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Delay Analysis for E.P.B Shield TBM Method in Construction Site

E.P.B(Earth Pressure Balance) Shield TBM 공사의 공기지연 사례연구

  • Received : 2009.10.07
  • Accepted : 2009.10.28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Shield TBM, since it was employed for Suyoungman Bay riverbed tunnel of Busan Subway in 2000,has been increasingly adopted in Korea, and in line with growing popularity, the study on Shield TBM has been expanded. However the studies mostly focus on ground condition in a bid to estimate the advancement rate and develop the model for calculating the excavation efficiency, whereas the efforts to analyze the cause of delay and to develop the improvement measures have been neglected. Thus the studies were mostly intended to analyze the schedule slippage focusing on ground conditions, while the study on schedule behind due to equipment itself and related facilities have yet to be attempted in earnest. This study hence was aimed at evaluating the troubles and schedule slippage caused by mechanical elements such as shield TBM equipment and tools and ground conditions, making use of FMEA approach so as to analyze the risk of schedule delay by such elements, thereby proposing the preventive measures to deal with high-risk factors. So, this study suggest the solution to highly ranked trouble factor for the purpose of enhance the efficiency on Shield TBM.

터널 공사에 있어서 Shield TBM 장비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Shield 공법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다양한 연구 또한 수행되어졌다. Shield TBM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굴착 대상이 되는 지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Shield TBM 장비 선정, 굴진속도 계산, 모델식 개발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굴착의 주체가 되는 Shield TBM 장비와 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트러블로 인한 공기지연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hield 터널 공사 중 Shield 장비의 초기굴진을 대상으로 하여, 굴진 시 발생하는 트러블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지연 시간 및 원인을 FMEA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공기지연 방지를 위한 관리 방한의 제시를 목적으로 각각의 트러블 항목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전까지의 연구들에서 지반적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진 Shield TBM의 기계적 요소들의 트러블이 공기지연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공기지연 발생 요소 중 공기지연 위험도가 큰 몇몇 항목을 대상으로 트러블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본 굴진 및 향후 유사 조건의 프로젝트 수행 시 보다 효율적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국(2007) FMEA 기법을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공사비 초과요인 발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pp. 171-178.
  2. 김민성(1998) Shield 공법의 시공성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 pp. 3-9.
  3. 김용일(2005)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 703공구 대구경 쉴드 터널 설계,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pp. 424-442.
  4. 김용일(2006) 분당선 한강하저 대구경 E.P.B Shield 터널 시공사례, 철도시설, 한국철도시설협회, 통권 제100호, pp. 78-97.
  5. 김재영(2006) 풍화토지반 쉴드 TBM의 선정과 적용사례-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 704공구 설계사례, KTA2006 Symposium.
  6. 문상조(2002) EPB쉴드 터널의 안전시공-발진, 도달, 막장안정, 침하억제를 중심으로, KTA2002 Symposium.
  7. 박철환(2002) 암반층에서 Shield TBM의 굴착속도와 추력과의 관계,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한국암반공학회, 제12권 제2호 통권39호, pp. 115-119.
  8. 배규진(2006) 시공 리스크를 고려한 TBM의 굴진성능 향상 및평가기술, KTA2006 Symposium.
  9. 양인재(2002) 부산시 수정산배수지터널 TBM 굴진시 공법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암반의 지질공학적 평가, 대한지질공학회학술발표논문, 대한지질공학회, pp. 211-218.
  10. 유정호(2008) FMEA를 활용한 중점안전관리 항목 도출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6호, 통권 제46호,pp. 185-193.
  11. 이석원(2003) TBM 굴진성능 예측을 위한 모델링,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한국암반공학회, 제13권 제6호, pp.413-420.
  12. 이현철(2009) FMEA를 활용한 철골공사 작업지연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Vol. 10, No. 1, pp. 91-101.
  13. 채점식(2008) 쉴드 터널에서 쉴드 TBM 장비의 굴진속도 산정,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9권 제1호통권31호, pp. 35-41.
  14. 홍원표(2004) Shield 터널에서 굴진속도가 지반침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15. Shao-Ming Liao (2008) Shield tunneling and environment protection in Shanghai soft ground,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