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cutive Design VE Process Emphasized on Follow-up Activities

Follow-up 활동을 강조한 연속적 설계VE 프로세스

  • 양진국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
  • 문성우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08.09.01
  • Accepted : 2009.01.28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Design Value Engineering (VE) has become an import part of the daily design process since it has been introduc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sign VE is usually conducted in the general and execution design stages resp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VE process, the outcome from the general design VE activities should be integrated into execution design. The outcome from the execution design should be used again for construction. In this study, a consecutive VE process model has been presented as a way to improve the current practice of design VE activi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presented model, follow-up activities are emphasized to increase values from the life-cycle perspective of a construction project. The model was tested in a case study of an actual design VE process. The result of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model can: 1) effectively incorporate owners requirements; 2) assist decision making in selecting better construction; 3) increase the interface between general and execution design stages; and 4) trace the value flow more efficiently. Overall, the study results indicates that a the consecutive VE process model can be effectively applied when construction project are contracted for the life-cycle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최근 건설공사에서 설계VE 업무의 중요도는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일상적인 관리활동으로 도입되고 있다. 건설공사에서 설계VE는 기본설계와 실시설계 두 번에 걸쳐 진행된다. 설계VE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주자 및 사용자 요구사항과 설계의 라이프 사이클 측면에서 기본설계와 실시설계 VE 결과를 상호 연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VE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속적 설계VE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제시된 모델에서는 Follow-up(후속조치) 활동을 강조하여 VE 성과 분석 중심의 업무모델을 수립했다. 제시된 모델을 설계VE 실무사례에 적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했다. 실제 VE 업무에 적용한 결과 첫째, 발주자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체계적 반영할 수 있었으며; 둘째, VE 제안내용의 반영계획 수립을 통한 발주자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셋째, 설계업무 인터페이스를 강화하며; 넷째, 반영결과 추적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VE 업무모델은 설계의 라이프사이클에서 설계VE 결과를 추적하고 업무분석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기술안전국 건설환경과(2005) 건설교통부 보도자료(MOCT News Release).
  2. 서울시립대학교(2000) 건설VE의 실질적 운용기법을 위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양진국(2006) QFD와 ASIT를 활용한 건설공사 설계VE 대상 선정 방법 개발,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4. Brais, R., Norton & W. C., and McElligott (1995) Value Management in Construction, MacMillan.
  5. Dell'Isola, Alphonse J. (1997) Value Engineering : Practical Application for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Operation, R.S.Means Company Inc.
  6. http://www.asce.org/(미국 토목학회)
  7. http://www.defenselink.mil/(미국 국방성)
  8. http://www.dot.ca.gov/(미국 캘리포니아 교통국)
  9. http://www.fhwa.dot.gov/ve/veabout.cfm(미국 연방도로관리청)
  10. http://www.gsa.gov/(미국 조달청)
  11. http://www.value-eng.org(미국 SAVE International)
  12. http://www.wsdot.wa.gov/(미국 워싱턴주 도로교통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