제2호, pp. 55-66, 2009.
  16.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