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eaning of Costumes of Yeosan Song's Family Excavated at Mokdal-dong in Daejeon

대전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출토복식의 세척

  • Baek, Young-M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ung-Suk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 권영숙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09.04.24
  • Accepted : 2009.06.04
  • Published : 2009.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leaning of excavated costumes. For the purpose, these researchers reviewed previous records of the actual cleaning of excavated costumes and then implemented and documented the processes of cleaning the Yeosan Song's costumes excavated at Mokdal-dong, Daejeon, which could date back to the early and mid periods of Choseon Dynasty. The excavated clothes of the family provide good examples for comparing men's costume of the 15th century with men's and women's of the mid and late 16th century. The total quantity of excavated remains were 184 and textiles were cotton, silk, hemp, ramie, and union cloth. The clothing remains were processed through wet or dry cleaning in accordance with their fabric condition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were worn or polluted. In detail, the excavated costumes of the Yeosan Song family were cleaned in two stages. For wet cleaning, both anionic(LAS) and nonionic(Triton X-100) surfactants were respectively used as cleaning agents and for dry cleaning, a mixture of n-hexane and n-decane(the ratio of 4 to 6) and petrolic dry cleaning solvent were used. After first cleaning, some cotton, ramie and hemp which had still the stains were processed bleaching and silk which were good condition was processed dry cleaning with the organic solvent again.

본 연구는 대전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초중기의 여산송씨가 출토복식을 보존처리함에 있어 출토복식의 세척처리 현황을 조사하고 본 출토복식의 세척과정을 보고하여 앞으로 출토복식의 세척방안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산송씨 출토복식은 15세기의 남자복식과 16세기중후반의 남녀복식을 비교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출토유물은 모두 184점이 출토되었으며 면, 견, 마, 교직물 등 다양한 직물이 있었다. 여산송씨 출토복식의 세척은 직물의 상태와 오염을 분석한 후 진공흡입에 의한 고형오염을 충분히 제거하고 습식세척과 건식세척방법을 시행하였으며 1, 2차로 진행되었다. 습식세척의 경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LAS)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Triton X-100)를 사용하였고 건식세척의 경우 n-hexane과 n-decane(4:6) 혼합용제 및 석유계 드라이클리닝용제를 사용하였다. 1차 세척 후 빠지지 않은 얼룩이 있는 면직물이나 마직물의 경우 표백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견직물 중 상태가 좋은 것은 유기용제에 의한 건식세척을 재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재관리국, "중요민속자료 복식보존처리 보고서(1992-1994)". (1994).
  2.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한국복식 , 14호-21호, (1996-2003).
  3. 영주시, 판결사 김흠조선생 합장묘 발굴조사 보고서, (1998).
  4. 권영숙, "조선후기 여자 홑적삼 보존처리 및 유물소고",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발굴조사보고서 제25권, (1999).
  5. 서울대학교박물관, "이석명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2000).
  6. 안동대학교박물관,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2000).
  7. 국립민속박물관, "원주변씨 출토유물기증전-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2000).
  8. 국립민속박물관, "남오성 묘 출토복식". (2004).
  9. 안동대학교박물관,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 보고서". (2000).
  10. 한국전통복식연구소, "대전 대덕구 출토 진주강씨 부인 한산이씨 충주박씨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2001).
  11. 경기도박물관,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2001).
  12. 경기도박물관, "동래정씨묘 출토복식조사보고서". (2003).
  13. 경기도박물관, "심수륜 묘 출토복식". (2004).
  14. 경기도박물관, "양평 출토 홍몽남 배위 연안 김씨 묘 출토복식". (2005).
  15. 경기도박물관, "진주 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2006).
  16. 경기도박물관, "안동김시 문온공파, 김확 합장묘 출토 복식". (2007).
  17. 서울역사박물관, "풍양조씨기증 조경묘출토유의". (2003).
  18. 고려대학교박물관, "파평윤씨 모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003).
  19. 문경새재박물관, "금선단 치마입고 어디 다녀오셨을까 문경연소리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 및 관련 고문서". (2005).
  20.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복식". (2007).
  21. 이태녕, "제3장 지류 및 직물 문화재".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에 관한 연구 (I)', 원자력청 원자력연구소, 과학기술처, (1972).
  22. 배순화, 이미식, "출토 직물의 세탁 방법에 따른 물성 변화". 복식, 54(1), (2004).
  23. 박윤미, 황은경, 정복남, "창녕 전의이씨 출토복식의 세척방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6), (2003).
  24. 홍문경, 이미식, 배순화, "출토직물의 표백방법에 관한 연구-광주 장흥임씨 의복(중요민속자료 112호)의 보존 처리-". 한국의류학회지, 30(2), (2006).
  25. 배순화, 이미식. "출토직물의 과학적 보존 처리에 관한 연구-세탁 방법과 다림질 방법-". 한국의류학회지, 23(7), (1999).
  26. 이상준, 백영미, 이건, 차미선, 권영숙, "대전 대덕구 출토 16세기 복식유물에 서식하는 곰팡이에 관한 연구-강절 부인 한산이씨, 충주박씨와 송문창 복식유물을 중심으로-". 복식, 53(5), (2003).
  27. Agnes Timar-Balazsy, Dinah Eastop, "Chemical Principles of Textile Conservation". Butterworth Heinemann, p. 185 (1998).
  28. 김성연, "세제와 세탁의 과학". 교문사, p62, (1994).
  29. http://www.sigmaaldrich.com, Sigma Aldrich productinformation.
  30. 박윤미, 황윤경, 정복남, "의령 전의 이씨 출토복식의 세척방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6), (2003).
  31. 백영미, "조선중기 출토복식의 보존처리 및 저고리의 치수분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32. 오준석, 유혜선, 윤은영, "조선시대 회곽 묘 출토 염습의에 부착된 회백색 물질의 동정". 보존과학회지, 16, (2004).
  33. James W. Rice, "Pronciples of Fragile Textile Cleaning, Textile Conservation". Lodon Butterworths, p49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