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low Rate Estimation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교통류율 산정모형 개발 및 활용

  • Received : 2009.04.07
  • Accepted : 2009.05.19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u-T (ubiquitous transportation) environment can be envisioned as an advanced version of ITS environment and be expected to provide more advanced transportation service in a ubiquitous manner. As a basic necessity to measure traffic flow in both environments, a flow estimation method was proposed. Flows have been measured in existing ITS and in a new u-T environments and some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simulation technique. In the interrupted traffic situation, the flow rate of u-T is 3.58% higher than that in ITS environment. Both MARE and MAE, which were used as measure of effectiveness, in u-T were better since the results are 31.4% and 31.1% lower than in ITS, respectively. Besides the equality coefficient in u-T was 1.9% higher than that in ITS. Such being the case, the flow rate measured in u-T using U-TSN is more reliable and can be expected to be successfully used for transportation system design or traffic operation areas.

u-Transportation (u-T) 환경은 차세대의 ITS로 간주되는 미래형 교통서비스로서 어디에서나 적절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신 교통공간을 의미한다. 그러한 환경의 기초연구로서 본 연구는 기존 ITS에서 교통량 산출 방법을 검토하고, u-T 자료 수집환경(u-TSN)의 자료수집형태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여 ITS의 교통량 산정 결과와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u-T에서 단속류의 교통류율이 ITS보다 3.58%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지표 MARE와 MAE 값이 각각 31.4%, 31.1% 낮게 나타나고, 평가지표 균등계수는 1.9%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u-TSN의 교통자료 집계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류부 링크의 특정지점 교통량을 고려하지 못한 기존 방법론에 비해, u-T에서의 링크 특성이 잘 반영된 링크의 대표치라는데 의의 또한 있는바, 설계시간계수 등의 설계분야, 운영 분야 등에 보다 적절한 교통류율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수(2006) u-Transportation 기반기술개발, 교통 기술과 정책, 제3권 제4호, pp. 47-60.
  2. 김영호(2002) 연속 교통류에서 검지기 간격과 교통정보 수집주기 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3. 문미경(2003) 설계시간교통량 산정방법 개선,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5호, pp. 61-71.
  4. 송기욱(2004)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국도교통관리시스템에서 적정 검지기 위치에 관한 연구, 2004년도 한국ITS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ITS학회, pp. 69-74.
  5. 송기욱(2005)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국도에서의 적정 검지기 위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1D호, pp. 57-65.
  6. 이진호(2002) 운전자 정보제공을 위한 검지기 적정위치 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7. 최기주(2007)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교통계획기술의 변화상, 한국ITS학회지, 한국ITS학회, 제4권 제1호, pp. 35-40.
  8. 건설교통부(2004) 도로교통용량편람.
  9. 한국도로공사(2007) 적정차로수 산정을 위한 설계시간계수 연구.
  10. Bekir Bartin (2006) A Clustering Based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Optimal Roadway Configuration of Detectors for Travel Time Estimation, Proceedings of the IEEE ITSC.
  11. Oh (2003) Optimal detector location for estimating link travel speed in urban arterial road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12. Thomas, G.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ctor location and travel characteristics on arterial street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Journal, Vol. 69, Issue 10. pp. 3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