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 이전용 에폭시 폴리머의 토양 침투도와 관련된 물성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y of Epoxy Polymer Related with Degree of Permeation to Soil for Moving Historical Site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 서정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Wi, Koang-Chul (Department of Cultural Asset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
  • Seo, Jeong-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03.11
  • 심사 : 2009.05.07
  • 발행 : 2009.03.01

초록

유구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저점도 Epoxy인 SE-101의 토양의 입자 크기와 수분 함량에 따른 침투성과 전단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들을 이용하여 SE-101의 사용법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점도 데이터로부터 충분히 예상되었듯이, 입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침투도는 증가하였으나, 전단 강도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고분자의 불균일한 경화 속도와 내부 무기 첨가제에 따라서 침투도의 편차가 심하여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양 내의 수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침투도와 전단 강도의 편차가 매우 심하여져서 동일 시편 내에서도 매우 취약한 부분이 생성되고, 유구 이전 중의 파손 현상 발생도 예측할 수 있어 이전재의 침투 깊이의 50% 이상은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optimize the method of using SE-101 for strengthening the durability and the stabilization of moving historical site. The permeability and the shear strength of The epoxy SE-101 with low viscosity were measured on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moisture content of soil. Like it can be expected from the data of viscosity, as the soil particle size was increased, the permeability was also increased, while the shear strength was decreased. And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deviation of permeability can be more extreme according to the different hardening speed of macromolecule and mineral additives. As the rate of moisture content in soil sample is increased, the deviation between permeability and shear strength is also increased. Even though among the same soil sample, some parts of it can be weaker than others, which cause the breakages of epoxy products. Thus, it is necessary that the soil should be dried over 50% of permeation depth of SE-101 before us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호, "합성수지의 문화재 적용(III)-Epoxy 수지의 물리적 성태실험". 보존과학연구, 4, 국립문화재연구소, p127, (1983)
  2. 김병호, "합성수지를 이용한 유구의 보존처리". 문화재, 23, 국립문화재연구소, p164 (1990)
  3. 한원식, 홍태기, 임성진, 위광철, "유구 이전 복원을 위한 표면 박리형 에폭시 폴리머의 개발". 보존과학회지, 22, p77-86, (2008)
  4. 한원식, 홍태기, 박기정, 임성진, 위광철, "유구 이전 전용 저점도형 에폭시와 박리제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24, p37-42, (2008)
  5. 이오희, "문화재보존과학". 주류성출판사, p84 (2008)
  6. 이양례, "고탄성에폭시수지 가공방법". 출원번호 10-1978-0003119
  7. 황대익, "변성에폭시수지의 제조방법". 국도화학, 10-1986-0004990
  8. KSM3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