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ness Analysis of HOT Lane and Application Scheme for Korean Environment

HOT차로 운영에 대한 효과분석 및 국내활용방안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ITS 대학원) ;
  • 김진환 ((주)동해종합기술공사 교통계획부.아주대학교 ITS 대학원) ;
  • 오승훈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교통공학전공)
  • Received : 2008.10.08
  • Accepted : 2008.10.20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Currently, various types of TDM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policies are being studied and implemented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pply oriented polic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ddressed issues of effectiveness and possible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HOT lane. The possible site of implementation selected for this simulation study is part of the Kyung-bu freeway, where a dedicated bus lane is currently being operated. Minimum length of distance required in between interchanges and access points of the HOT lane for vehicles to safely enter and exit the lane, and traffic management policies for effectively managing the weaving traffic trying to enter and exit the HOT lane were presented. A 5.2km section of freeway from Ki-heuing IC to Suwon IC and a 8.3km section from Hak-uei JC to Pan-gyo JC have been selected as possible sites of implementation for the HOT lane, in which congestion occurs regularly due to the high level of travel demand. VISSIM simulation program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HOT lane under the assumption that one-lane HOT lane has been put into operation in these sections and that the lane change rate were in between 5% to 30%. The results of each possible scenario have proven that overall travel speed on the general lanes have increased as well by 1.57~2.62km/h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HOT lan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uld serve as a basic reference data for possible follow-up studies on the HOT lane as one effective method of TDM policies. Considering that the bus travel rate would continue increase and assuming the improvement in travel speed on general lanes, similar case study can be implemented where gaps between buses on bus lane are available, as a possible alternative of efficient bus lane management policies.

교통시설공급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교통수요관리 정책이 연구 시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연장선상 에서 현재 국내에 연구된 적이 없는 HOT(High Occupancy Toll) Lane에 대해 국내 도입여부 및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OT Lane의 국내 도입을 위해 현재 버스전용차로제가 시행되고 있는 경부고속도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IC에서 HOT Lane으로 접근까지의 최소차로변경구간과 HOT Lane으로 진입하려는 차량, 일반차로로 진출하려는 차량들의 엇갈림구간에 대한 교통처리방안을 제시함은 물론, HOT Lane의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는 평소 교통수요가 많아 상습 적인 정체가 발생되는 경부고속도로 기흥IC~수원IC 구간(5.2km)과 서울외곽고속도로 학의JC~판교JC(8.3km) 구간에 대해 1 개 차로가 HOT Lane으로 운영되는 것을 가정하에 차선변경율(5~30%)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VISSIM)을 사용하여 각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결과, 일반차로의 통행속도가 시행 전에 비해 1.57~2.62km/h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속도의 향상효과와 더불어 다양한 교통수요정책 연구라는 취지에서 국내에서의 연구가 전무한 환경에서 HOT Lane운영이라는 하나의 교통수요관리 정책분석은 향후 유사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버스의 수단분담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버스간의 통행사이에서 여유gap 등이 생기는 버스전용차로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중 하나의 대안으로 HOT Lane의 연구가 향후 다른 고속도로 구간에서도 유용한 버스차로 관리정책대안으로서 구체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2)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규칙, pp. 57-68.
  2. 교통개발연구원(2004) 혼잡통행료제도 확대시행의 효과분석, pp. 58-60.
  3. 부산발전연구원(2004) 부산시 교통수요관리 정책의 평가 및 효율적 추진방안, pp. 16-18.
  4. 조영재(2007) 서울시 남산1,3호 터널의 혼잡통행료 탄력성 분석에 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pp.36.
  5. 한국운수산업연구원(2006)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확대시행을 위한 기초연구, pp. 9-12.
  6. Arthur T. Leahy (2006) 91 Express Lanes 2006 Annual Report, 91 Express Lanes, OCTA
  7. Benjamin G. Perez and Gian-Claudia Sciara (2001) A Guide for HOT Lane Developmen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8. Fact Sheet - I-15 FasTrak (2007) SANDAG.
  9. Lee, W. Munnich, Jr. I-394 MnPASS (2006) A New Choice for Commuter, Hubert H. Humphrey Institute of Public Affairs, University of Minnesota.